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철저한 방역 하에 나노기술과 융합산업 성과 공유ㆍ확산 나노 분야 연구자와 기업인들의 교류·협력의 장, ‘나노코리아2020’이 7월 1일부터 3일간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개최된다. ▲사진 : 산업부 올해로 18회를 맞이하는 나노코리아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과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주관한다. 최신 나노분야 연구 성과와 다양한 첨단 응용제품을 선보이는 국제행사로서 세계 3대 나노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나노코리아는 3일 동안 산업 전시회와 학술 심포지엄를 중심으로 운영되는데 첫날 개회식에는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과 산업부 김완기 소재부품장비산업정책관, 박광온 국회의원 등 산ㆍ학ㆍ연ㆍ관 인사들이 참석해 행사의 시작을 함께 했다. 네패스 이병구 회장과 싱가폴 난양공대(NTU) 수브라 수레시(Subra Suresh) 총장이 나노기술 및 산업의 현재와 미래 트렌드를 조망하는 기조강연을 하고, 201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노스웨스턴대학 프레이져 스토더트(Fraser Stoddart) 교수와 포스텍 염한웅 교수가 심포지엄 분야 주제강연
[첨단 헬로티] 한국소성가공학회가 지난 12월 13일(금) 금형기술교육원에서 ‘2019년도 제16회 금형가공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소성가공학회 금형가공 부문위원회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형기술그룹이 주관했으며, 국내 금형가공 분야의 기술 진보와 산업계 및 상호 정보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열렸다. 주최 측은 플라스틱, 프레스, 다이캐스팅 등 다양한 금형 관련 기술 및 제품의 트렌드와 관련한 전문 강연이 진행돼 참석자로부터 유익하다는 평을 얻었다. 한편, 심포지엄에서는 '자동차용 전자식 워터펌프의 효율 개선 임펠러 설계', '마이크로 엔드밀링 공정에서 리브 변형과 절삭력과의 영향 분석', '레이저 폴리싱용 5 축 가공 시스템 제작 및 기초가공 특성 분석'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마련됐다.
[첨단 헬로티] 해외 의존하던 선천성심장병 3D 모형, 자체기술로 3D 프린팅뿐 아니라 VR까지 상용화 애니메디솔루션은 지난 14일 '제8회 서울아산병원 선천성심장병센터 심포지엄'에서 ‘환자 맞춤형 심장병 3D 프린팅 시뮬레이터와 VR’ 기술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애니메디솔루션이 제작한 3D프린팅 심장 모형 이번 심포지엄은 ‘Simulation with 3D-printed models of cc-TGA’라는 주제 아래 ▲Anatomical repair of cc-TGA ▲Surgical outcomes after anatomical repair in cc-TGA ▲ Simulation surgical training course using 3D-printed model ▲ Isolated cc-TGA ▲Pro and Con session 총 5개의 세션으로 구성됐다. 심포지엄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북미 소아심장 전문의들이 'cc-TGA(수정 대혈관 전위)'에 관한 광범위한 지식과 의견을 교환했다. 특강은 수정 대혈관 전위 치료의 세계적 대가인 위스콘신 소아병원(Children's Hospital of Wisc
현대차, LG전자, 네이버, KT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 출범 우리나라는 자동차와 IT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연관 산업을 보유하고 있지만 업종 간 협업이 미흡한 상태이다. 현재 자동차 융합 기술은 미국, 독일, 일본 기업이 주목 받고있는데 여기에 한국은 빠져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동차 및 연관 기업들의 성과와 계획을 공유하는 한편, 미래 자동차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자동차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기업들의 협업을 촉진한다는 목표로 기획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달 8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국내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미래자동차 융합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에는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LG전자, 네이버, KT, 한화첨단소재, 오비고 등 다양한 업종의 선도 기업들이 참석해 자동차와 연관 산업의 융합 촉진을 위한 기업 연합인 ‘자동차 융합 얼라이언스’를 발족했으며, 종합·시스템 산업으로서 자동차의 중요성을 반영하듯, 다양한 업종과 분야의 기업인 및 전문가들이 참석해 자동차와 연관 산업의
삼성전자는 지난달 10일,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NFV/SDN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인텔, 브로드컴, 브로케이드 등 관련 분야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외 기업들을 초청해 기술 추진 상황, 관련 제품 현황, 시장 동향 등을 공유했다.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 ;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 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술은 전용 하드웨어 장비 중심의 통신 인프라를 범용 서버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들은 향후 수십억 개의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해야 하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선도할 기술로 평가 받고 있다.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박동수 부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NFV와 SDN 기술로의 전환은 5G 등 차세대 통신 기술 발전을 위한 세계적인 추세”라며 “이동통신사업자들은 해당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구축, 제어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소비자들은 개인에게 최적화된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성 기자 (el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