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LG화학은 열팽창 수준이 낮아 온도 변화에도 물질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PC/ASA 난연 소재인 ‘LUPOY EU5201’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소재는 태양광 패널 프레임의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패널 프레임은 태양광 패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널을 보호하고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건물 외벽, 지붕 등 태양이 직접 내려 쬐는 외부에 장기간 노출되기에 내열성과 부식에 강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태양광 패널 중 약 10%의 비중을 차지하며, 주로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된다. LG화학이 이번에 개발한 ‘LUPOY EU5201’은 폴리카보네이트 컴파운드에 유리섬유를 첨가해 일반 플라스틱의 기계적 물성을 보완한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다. 기존 알루미늄과 동일한 수준의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무게가 절반 정도로 가볍고 가격 경쟁력까지 뛰어나다. 또한, 온도 변화에도 형태를 유지하는 치수 안정성이 우수해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변질되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자외선 노출에 의한 화학 분해를 줄여 제품의 수명도 일반 플라스틱 대비 대폭 개선해 장기간 자외선에 노출돼도 색상이 그대로 유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포스코가 미래차 강판 수요 대응과 시장 선점을 위해 기가스틸(초고강도 경량강판) 100만 톤 생산체제를 구축했다. 기가스틸은 인장강도 1GPa 이상의 초고강도 경량강판으로 1mm² 면적당 100kg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 내구성과 안전성이 뛰어나고, 동급의 타 소재 대비 탄소 배출량이 적어 친환경적이라 ‘꿈의 자동차용 강판’이라고 불린다. 지난 17일 포스코는 광양제철소에서 포스코 김학동 대표이사 사장, 김영록 전남도지사, 서동용 국회의원, 르노삼성 황갑식 구매본부장, 엠에스오토텍 이강섭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 기가스틸(초고강도 경량강판) 100만 톤 생산체제 구축’ 행사를 가졌다. 김학동 사장은 인사말에서 “광양제철소는 1987년 4월 첫 쇳물을 생산한 이후 연간 950만 톤의 자동차강판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이자 최고의 자동차강판 전문제철소로 거듭났다”고 말하며 “이번 기가스틸 100만 톤 생산체제 구축은 포스코가 급성장하는 뉴모빌리티 시장에서 친환경차 소재 전문 공급사로서 글로벌 우위에 확실하게 서는 계기가 될 것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최근 자동차산업은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 위주로 산업구조
헬로티 함수미 기자 | 그린플러스가 친환경 알루미늄 사업 확대에 나선다. 그린플러스는 친환경 알루미늄 스마트 물류제품 ‘그린테이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그린테이너는 물류 창고 등에서 물류를 담고 이동할 때 사용되는 스마트 물류제품이다. 그린테이너는 친환경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어 중량을 대폭 감소시킨 것이 특징이다. 현재 물류산업에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목재 및 플라스틱, 스틸 대비 중량이 약 55% 감소해 작업 편리성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사고 감소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뿐만 아니라 자체 중량 감소로 물류 이동 시에 발생하는 연료비를 감소 시켜 장기적인 관점에서 비용 절감의 효율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돼 항상 청결을 유지 할 수 있다. 이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HACCP) 인증을 받는 식품 사업을 비롯 제약 바이오 산업에서 활발하게 사용될 전망이다. 또한 내화성이 좋은 불연소재로 제작돼 화재 시 유해물질 등으로 인한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해외시장보고서에 의하면 한국은 전 세계 주요국 내 이커머스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다. 2020년 기준 한국의 이커머스 비중은 35%로 2015년 대비 20% 상승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재료연구원(KIMS) 철강재료연구실 이창훈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경량 스테인리스 철강 기술이 2020년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재료분야 Top100에 선정됐다. 경량 스테인리스 철강은 기존 스테인리스 철강보다 약 20% 가볍다. 기존의 경량 철강은 철에 가벼운 합금원소인 알루미늄을 첨가해 경량화를 달성해왔다. 이때 첨가되는 알루미늄은 쉽게 깨지는 취성을 증가시켜 알루미늄을 철에 10% 이상 첨가하기 힘든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12%의 알루미늄을 첨가하고도 탄소, 망간, 크롬 등의 합금원소 첨가량을 최적화해 철강의 취성을 낮췄다. 특히, 크롬을 이용해 미세하고 치밀한 산화층을 생성함으로써 부식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했다. 스테인리스 철강은 1910년대 개발된 이후 현재까지 사람들의 실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동차·조선·건축·의료·가전 등 스테인리스 철강이 쓰이지 않는 곳을 찾기 힘들 정도다. 이는 부식에 약한 철강의 단점을 해결했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또 다른 철강의 숙제인 경량화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미래 환경 예측에 관한 많은 보고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감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 핵심 원재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호주의 제련 전문 기업 지분을 인수키로 했다. 이와 관련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니켈, 코발트 등을 생산하는 호주 ‘QPM(Queensland Pacific Metals)’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 약 120억원을 투자해 지분 7.5%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호주 QPM사는 2007년 설립된 제련 전문 기업으로 100% 지분을 출자한 ‘TECH(Townsville Energy Chemicals Hub)프로젝트’ 자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TECH 프로젝트’는 ‘23년 하반기부터 친환경 신규 공법을 적용한 전기차 배터리용 황산 니켈, 황산 코발트 생산을 목표로 호주 퀸즐랜드 북부 지역에 공장을 건설 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QPM사 지분 인수 및 장기구매계약(Offtake Agreement)을 통해 ‘23년 말부터 10년 간 매년 7,000톤의 니켈과 700톤의 코발트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이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에 따른 배터리 핵심 원재료 수급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첨단 헬로티]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알루미늄 차이나(Aluminium China) 및 Lightweight Asia 2019’가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자동차, 건설, 운송, 항공우주, 내구 소모재 산업과 관련된 제조 트렌드를 탐색하고, 알루미늄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백색가전으로 소비자가전 호황 주도 가전제품은 최근 수년간 더욱 현대적으로 변화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미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플라스틱 부품 대신 알루미늄 합금 부품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소비자가전 시장에서 판매되는 알루미늄 제품이 그 수요에 힘입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알루미늄 차이나에서는 여러 포럼이 열리는데, 그중 하나가 소비자가전 부문의 ‘알루미늄 합금의 등장과 응용 포럼(Appearance and Application of Aluminium Alloy)’이다. 이 포럼에서는 알루미늄의 미래 발전 가능성에 대한 통찰을 공유함으로써, 시장에서 알루미늄 합금 사용을 더욱 촉진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포럼은 알루미늄 합금의 외양, 설계와 처리
[첨단 헬로티] Reed Exhibitions가 이달 10일부터 12일까지 개최하는 '알루미늄 차이나(Aluminium China) 및 Lightweight Asia 2019'에서는 자동차, 건설, 운송, 항공우주, 내구 소모재 산업의 제품 및 개발과 관련된 제조 트렌드를 탐색하고, 알루미늄 산업의 새로운 장을 선보일 예정이다. 가전제품은 최근 수년간 더욱 현대적으로 변화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미적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플라스틱 부품 대신 알루미늄 합금 부품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국내 소비자가전 시장에서 판매되는 알루미늄 제품이 그 수요에 힘입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달 10일부터 12일까지 '알루미늄 차이나(Aluminium China) 및 Lightweight Asia 2019'가 상하이에서 개최된다. 올해 알루미늄 차이나에서는 여러 포럼이 열리는데, 그중 하나인 소비자가전 부문의 '알루미늄 합금의 등장과 응용 포럼(Appearance and Application of Aluminium Alloy)'에서는 알루미늄의 미래 발전 가능성에 대한 통찰을 공유함으로써, 시장에서 알루미늄 합금 사용을 더욱 촉진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할
[첨단 헬로티] 세계 최고 권위의 글로벌 3D프린팅 분야 최신 트렌드를 만나볼 인사이드3D프린팅 컨퍼런스&엑스포(이하 인사이드3D프린팅)가 26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이번 전시회에서 참가한 분말소재 제조기업 하나AMT는 3D프린팅에 활용되는 금속 분말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로서 마그네슘과 알루미늄 분말에 한해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다. 마그네슘과 알루미늄은 위험물에 속한 인허가 대상의 소재다. 하나AMT는 두 소재에 대한 기술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스테인리스나 니켈 분말 제조도 진행하고 있다. 하나AMT는 3D프린팅에 들어가는 금속 분말에 대한 토탈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이 목표다. 이에 하나AMT는 다양한 분말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차별화된 시스템을 만들고 있으며, 최근 독일 지사 설립을 통해 국제적인 활로를 모색했다. ▲하나AMT는 3D프린팅에 활용되는 금속 분말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다. 한편, 28일까지 총 3일간 열릴 인사이드3D프린팅은 올해 6회째를 맞으며, 단일 분야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3D프린팅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전시회는 한일프로텍, HP, 3D시스템즈, 데스크톱 메탈을 비롯한
[첨단 헬로티] 리드 엑시비션(Reed Exhibitions)은 내달 상하이에서 개최할 예정인 '알루미늄 차이나(Aluminium China)'의 자매 박람회 'Lightweight Asia'에서 전기차(Electrical Vehicle, EV)의 주행거리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고자 EV 중량을 줄이는 데 전념하는 차세대 주요 자동차 알루미늄 브랜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2020년 중국의 연간 전기차 생산량은 244개 모델에 걸쳐 242만 대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연간 성장률 41%에 해당한다. 그러나 수많은 잠재적인 소비자가 주행거리 우려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을 거두고 있다. 전기차의 중량 감소는 주행거리 장벽을 깨고, 많은 소비자가 전기차를 구매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전기차 중량이 100kg 감소할 때마다 주행거리가 10~11% 증가하고 배터리 비용을 20% 줄이며, 매일 차량이 노후되는 비용을 20% 절감할 수 있다고 한다. 소위 전기차의 경량화를 달성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경량 소재 개발이다. 알루미늄은 차량에 사용되는 경량 소재 중 가장 중요하다. SAE-China가 발표한 2016년에 에너지 효율성과 전기차 로드
[첨단 헬로티] 아시아 굴지의 알루미늄 박람회 ‘알루미늄 차이나(Aluminium China)’가 오는 7월 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상하이 신국제전시센터(Shanghai New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SNIEC)에서 열릴 예정이다. 알루미늄 차이나는 올해로 15주년을 맞았다. 전시회는 지난 14회까지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에도 건설, 건물, 자동차, 운송 및 내구 소비재 분야에서 원료, 반제품 및 완성 제품, 기계류 및 솔루션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지난해 이 전시회에는 600개의 전시업체가 참여했고, 91개국에서 24,789명의 무역 방문객과 바이어들이 다녀갔다. 행사 조직위원회인 Reed Exhibitions China는 15주년을 맞이한 올해 전시회는 가장 넓은 전시 면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참가가 확정된 국제 대기업은 Novelis, Constellium, FANUC, Nikkekin, Danieli, Primetals, Urgerer, Pyrotek, Tenova, Fronius, Hencon, TMEIC, Panasonic 등이다. 또한, 참가가 확정된 중국 굴지의 기
[첨단 헬로티] 알루미늄재 사일로(Silp) 제조의 국산화 성공해 신성장 동력 창출 분체이송시스템 전문 동양피엔에프가 알루미늄 사일로 생산을 위한 신공장 준공을 완료하고, 해당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동양피엔에프는 최근 독자적 기술로 알루미늄 사일로 자동용접장치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지난해 10월 신공장 공사를 시작해 지난달 공사를 완료하고 지난 13일 준공식을 진행했다. ▲동양피엔에프가 알루미늄 사일로 생산을 위한 신공장 준공을 완료하고, 해당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신공장 소재지는 경상북도 경주시로, 4만9588㎡(약 1만5000평) 대지에 건축면적 6244㎡(약 1889평), 연면적 6002㎡(약 1816평) 규모다. 현재 생산시설 2동을 포함해 총 6동 건물로 구성돼 있다. 이 공장에서 생산하게 될 '알루미늄 사일로(Aluminum Silo)'는 알루미늄 재질의 대용량 원료 저장 장치로, 주로 석유화학 플랜트의 최종 생산품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머를 출하하기 전 저장 및 혼합하는 설비로 활용된다. 동양피엔에프는 그 동안 해외 기술에 의존해온 조립식 알루미늄 사일로 제조의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면서 경주 신공장 준
[첨단 헬로티] 알루미늄 소재와 관련한 최신 기술 및 트렌드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인 알루미늄 차이나 2017은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상하이 신국제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에는 중국 외 30여 개의 국가 및 지역, 500곳 넘는 출품업체가 참가해 프라이머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반제품, 활용제품 그리고 기계설비 등을 선보였다. 참관객도 예상을 상회하는 2만1590여명에 달했다. 자동차가 경량화되면서 이를 가능케 하는 알루미늄 소재가 갖는 전략적 가치도 커졌다. 그런만큼 알루미늄 시장은 앞으로도 큰폭의 성장이 기대된다. 중국정부도 자동차산업의 에너지 저감 및 배출량 감소를 강조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소비자 가전 시장에서도 알리미늄이 파고들 공간이 커지고 있다. 알루미늄 차이나 2017 주최측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하우징(케이스) 금속화가 소비자 가전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이같은 추세는 이번 전시회에서도 두드러졌다. 이를 감안해 주최측도 이색적인 알루미늄포장재 전시존을 마련하고 알루미늄 패트병, 캔 등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심층가공 전시존에서는 교통운수 산업, 포장재산업, 소비자 가전 제품 등 영역에 초점을 맞췄다. 주최측은 20
[헬로티] 산업조사 전문 기관인 IRS글로벌은 ‘자동차 경량화 관련 소재별 국내외 시장전망과 핵심기술 개발동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해 자동차 환경규제가 점차 강화되면서 ‘자동차 경량화’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미국은 연비기준을 2015년 36.2mpg에서 2020년 44.8mpg로 유럽은 평균 온실가스 배출기준을 2015년 130g/km에서 2020년 95g/km로 높였다. 또 자동차 시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국도 2015년 6.9ℓ/100km에서 2020년 5ℓ/100km로 규제 기준을 28%나 강화하고 나서고 있다. 또한 미래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생활공간으로서 다양한 전자제어장치 및 편의 장치가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차량에 장착되는 부품의 수 및 중량이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제 자동차의 연비 향상을 위한 자동차 부품·소재의 경량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로 다가오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 속에 글로벌 완성차 제조업체와 부품·소재 관련 업체들은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신소재 개발과 채용을 통해 고연비를 달성하려는
대주코레스의 범퍼 빔 조립부품은 7000계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압출, 가공, 조립 공정을 통한 안전 부품으로서 범퍼 빔을 공급한다. 알루미늄은 저연비·고효율·경량화·고강도·고급화를 할 수 있는 대체 부품 소재로 철에 비해 비중은 1/3수준으로 가볍다. 강도대비 경량화로 강도가 강한 알루미늄 신소재나 복합소재(범퍼빔·로어 암·차체 빔 등)는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다. 김연주 기자 (eltred@hellot.net)
대주코레스는 알루미늄 압출 및 가공 전문업체로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7,000계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압출, 가공, 조립 공정을 통해 안전 부품으로서 범퍼 빔을 생산하고 있다. 6,000계열의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차량 외부의 상부 캐리어 기능 루프 랙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윈도우 플레임이 있는 스윙도어와 버스 내부의 선반도 생산하고 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