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지엔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산업용 액츄에이터, 중공감속기, 미니 전동실린더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엔비 ‘KGB시리즈’는 볼스크류를 활용한 산업용 로봇(액츄에이터)으로, LM가이드 일체형의 구조로 설계되어 컴팩트한 공간 대응이 가능하다. 고강성, 고정밀도를 실현하였으며 휴대폰, 반도체·디스플레이, 로봇장치 등 모든 산업 자동화 설비에 광범위한 적용이 가능하다. 지엔비 ‘GSR시리즈’는 지엔비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중공감속기로 고강성, 고정밀도를 실현하여 높은 신뢰성을 보이고 있다. 고정도 위치결정을 비롯하여 부하 관성 및 모멘트 하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용도/조건에 적용 가능하다. 지엔비에서 자체 개발한 미니 전동실린더는 알루미늄 소재를 채용, 소형·경량의 고 추진력 전동 실린더다. 소형구조로 공간제약이 있는 장비에 적용 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고 있으며, 반복 정밀도 및 속도 변경과 가감속 구현에 용이한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파스텍(대표 송진일)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파스텍은 SF+AW 2021에서 이더켓 토탈 솔루션, 이지스피드 등 제품을 전시한다. 파스텍의 이더켓 토탈 솔루션은 이더켓 기반의 클로즈드 루프 스테핑 시스템으로 CiA 402 드라이브 프로파일을 지원한다. 최소 사이클 타임은 0.25msec이고, 각종 마스터제어기와 실제 호환성 테스트 및 검증을 받았다. 고분해능 엔코더 채용에 따른 고정밀도(10,000/ 20,000[ppr])를 구현했으며 부하에 따른 전류 제어로 발열을 억제한다. 이지스피드는 BLDC Motor Speed Control System으로, 컴팩트한 사이즈에 사이즈 대비 높은 토크를 자랑한다. 높은 퇴대 속도와 넓은 속도 제어 범위를 가졌으며 FOC (Field Oriented Control)에 의한 전류 제어와 부하 변동 시에도 안정적인 응답을 구현한다. 효율적인 제어로 발열 억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파스텍은 높은 위치 정밀도, 높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아이알로봇(대표 박홍서)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아이알로봇은 SF+AW 2021에서 미니 리니어 서보 액츄에이터 제품을 전시한다. 전시되는 미니 리니어 서보 액츄에이터는 ▲초소형 사이즈 ▲드라이브 회로 내장 ▲역동적 스피드 컨트롤 ▲포지션 및 포스 컨트롤 ▲데이터 통신 제어 및 포지션 피드백 ▲고출력/고내구성의 12V 코어리스모터 채용 등 특징을 가졌다. 아이알로봇의 미니 리니어 서보 액츄에이터는 드라이브 회로, 모터, 기어박스, 위치인식 센서 등이 컴팩트하게 일체형으로 구성된, 선형 위치제어가 가능한 제품이다. RS-485 또는 TTL 등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여러 파라메터에 대한 제어명령을 내리고 피드백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펄스값에 따라 위치를 지정하는 PWM(PPM) 제어도 가능하고, 소형 일체형 컨셉으로 설비의 경량화·소형화가 가능하다. 아이알로봇은 2003년 창립이래 로봇산업에서 주되게 서비스로봇 제품을 선보이며 로봇 설계 및 제어기술을
[헬로티] 삼성전기는 광학 10배 줌 폴디드 카메라모듈을 개발해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스마트폰 카메라에서 폴디드 형태의 광학 10배 줌 구현은 국내 최초다. 광학 줌은 멀리 있는 피사체를 화질 저하없이 가까이 당겨 사진을 찍는 기능으로, 이미지센서와 렌즈간의 거리 즉, 초점거리가 멀어질수록 고배율 광학 줌을 구현한다. 2019년 삼성전기는 빛을 잠망경 형태로 굴절시켜 초점거리를 확보한 폴디드 카메라모듈을 개발, '카툭튀' 없이 5배 광학 줌 구현에 성공한 바 있다. 하지만 폴디드 방식을 적용해도 광학 줌 배율을 확대하면 카메라모듈의 길이는 증가해 스마트폰 내 공간 효율성이 떨어진다. 삼성전기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빛을 두번 굴절시켜 초첨거리를 2배로 늘리면서도 카메라모듈 길이는 25%만 증가한 듀얼 폴디드 카메라모듈을 개발했다. 또한 삼성전기는 카메라모듈 높이를 줄이기 위해 렌즈의 위아래를 절단한 독자적인 렌즈를 적용했다. 이 렌즈는 빛 투과율에 영향을 끼치는 평탄도 조절이 어려워 제작 난이도가 높다. 특히 저손실 표면코팅 기술로 빛의 굴절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손실을 최소화 했고, 고감도 센서 볼가이드 액츄에이터를 적
[첨단 헬로티] 2017년 매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 광전자(Optoelectronics), 센서‧액츄에이터(Sensors/Actuators), 디스크리트(Discretes) 반도체의 매출이 사물인터넷(IoT) 효과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도 높은 성장이 기대된다.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2017년 O-S-D 반도체는 전년 대비 11% 증가한 753억 달러로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O-S-D 반도체가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웨어러블 등 전자 디바이스의 꾸준한 증가와 IoT를 통한 수십억 건의 디바이스 연결, 다양한 센서의 확산, CMOS 이미지 센서 그리고 LED 조명의 인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광전자 반도체의 매출은 2016년 4% 감소했지만 2017년 9% 증가하면서 369억 달러를 기록했고, 센서‧액츄에이터는 전년 대비 16%로 가장 높게 증가하면서 138억 달러 매출을 달성했다. 디스크리트는 2017년 전년 대비 12% 증가하면서 246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2018년 광전자 반도체는 8%, 센서‧액츄에이터는 10%, 디스
[첨단 헬로티]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사람의 신체 주요 관절에 17개의 센서와 10개의 엑츄에이터(Actuator)를 부착해 배우는 대상과 나의 움직임을 3D로 분석·비교해 올바르지 않게 동작시, 진동 신호를 줘 교정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을 통해 17개 관절마다 설치된 센서를 통해 얻은 데이터값으로 관절의 각도나 3차원 위치좌표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우기 어려운 운동의 동작이나 척추 자세교정, 재활치료 등 움직이는 동작을 따라하는데 유용하다는게 ETRI 설명이다. 예를 들면, 골프나 야구를 배울 때 지도자로부터 교육 받은 뒤 본인의 스윙 모습을 유명 선수와 비교해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이때 팔꿈치 각도나 머리 위치 등 세부적인 데이터들이 화면에 표시되어 선수의 동작과 본인의 차이를 계산을 통해 알려줘 보정해 주는 원리다. 특히 운동시 틀린 동작을 하게 되면‘드르륵’하며 진동을 느껴 해당부분의 학습에 집중할 수 있다. 특정 부분이 문제일 경우 집중적으로 해당부분에 센서 장치를 설치, 강화훈련도 가능하다. 이번 기술개발로 자세의 교정이나 동작을 요하는 학습 시간을 획기적으
세라토크는 피에조 기술을 기반으로 액츄에이터, 모터 및 센서 등 각종 에너지 변환기기를 연구 개발하고 제조하는 기업이다. 국내 유일 주문제작형 초음파 스프레이 노즐 설계기술을 확보하여 정부출연연구소, 학교 및 기업 등에 차별화된 기술과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세라토크에서 제조하는 모든 제품은 FEA(Finite Element Analysis)를 통하여 최적화된 설계를 바탕으로 자사 고유의 세라믹 소재 및 공정 기술에 의하여 완성된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