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 타이밍 솔루션 전문기업 싸이타임 코퍼레이션이 AI 데이터센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클럭 발생기 제품군 ‘코러스(Chorus)’를 출시했다. 이 MEMS 기반의 클럭 시스템-온-칩(ClkSoC) 제품군은 독립형 오실레이터와 클럭에 비해 크기는 절반으로 줄이면서 성능은 10배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코러스는 클럭, 오실레이터, 공진기(resonator) 기술을 하나의 통합 칩에 포함시켜 시스템 클럭 아키텍처를 간소화하고 설계 시간을 최대 6주까지 단축할 수 있다. 싸이타임은 최근 인수한 아우라 세미컨덕터의 타이밍 제품과 코러스 제품을 결합해 고도로 차별화된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보고서에 따르면, AI 데이터센터 하드웨어 시장은 매년 약 33%씩 성장하며 2027년에는 약 2,0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와 컴퓨팅 집약적인 AI 작업 실행에는 AI 하드웨어의 빠른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이라는 점도 지적됐다. 싸이타임의 피유시 세발리아 수석 마케팅 부사장은 “AI와 함께 데이터센터의 데이터 처리량 증가와 전력 소비 감소에 대한 요구사항이 크게 늘고 있다”며, “싸이타임은 이러한 문제를 해
[헬로티= 이나리 기자] 지난 일주일간 국내에 전해진 반도체 관련 시장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할 '설계지원센터' 개소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팹리스)을 발굴·육성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기여할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가 경기도 판교 경기기업성장센터에 세워졌다. 지난해 4월 정부가 발표한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후속조치로 문을 연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는 팹리스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창업부터 성장까지 전주기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종합 성장 플랫폼이다. 1년 356일, 24시간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으면 무비용으로 반도체 설계툴(EDA)을 이용해 칩 설계를 할 수 있다. 센터는 팹리스가 설계한 칩을 파운드리(팹을 갖춘 반도체 생산 전문 기업)에서 시제품으로 구현하는 비용도 지원한다. 국내 팹리스의 반도체설계자산(IP·지적재산) 개발과 국산 IP 활용 확대를 위해 상용화와 범용화 개발비도 지원할 방침이다.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 개소식 ■ SK하이닉스, 4기 기술혁신기업에 ‘쎄믹스, 앨케이, 에버텍’ 선정해 2년간 지원 SK하이닉스가 쎄믹
세이코 인스트루먼츠의 자회사인 SII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이하 SII세미컨덕터)이 S-19244/S-19243시리즈의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를 오는 5월 출시한다. S-19244/S-19243시리즈는 온화시동 기능과 125°C의 고온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한다. 이들 LDO레귤레이터 시리즈 신제품은 입력 전압 10V에 출력 전류1A 및 0.5A를 선택할 수 있다. 적용 대상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차 엔진 전자제어 장치(ECU), 차체 ECU, 계량기, 자동차용 카메라, 자동차 항법장치, 자동차 오디오,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8종의 제품형태와 5가지 패키지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디자인 엔지니어가 필요에 따라 최적의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들 제품은 온화 시동(시간 고정/조절 가능), 방전 분권(discharge shunt)(유/무), 풀다운 저항기(유/무), 고정 또는 외부에서 주어진 출력 전압 등으로 구성되고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시리즈 제품은 TO-252-5S, HSOP-8A, HSOP-6, SOT-89-5, HSNT-8(2030) 등 고방열 패키지에서 초소형 패키지에
USB-C 디스플레이포트 지원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TV에 연결 SlimPort 나노 콘솔 USB-C는 스마트 폰과 TV에 USB-C를 통해 디스플레이 포트를 지원하는 태블릿을 연결. 아날로직스 세미컨덕터(Analogix Semiconductor, Inc.)가 ‘슬림포트 나노·콘솔(SlimPort® NANO·CONSOLE™) USB-C’를 출시했다. 무선 리모콘을 갖춘 모바일 지원 도크로 USB-C™를 통해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를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및 윈도우 기반 모바일 기기에 사용할 수 있다. 단순한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의 ‘슬림포트 나노·콘솔’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해 디지털 미디어를 스트리밍하고 홈 오피스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며 모바일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해준다. 디스플레이포트 오디오/비디오 출력(audio/video-out)으로 모바일 기기를 어떤 HDMI 지원 디스플레이에나 연결해 미디어와 앱을 공유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액세서리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USB C타입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스마트 잠금장치 기술 분야의 설계 및 제조업체인 미국 유타주에 위치한 노크(Nokē)사가 자사의 블루투스 잠금장치에 노르딕의 다수의 수상경력이 있는 nRF51822 SoC(System-on-Chip)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nRF51822 SoC는 노크 제품에 모든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Bluetooth Smart Ready) 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블루투스 스마트(Bluetooth® Smart)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노크의 제품은 세계 최초의 블루투스 잠금장치로, 열쇠나 번호키 없이도 보안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소유자가 노크의 파트너사 앱을 통해 잠금장치를 누가, 언제, 어디에서 사용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견고한 스틸과 붕소로 만들어진 이 기기는 기존의 자물쇠가 사용되었던 자전거나 체육관 라커, 저장장치, 화물용 컨테이너 등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가능하다. 노르딕의 블루투스 스마트 무선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주머니나 가방에서 스마트폰을 꺼내지 않고도 자물쇠를 열 수 있으며, 노크의 앱을 통해 일회성, 영속성, 또는 맞춤형 액세스 방식으로 다른 사용자와 액세스를 공유할 수 있
퀵로직(QuickLogic Corporation)이 TAG®-N 웨어러블 센서 허브 평가 키트를 발표했다. 이 평가 키트에는 퀵로직 Arctic-Link® 3 S2 초저전력 프로그래머블 센서 허브와 퀵로직이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을 비롯해,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의 nRF51DK 개발 키트와 직접 연결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nRF51DK 키트는 노르딕의 nRF51822 SoC를 이용한 저전력 무선 개발용 올인원 멀티프로토콜 개발 키트다. OEM들은 이 nRF51DK 키트를 이용해 Bluetooth® Smart(블루투스 스마트, 기존에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로 알려짐) 기능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테스트, 평가, 개발할 수 있다. 퀵로직의 ArcticLink 3 S2 CSSP 프로그래머블 센서 허브 솔루션은 소비전력이 150µW에 불과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올웨이즈온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지원한다. 노르딕의 초저전력 nRF51822 블루투스 스마트는 무선 통신용 웨어러블 기기에서부터 호스트 디바이스까지 지원한다. 퀵로직의 만보기, 제스처 및 컨텍스트 알고리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