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서재창 기자] 로보시스는 지난 10월 20일(화)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 용접 전문 전시회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로봇 가공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에 로보시스 이춘재 대표를 만나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들어봤다. ▲로보시스 이춘재 대표(사진 : 서재창 기자) 먼저 로보시스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저희 로보시스는 기술벤처로 창업한 회사로서 다관절 로봇 시스템 시뮬레이션 및 오프라인 프로그래밍 분야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인 ABB와 화낙, 스토브리 및 현대로보틱스 사의 로봇을 직접 공급 받아 소프트웨어 응용 기술과 최적의 하드웨어 설계 기술을 적용한 고객 맞춤형 로봇 가공 통합 솔루션을 제작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로보시스의 로봇가공시스템은 어떤 특징을 보유하고 있나요? 이제까지 산업현장에서 활용된 로봇은 주로 이송, 적재, 분배, 조립 등 단순 작업에 치중돼 있었습니다. 가공 영역에서는 동작이 극히 단순하거나 작업의 정밀도가 높지 않은 공정에서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었죠.
[헬로티 = 서재창 기자] 웰드비스는 지난 10월 20일(화)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 용접 전문 전시회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용접 비전 카메라를 선보였다. 이에 웰드비스 김인균 대표를 만나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들어봤다. ▲웰드비스 김인균 대표(사진 : 서재창 기자) 먼저 웰드비스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웰드비스는 용접 작업에 필요한 비전 솔루션을 개발 중인 기업입니다. 지난 2010년에 출시한 1세대 용접 비젼 카메라 개발을 시작으로, 지난해 1사분기에는 2세대 디지털 용접 비젼 카메라를 개발해 시장에 출시한 바 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나요? 웰드비스는 국내 용접 비전 시장에서의 국산화를 이루고자 합니다. 더불어 국산 장비에 대한 낮은 인지도와 선입견도 개선하고 싶습니다. 이는 저희 장비의 우수성을 내세워 기존 제품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환기할 수 있을 거라는 확신에서 비롯됐습니다. 이를 위해 저희는 자사가 개발한 고품질 카메라를 홍보하고자 전시회에 참가하게 됐고, 이후 장비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
[헬로티 = 서재창 기자] 가온소프트는 지난 10월 20일(화)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 용접 전문 전시회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자사의 제조실행시스템(MES) 등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소개했다. ▲웰딩코리아 2020에 참가한 가온소프트의 부스 전경(사진 : 서재창 기자) 가온소프트가 개발한 제조실행시스템은 생산설비 I/F로 나타나는 실시간 데이터 집계 시스템, 바코드를 활용한 공정별 Lot 관리로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 SPC, SCM, HR 등 모듈별 단계적 구축이 가능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스마트팩토리 컨설팅 및 구축에 활용되며, 센서를 통한 정보 수집 및 레거시 시스템 연계, 빅데이터 분석 등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가온소프트가 개발한 ERP 솔루션 개발로 공공 및 민간부문·농축수산 유통물류 부문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가온소프트는 두산중공업, 삼성테크윈, 현대로템 등의 기업에 자재추적관리시스템, 물류시스템을 지원하고 있다. 한편, 지난 2000년부터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에 주력해온 가온소프트는 경상남
[헬로티 = 서재창 기자] 코시스는 지난 10월 20일(화)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 용접 전문 전시회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자사의 가공기계 라인업을 전시했다. ▲사진 : 서재창 기자 전시회에 모습을 보인 H-빔 드릴 머신 'newRun7 DX'는 최대 700x400mm H빔, 찬넬, 각파이프, 앵글바 홀가공 자동가공이 가능한 장비다. 초경드릴 전용기계로 홀가공 속도가 일반 HSS드릴보다 5배 이상 빠르며, X축 드릴이동이 가능해 더욱 빠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원을 활용한 기계 진단 및 원인 파악으로 즉각적인 문제해결이 가능하며, 사무실과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하나의 신제품인 플레이트 드릴 머신 'X-one 106'은 최대 가공 범위가 1,000X600mm이며 드릴 작업 후 발생한 홀 뒷면의 버를 동시에 자동제거하는 기능을 탑재했다. 기존 제품보다 업그레이드된 고속 RPM과 고 토크 스핀들을 장착, 초경드릴을 사용해 빠른 홀가공이 가능하다. CAD 프로그램 DXF file 입력이 가능해졌으며, MS
[헬로티 = 서재창 기자] 월드웰은 지난 10월 20일(화)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 용접 전문 전시회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자사의 용접기 라인업과 용접 로봇을 소개했다. ▲웰딩코리아 2020에 참가한 월드웰 부스 전경(사진 : 서재창 기자) 월드웰의 용접로봇인 'WR1400-06'은 RV 기어 감속기 4개와 HD 기어 감속기 2개가 장착돼 강성이 높은 맞춤형 디자인으로 제작됐다. 이 용접로봇은 감속기와 모터를 통합돼 조인트의 정확도 및 내구성이 높아졌다. 용접로봇의 일체형 토치는 케이블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줄여 피로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며, 용접 와이어의 경로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와이어 스풀은 로봇의 본체에 장착돼 와이어 공급 경로 및 저항을 크게 줄이고 고정밀 용접을 보장한다. 월드웰은 지난 1991년부터 SCR 용접기 제조를 시작으로 인버터용접기, 특수용접기, 멀티플용접기, 용접자동화장비에 이르기까지 국내 대표 용접기업으로 성장해왔다. ▲사진 : 서재창 기자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품질관리, 투명하고 내실
[헬로티 = 서재창 기자] 아이지엠서비스코리아는 지난 10월 20일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 용접 전문 전시회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igm 용접로봇 시스템을 소개했다. ▲웰딩코리아에 참가한 아이지엠서비스코리아 부스 전경(사진 : 서재창 기자) igm 용접로봇 시스템은 대형, 후판의 용접이 가능한 용접 전용 시스템이다. 용접을 위해 최적화된 모션과 구조를 가진 핸들링로봇이 결합돼 고객이 원하는 품질의 용접을 수행하도록 설계됐다. 또한, 기존의 자동화설비와도 쉽게 연동·제어되는 주변장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무인 용접 시스템 및 자동화 시스템에 적합하다. 이 용접 시스템은 철도산업, 건설장비 분야, 지게차, 크레인, 광산 장비, 보일러 및 탱크, 케이블카, 선박, 농업용 기계 등의 생산에 적용되고 있다. 한 예로, 철도 분야에서는 화물 및 여객수송을 위한 화물열차, 고속철도, 지하철, 전차를 제작하기 위한 모터 케이스, 차체, 대차, 측면패널, 지붕, 전면 패널을 생산한다. 건설장비 분야에서 적용되는 굴삭기 생산을 위한 시스템은
[헬로티]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10월 21일부터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스마트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인 ‘WeDAS 2.0’을 선보였다. ▲현대중공업그룹 부스 전경(사진 : 서재창 기자) WeDAS 2.0는 용접 공정 모니터링을 통한 용접작업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해 개발됐다. 이 시스템은 로봇용접 및 수동용접 모두 적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 솔루션이다.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용접 공정에 걸친 자동화 및 수동 작업현황을 모니터링하며 추출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용접공정 현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특히 PC, 태블릿PC, 모바일 등 모든 디바이스에서 접속할 수 있기에 신속한 작업 지시 및 관리가 가능하다. WeDAS 2.0은 전 공장 모니터링부터 공장 별 모니터링, 개인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그 안에서 용접 자동화율 분석, 개인별 비적정 전류 및 전압 현황, 용접기 가동현황, 개인별 작업현황, 실시간 그래프, 작업자 숙련도 판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용접작업의
[헬로티 = 서재창 기자] 용접산업을 총망라하는 용접 전문 전시회인 '2020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 자동화기술전(WELDING KOREA 2020, 이하 웰딩코리아)이 10월 20일인 오늘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됐다. ▲웰딩코리아 2020이 20일인 오늘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막했다. 웰딩코리아는 전시업계 최고 위상을 보유한 국제전시협회(UFI)로부터 UFI 국제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인증 이후 계속되는 관련 분야 전문 전시회며, 경남 지역 유일의 국제인증 전시회이기도 하다. 오는 10월 23일까지 총 4일간 열리는 웰딩코리아는 올해 19회를 맞았다. 지난 8월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경남권에서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첫 번째 전시회다. 코로나19 여파에도 불구하고 이번 전시회는 약 60여 기업가 참여하면서 용전산업에 대한 주목도를 높였다. 코시스, 아이지엠서비스코리아, 월드웰 등 대표 용접기업뿐 아니라 용접자동화, 가공기기, 용접부품 및 주변기기, 절단기, 용접기기 등을 다루는 여러 업체가 참여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기업 중 다수는 용접 자동화 보급사업에 맞춘 용접 자동화 품목을 강화했다. 전시장 내에는 용접로봇과 용접 자동화, 모니터
[첨단 헬로티] ‘2018 창원국제용접 및 절단기술전(WELDING KOREA 2018)’이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다. 1989년 1회 개최 이후 올해로 18회째를 맞이하는‘웰딩코리아 2018’은 경상남도와 창원시가 주최하고 창원컨벤션센터 전시팀이 주관하는 30년 역사의 용접·절단기술 전문 전시회이다. 클라크슨 리서치에 따르면 2월 한국의 선박 발주량은 전세계 전체 발주량의 52.3%를 차지하며 중국을 제치고 다시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용접·절단 최대 수요산업인 조선 및 중공업이 본격적으로 턴어라운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전시회는 참가사가 실질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는 혜택과 행사 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웰딩코리아 2018은 참가비가 유사 전시회 대비 50%이상 저렴하다. 특히 올해는 신제품, 신기술 할인을 도입, 해당 업체의 참가비 예산 절감효과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온·오프라인 미디어 홍보기회도 함께 주어진다. 원거리에서 참가하는 업체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호텔 객실 및 주차장을 무상으로 지원하며 전시제품이 많아질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