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협회)가 국내 상반기 자동차 판매현황을 차종별, 동력원별, 구매자별 특징 등에 따라 분석한 ‘2021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92.4만대로 전년동기 94.8만대 대비 2.6% 감소했다. 협회는 지난해 국내 자동차판매 대수가 역대 최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3년 평균 수준을 유지해 양호했으나, 수입차 점유율이 급상승하면서 업체 간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어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2021년 상반기 국내 자동차시장은 수요 고급화, 양극화 심화에 따라 대형 SUV, 하이브리드차, 수입차 판매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SUV는 전년동기대비 52.6% 증가한 20만대, 하이브리드차는 71.3% 증가한 11.3만대로 금년 승용차 판매의 약 40%가 두 차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소득양극화에 의한 수요 고급화 확대, 캠핑 등 코로나로 인한 국내 여행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국산차는 6.2%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전년동기대비 17.9% 증가했으며, 업체별 양극화도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헬로티]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반도체 수급애로에도 불구하고 4월 국내 자동차 생산과 수출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가 발표한 4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2021년 4월 자동차 생산은 11.8%, 수출은 52.8%(수출액 73.4%) 증가했으나, 내수는 3.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 세계적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 애로에도 불구하고 4월 수출은 전년 동월 기저 효과를 뛰어 넘는 호조세를 시현하며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상황에 따른 업체별 조업 조정에도 불구하고, 생산 차질 최소화 노력 및 수출 호조 등으로 11.8% 증가한 32만3644대 판매량을 기록했다. 내수로는 개소세 효과 감소 등으로 3.8% 감소한 16만1097대를 판매했으나, 월간 판매대수는 2020년 4월에 이어 역대 두 번째 판매대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차(제네시스 등) 호조와 친환경차 판매 확대(전기차 18.8%, 수소차 59.1%)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친환경차의 경우, 내수는 전년 동월 대비 41.3% 증가한 2만5269대,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4.4% 증가한 3만2838대로 4개월 연속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