덴마크 오덴세 소재 약 6000평 규모 본사 개소 “자동화 혁명 제공할 환경 조성돼...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자동화 제공할 것”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과 미르(MiR)가 덴마크 오덴세 소재에 약 6000평 규모의 새로운 본사를 구축했다. 양사는 미국 반도체 장비 업체 테라다인(Teradyne)을 모체로 둔 로보틱스 솔루션 업체로, 이번 본사 구축을 통해 덴마크에서 첨단 로봇 공학 분야의 시너지를 발산할 계획이다. 개소식에는 양사 대표를 비롯해 엔비디아·지멘스 등 유니버설로봇 글로벌 에코시스템 파트너사의 관계자가 참석해 본사 구축을 기념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디푸 탈라(Deepu Talla) 엔비디아 로보틱스 및 컴퓨팅 부사장, 라이너 브렘(Rainer Brehm) 지멘스 팩토리 오토메이션 CEO, 우즈왈 쿠마르(Ujjwal Kumar) 테라다인 로보틱스 그룹 사장 등이 인공지능(AI) 활용 방향성과 첨단 자동화의 혁신에 대해 토론했다. 쿠마르 대표는 “이번 본사 출범은 테라다인 로보틱스에게 중요한 이정표를 제시할 것”이라며 “우리는 로보틱스 기술 역량을 제고하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게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장 피에르 하토(Jean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유니버설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협동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유니버설로봇이 이번에 선보인 협동로봇 UR5e은 제품군 중에서 중간 크기인 이 제품은 페이로드 5kg에 작업 반경 850mm로, 저중량 가공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이상적이다. 프로그래밍이 쉽고 빠르게 설치가능한 UR5e는 크기와 힘이 완벽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 작지만 강력한 UR3e은 페이로드 3kg에 작업 반경은 500mm이다. 모든 손목 관절이 360도 회전 가능하며 끝 조인트는 무한대 회전이 가능한 코봇은 높은 반복정밀도를 요하는 작업과 가벼운 조립 작업을 쉽게 처리한다. UR10e은 e-Series의 특징인 동일한 신뢰성과 성능으로 최대 12.5kg의 중량을 다루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작업 반경은 1300 mm이다. 따라서 작업 영역 간의 간격이 큰 시설에서 포장 및 팔레타이징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
[첨단 헬로티]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 UR)이 IMMI(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Interface, 사출 성형 기계 인터페이스)를 출시했다. 이 인터페이스는 유니버설로봇과 사출 성형 기계의 통합을 원하는 플라스틱 제조업체들을 위해 사용자 친화적이고 빠른 솔루션을 제공한다. ▲IMMI 모듈은 모듈의 컨트롤 박스 내부에서 UR 컨트롤 박스면 쪽의 확장 베이 포트에 설치된다. 플라스틱 제조업체들이 사출 성형 기계를 사용하기 위해 협동로봇을 주목하고 있다. 유니버설로봇은 새로운 사출 성형기 인터페이스(IMMI)의 출시를 통해 e-시리즈 코봇과 사출 성형 기계 간의 통신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IMMI는 EUROMAP 67 및 SPI AN-146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춘 사출 성형 기계를 지원한다. 플라스틱과 고분자 산업 분야의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은 2020년에서 2025년까지 5년간 250만 달러에서 1.5억 달러 규모로 기하급수적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BIS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현재 전체 코봇 애플리케이션 중 15%가 사출 성형 안에 들어가 주형 후 공정을 통해 금형에 삽입물을 넣는 등의 작업
[첨단 헬로티] 유니버설로봇(Universal Robots)이 새로운 UR + 애플리케이션 키트 ‘액티나브(ActiNav)’를 출시했다. 이 키트는 부품의 자율 빈 픽킹 통합 및 UR 코봇을 사용하는 기계의 정확한 배치를 단순화 한다. 또한 비전 처리, 충돌없는 모션 계획 및 자동화된 실시간 로봇 제어를 동시에 처리하여 빈 선택 어플리케이션의 복잡성과 위험 요소를 제거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빈 피킹 제품은 빈 피킹의 비전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장소’가 단순히 ‘장소’로 떨어지지 않는 경우 ‘픽’에서 ‘장소’까지의 간격을 메우기 위해 수백 줄의 추가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다. 액티나브 자동화 빈 피킹은 모든 것을 변경하여, 빈 피킹 배치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거나 제한적인 제조업체인 경우 최소한의 작업자 개입으로 높은 기계 가동 시간과 정확한 부품 배치를 신속하게 달성 할 수 있다. 액티나브는 실시간 자율 모션 제어, 협동로봇, 비전 및 센서 시스템을 사용하기 쉽고 빠르게 배포하며 비용 효율적인 키트에 결합한다. 이 시스템은 비전 또는 로봇
[첨단 헬로티] 다양한 스마트제조 기기의 상호연동 애로 해소를 위해 정부가 스마트제조 기기(장비, SW, 센서 등) 간 상호운용성을 검증하는 행사를 마련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제조 장비(센서, 제조로봇 등) 간, 소프트웨어(MES 등) 간, 또는 장비와 소프트웨어 간 데이터 형식과 통신 규격 등에 대한 해석․구현의 차이로 상호 연동되지 않는 문제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표준원)은 지난 22일 안산 SMIC 데모공장에서 ‘제2회 플러그페스트(Plugfest)’를 개최했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전자부품연구원(KETI)이 주관한 이 날 행사에는 LS산전, 한화로보틱스, 한컴MDS, 지멘스, 유니버설로봇 등 국내외 15개 스마트제조 기기 제조사가 참여했다. 이 행사는 국제표준(IEC 62541)으로 제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설계․제조된 스마트제조 기기 간 상호연동성을 시험하고, 제조사별로 필요한 보완 사항을 진단, 컨설팅하는 행사로 지난 해 11월 첫 개최 이후 2회 째를 맞았다. 이 날 행사에 참가하는 회사들은 자사에서 이미 출시했거나 개발 중인 장비와 소프트웨어
[첨단 헬로티] 유니버설로봇이 기존보다 더 무거운 중량을 다룰 수 있는 협동로봇을 선보이며 글로벌 선두주자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유니버설로봇은 지난 1일 경기도 판교에 있는 유니버설로봇 한국지사 사무실에서 신제품 ‘UR16e’를 소개하는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 ‘UR16e' 신제품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유니버설로봇 한국지사의 김해랑 사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가반하중 16kg의 UR16e는 유니버설로봇의 제품 중 가장 무거운 부품과 제품을 들어 올리고 이동 운반할 수 있는 협동로봇이다. 기자간담회에서 유니버설로봇 한국지사 김영우 과장은 “UR16e는 더 강력해진 힘뿐만 아니라 900mm의 도달 거리, ±0.05mm의 반복성을 지니고 있어 더 무거운 부품과 제품들의 취급이 가능하며 머신 텐딩 등의 공정을 자동화하기에 이상적”이라고 설명했다. e-시리즈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UR16e는 3가지 이점으로 제조업에 가치를 제공한다. 첫째, 간편한 프로그래밍과 작은 설치 공간을 통해 빠르고 마찰 없는 공정을 구현할 수 있다. UR16e은 유니버설로봇의 다른 제품들처럼 제품 개봉부터 설치 및 프로
[첨단 헬로티] 유니버설로봇의 김병호 부장은 협동로봇이 제조업은 물론이고 새로운 비즈니스의 도구로써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는 만큼, 로봇코디네이터들의 역할도 매우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유니버설로봇은 사람의 가치를 더 높여주고, 보조자로서 로봇의 역할을 강조하는 한편, 마치 드라이버나 전동드릴 정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교육 제공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한다. ‘2019 로보월드’에서도 새로운 로봇 추가 발표와 함께 진화하는 유니버설로봇의 모습을 보여줄 계획이라고 한다. ▲ 유니버설로봇 김병호 부장 Q. 올해 협동로봇 시장 이슈와 전망은. A. 다양한 산업 분야의 요구와 애플리케이션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고하중(Payload)의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AMR을 활용한 물류자동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또한, 공장자동화를 넘어서 일상생활에 접근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그 예로 협동로봇을 활용한 칵테일 서비스, 핸드드립 커피 서비스 등이 국내에서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Q. 유니버설로봇의 주력사업과 경쟁력은. A. 유니버설로봇은 협동로봇을 도구로 활용하는 자동화와 새로운 비즈니스의 도구로써
[첨단 헬로티] 유니버설로봇 코리아가 사무실 확장 이전과 함께 공인 교육 센터의 본격적인 출범을 알렸다. 유니버설로봇의 공인 교육 센터는 현재 판교에 위치한 유니버설로봇 코리아 사무실에서 본격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앞으로 지역별 유니버설로봇 공식 대리점과, 협약을 맺은 각 대학교에도 설립될 예정이다. ▲ 유니버설로봇 코리아의 공인 교육 센터 공인 교육 센터는 오프라인 수업으로,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을 현장에서 직접 만지고 프로그래밍 할 수 있으며, 교육 받은 사람들이 실제 현장에서도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데모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교육은 유니버설로봇으로부터 인증된 강사들에 의해 진행된다. 유니버설로봇은 채널 파트너사들을 시작으로 교육 대상자를 넓혀나갈 계획이며, 이를 위해 공인 교육 센터 교과과정을 통한 인증 강사를 배출할 계획이다. 유니버설로봇의 공인 교육 센터는 무료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유니버설로봇 아카데미가 확장된 것으로 기존에 제공되던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과정은 물론 고급자 및 실무자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유니버설로봇 아카데미는 2017년 출범하여 현재까지 전 세계 130여 개국 이상의 나라에서 약 5만 500
[첨단 헬로티] 협동로봇의 글로벌 리더 유니버설로봇과 포스코 ICT가 스마트 팩토리 및 산업용 협동로봇 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결합하고 협동로봇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 유니버설로봇과 포스코 ICT 협약식 단체 사진. 왼쪽부터 포스코 ICT 황상돈 팀장·안승희 그룹장·오숭철 전무·손건재 사장, 유니버설로봇 코리아의 김해랑 사장·김병호 부장·성황현 과장. 협약식은 유니버설로봇 코리아 김해랑 사장과 포스코 ICT의 손건재 사장을 포함하여 포스코 ICT의 오숭철 전무, 안승희 그룹장, 황상돈 팀장과 유니버설로봇 코리아의 김병호 부장, 성황현 과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7월 23일 진행됐다. 포스코 ICT는 로봇 통합 O&M 운영 솔루션인 ‘IRaaS(Industrial Robots as a Service)’를, 유니버설로봇은 IRaaS에 협동로봇을 제공하여, 유니버설로봇의 국내 대리점 망을 활용한 마케팅 및 유통에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유니버설로봇은 대리점과 연계하여 IRaaS 솔루션
[첨단 헬로티] 협동로봇 글로벌 제조기업인 유니버셜로봇이 지난 6월 25일 서울 라마다호텔에서 '협동로봇 서울 세미나'를 개최했다. 협동로봇 서울 세미나에서는 협동로봇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 도입 방법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UR+ 앱스토어의 유니버셜로봇 플러스, 중견 중소기업을 위한 협동로봇 도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로봇렌탈사업 상품이 소개됐다. ▲ 협동로봇 제조기업인 유니버셜로봇이 6월 25일 서울 라마다호텔에서 '협동로봇 서울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는 총 다섯 개의 주제 발표로 구성됐다. 첫 번째 발표는 유니버설로봇 김병호 부장이 'why cobot? 협동로봇의 필요성 How? 협동로봇 도입방법과 적용 사례'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어 유니버설로봇 성황현 과장이 'UR+ 앱스토어, 유니버설로봇 플러스란?'이라는 주제로 두 번째 발표를 진행했으며, GS글로벌 박찬완 차장의 '중견·중소기업들을 위한 협동로봇 도입 및 로봇렌탈사업 상품 소개' 발표가 진행됐다. Onrobot 최민석 지사장의 'UR+ : Onrobot 협업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원 스톱 샵', Pickit 구성용 지사장의 'UR+ : Pick-it 3D
[첨단 헬로티] 협동로봇의 글로벌 기업 유니버설로봇이 S펜의 기능검사 공정에 최초로 도입되었다고 22일 발표했다. 유니버설로봇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으로부터 협동로봇 안전인증을 받았으며, 17개의 안전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별도의 안전 설비를 생산라인에 설치하지 않고서도 단시간에 설치하고 운용이 가능하다. ▲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 라인 중 하나인 UR5e S펜 기능검사에 도입된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은 사람의 손과 같은 정밀함과 섬세함을 갖추고 있다. 기능검사도 마치 사람이 펜을 사용하듯이 로봇이 직접 S펜을 쥐고 검사를 실시한다.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이 적용된 생산공정에는 안전 펜스가 필요 없어, 생산성은 높이면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S펜 기능검사 공정에 협동로봇을 빠르게 적용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협동로봇이 가진 특징인 설치 및 운용의 간편함이다. 협동로봇은 기존의 산업용로봇과는 달리 생산 라인을 변화시키지 않고서도 충분히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유니버설로봇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협동로봇 설치 작업장 안전인증’ 규정에 따른 관련 기준에 적합성을 인증 받아, 안전 펜스 없이 설치가 가능했다. 또한
[첨단 헬로티] 협동로봇 글로벌 기업 유니버설로봇이 지난 7일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엘타워에서 협동로봇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제조업 및 관계자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분야, 의료 분야 등 1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협동로봇의 기초부터 실제 적용사례, 안전인증 절차 등 다양한 내용이 다뤄졌다. ▲ 지난 7일에 열린 유니버설로봇 협동로봇 세미나 서울에서는 1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세미나는 이용상 유니버설로봇 한국 영업 본부장의 발표로 시작되었다. 이용상 본부장은 ‘Why cobot? 협동로봇의 필요성’이란 주제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산업 현장 속에서 협동로봇이 가지는 이점과 전망을 소개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동로봇 도입과 적용사례도 소개되어 협동로봇이 미래사회에 어떤 이점을 가지는가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백형택 선임연구원의 ‘협동로봇 도입에 필요한 안전인증 설명과 절차’를 주제로 한 발표도 진행됐다. ▲ 유니버설로봇 이용상 본부장은 ‘Why cobot? 협동로봇의 필요성’이란 주제로 발표했다. 이후 유니버설로봇
[첨단 헬로티] 협동로봇의 글로벌 전문기업 유니버설로봇은 요르겐 본 홀렌 사장이 방한 중 현대자동차 의왕연구소를 지난 12일 방문했다고 밝혔다.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은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제조산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 현대자동차 관계자와 함께 전장집중검사시스템을 둘러보고 있는 요르겐 본 홀렌 유니버설로봇 사장 유니버설로봇 홀렌 사장의 이번 방문은 현재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을 활용해 현대자동차가 개발한 전장 집중검사 시스템을 둘러보고 관계자들과 미팅을 갖기 위해 이뤄졌다. 이날 미팅에서 양사는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관계를 강화하여 유연한 자동화 시스템 개발에 함께 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 의왕연구소 관계자는 유니버설로봇과 함께 자사 협력사들의 생산성 향상을 돕는 활동을 적극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요르겐 본 홀렌 사장이 둘러본 전장집중검사시스템은 총 6대의 유니버설로봇 협동로봇으로 운용된다. 현대자동차가 개발한 이 기술은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과 안전 관련 시스템을 하나의 공정에서 일괄 자동 검사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같은 날 오후, 홀렌 사장은 국내 밸브, 실린더 제작업체인 KCC정공도 방문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품질의 밸브
[첨단 헬로티] “UR 로봇은 가장 검증된 협동로봇이다.” 유니버설로봇(UR) 한국 영업을 총괄하고 있는 이용상 본부장은 유니버설로봇 제품의 장점을 이렇게 한마디로 요약했다. 그도 그럴 것이 유니버설로봇은 2008년부터 협동로봇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지난 10여 년 동안 전 세계에 2만7,000대 이상을 판매해 오며, 현재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60%를 차지할 정도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용상 본부장은 “사람이 로봇을 도구로 이용해 밸류를 높이고 회사의 가치를 높이는 시대가 오고 있다”며, “이러한 가치와 비전을 믿고 유니버설로봇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앞으로도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2022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50% 목표를 위해 올해는 국내 중소기업 대상 마케팅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한다. 협동로봇 시장 전망과 UR의 영업 전략을 이용상 본부장에게 들어봤다. ▲ 유니버설로봇 한국영업 총괄 이용상 본부장 Q. 국내 협동로봇 시장 전망은. A. 협동로봇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경우 유독 어려운 한 해였음에도 불구하고 협동로봇 시장은 큰 성장세를 보였다.
[첨단 헬로티] 협동로봇 글로벌 기업인 유니버설로봇이 자동차 산업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스페인 유력 자동차산업 전문 매체 오토레비스타의 ‘2018년 오토레비스타 기술혁신상’을 받았다. ▲ 오토레비스타 관계자(왼쪽)와 유니버설로봇 개발 매니저 조르디 펠리그리 오토레비스타 기술혁신상은 오토레비스타가 매년 자동화 산업에 기여한 공로가 큰 개인이나 기업에게 수여하는 명망 있는 상으로, 유니버설로봇은 이 상을 통해 지멘스, 보쉬, 바이엘, 바스프, 헥사콘메트롤로지, ZF 등 자동화 기업들과 함께 명예의 전당에 오르는 영예를 안게 됐다. 오토레비스타 관계자는 "유니버설로봇의 협동로봇으로 자동차 산업 내 특정 생산 공정의 효율성이 매우 높아졌으며. 미래 기술 가치와 기업들이 더 큰 성장을 이루도록 기여한 공로가 크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1959년에 처음 출판된 오토레비스타는 스페인 내에서 자동차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취재하고 있는 유일한 매체로 OEM, R&D, 원자재 공급업체, 물류, 신기술 및 산업 장비 등 자동차 산업 전반을 다루는 전문 월간 매체이다. 오토레비스타는 3만명 이상의 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