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산업계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비롯해 환율 악재 등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실제로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그동안 성장을 이끌어온 수출이 전년대비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 금형 수출은 29억2,592만 달러, 수입은 1억7,749만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 27억4,858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전년대비 9.3% 하락했으며, 수입은 11.7%가 증가했다. 꽁꽁 얼어붙은 내수경기가 좀처럼 풀리지 않은 가운데, 2015년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세계 경제 악화 등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던 수출이 전년대비 하락했다. 특히 우리나라 전체 금형수출의 32.5%를 차지하는 중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이 하락함에 따라 전체 수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금형산업이 특정 국가의 경제 악화 등에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출 판로개척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신기술 개발 등이 필요해 보인다. 대중 수출, 2년 연속 1위 등극 인도·미국·베트남·멕시코 수출 2억 달러 넘어 국가별 금형 수출을 살펴보면 201
지난해 우리나라 기계산업은 중국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미국 회복세 약화, 엔저에 따른 경쟁 심화 등으로 수출이 감소세를 보였다. 2016년에도 여전히 중국 경기 부진과 엔저 지속, 저유가 등으로 당분간 회복세가 미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내수의 경우 스마트 공장 확대에 따른 기계류 설비 및 시스템 수요가 어느 정도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 기계산업의 생산·수입·내수·수출 동향과 전망 2015년 일반기계 내수는 국내 건설경기 부진에 따른 중장비 수요 둔화, 주요 수요기업들의 고정투자 회복 지연 등이 주요 요인으로 전년대비 1.9%의 감소세를 지속했다. 수출 역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 기록했다.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 감소세가 두드러지면서 전년대비 2.4% 줄어든 429억 달러 수준을 유지했는데, 하반기 수출증가율이 크게 부진했던 것은 중국의 경기 둔화, 엔저 기조에 따른 일본과의 제품 경쟁 심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생산 역시 수출 및 내수 위축으로 증가세 1%대를 기록했는데, 내수 및 수출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함에도 불구하고 약간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수입은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내수 부진과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한정된 내수시장에서 벗어나 수출을 통해 성장을 거듭해 왔으나, 지난해에는 수출마저 감소세로 전환되어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올해는 선진국 경기 회복, 신제품 출시 확대, 하계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소폭이나마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수출이 반등하기 위한 기대 요인이 약하고, 최근 대기업 생산기지 해외 이전 및 미국의 금리 인상, 엔저 지속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좀처럼 내수 경기가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주요 수요기업인 대기업의 해외 이전과 신규 제품 개발 감소로 금형산업은 물론, 대다수의 제조업계가 힘든 시기를 보냈다. 더욱이 장기화된 엔저 현상으로 인해 일본 금형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하였고, 한·중 FTA 발효로 중국 금형의 국내 시장 진출이 더욱 본격화되어 우리나라 금형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그 동안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한정된 내수 시장에서 벗어나 수출을 통해 성장을 거듭해 왔으나, 지난해에는 수출마저 감소세로 전환되는 결과를 낳았다. 지난 2014년 수출 32억 달러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의 금형 수출국에 올라선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2015년 전년대비
2015년 하반기 기계산업은 미국 등 선진국 경기 회복에 힘입어 생산과 수출 모두 소폭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한국기계산업진흥회에서 개최한 기계산업 동향연구회 결과에 따르면, 일반기계, 전기기계, 정밀기계, 기계요소, 금속제품 등 5대 기계산업의 하반기 생산은 228조 원, 수출은 965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43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5대 기계산업 중 일반기계는 하반기에 생산 52조 원, 수출 232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43억 달러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올해 연간 전체로는 5대 기계산업 생산이 전년대비 2.5% 증가한 457조 원, 수출은 2.2% 증가한 1,897억 달러, 무역흑자는 863억 달러, 일반기계는 생산이 103조 원, 수출 464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 94억 달러로 연초 전망한 수준보다는 다소 낮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동향연구회 연구위원들은 기계산업 경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지만 그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경기가 양호한 흐름을 유지하고, 역내 경기불안 등으로 인해 상반기 부진했던 EU를 중심으로 글로벌 소비가 회복되어 경기의 완만한 회복세를 이끌 것으로 보
올해 상반기 중 발생한 메르스 사태에 따른 내수부진 여파가 지속되면서 우리나라 산업계가 흔들리고 있다. 더욱이 환율 악재로 수출까지 부진해지면서 기업들은 올 상반기 최악의 시기를 보냈다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금형산업도 큰 영향을 받아 그 동안 성장을 이끌어온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에 의하면, 우리나라 2015년 상반기 금형 수출은 15억6,966만 달러, 수입은 8,260만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 14억8,706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16억7,467만 달러의 실적을 거둔 전년동기 대비 6.2% 감소했다. 우리나라 최대 수출지역인 일본으로의 수출이 전년동기 대비 25%가 감소함에 따라 전체 수출 하락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금형산업이 특정 국가의 경제악화 등에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출 판로개척과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신기술 개발 등이 필요해 보인다. (단위 : 천달러) ■ 2015년도 상반기 금형 무역수지 <출처: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 중국 2년 연속 금형 수출 1위국 ... EU 등 신흥시장 강세 지난해부터
일본 엔저 등의 여파로 인해 우리나라 금형 수출입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형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간 중 우리나라 금형 수출은 8억1,985만 달러, 수입은 4,111만 달러를 기록해 무역수지는 7억7,874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은 지난해 동기대비 1.0% 감소한 결과이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 처음 8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최근 경제 상황을 감안하면 선전한 것으로 평가된다. 일본 엔저현상 등의 요인으로 1분기 금형 수출은 감소로 이어져 2010년 이후 매년 갱신해 온 금형 수출 최대 실적이 올해는 불투명해 보인다. 그러나 지난해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수출 32억 달러의 최대 실적을 기록함에 따라 우리나라 금형 수출이 하반기부터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도 예상된다. 중국, 인도, 신흥시장 수출 강세 1분기 중에는 지난해부터 지속되어 온 중국 금형 수출 증대 현상이 두드러졌다. 중국으로의 금형 수출은 1억5,116만 달러의 실적을 보여 지난해 동기대비 17.1%가 증가한 수치를 나타냈다. 이를 단순 계산해 보면 올해 중국은 사상 처음 6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해 중국으로의 금형 수출은 1분기 1억2,956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