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뉴스 산업기술인력 조기 퇴사율 40% 넘어...50세 이상 장년층 비중은 지속 증가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산업기술인력의 조기 퇴사율이 4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기술인력은 고졸 이상 학력자로서 사업체에서 연구개발이나 기술직 또는 생산·정보통신 업무 관련 관리자나 기업임원으로 근무하는 인력을 말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근로자 10인 이상 전국 1만1918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 분야 2015년 입사자의 퇴사율이 41.7%에 달했다. 이 가운데 500인 이상 사업체의 조기 퇴사율은 26.6%인 반면, 500인 미만 사업체의 조기 퇴사율은 43.6%였다. 산업기술 부문 부족 인원은 3만6933명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고, 부족률은 2.3%로 전년과 동일했다. 12대 주력산업의 부족 인원은 2만6713명으로 전년 대비 8.8% 증가했고, 부족률은 2.5%로 전년에 비해 0.2% 상승했다. 기업 규모별 부족 인원을 살펴보면 중소·중견 규모 사업체의 부족률은 2.9%로 전년보다 하락했으나, 5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의 부족률 0.4%에 비해서는 7배 이상 높았다. 학력별 부족률은 고졸이 2.3%, 전문대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