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스마트 조명을 위한 ‘커넥티드 라이팅 플랫폼(Connected Lighting Platform)’을 공개했다. 커넥티드 라이팅 플랫폼은 PoE(Power over Ethernet)와 초저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등 다양한 형태의 연결을 지원한다. ▲ 온세미컨덕터가 스마트 조명을 위한 ‘커넥티드 라이팅 플랫폼(Connected Lighting Platform)’을 공개했다. (사진 : 온세미컨덕터) 이 플랫폼은 대 90W의 출력 전력과 더불어, 각각 최대 16개의 LED를 공급 및 제어할 수 있는 두 개의 독립채널을 제공하고, 에너지 하베스팅 및 블루투스 저에너지 스위치와 함께 사용할 경우, 배터리가 없는 LED 조명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계자들은 이 프로토타입 플랫폼을 활용하여, 커넥티드 조명 분야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사물인터넷(IoT)의 일환으로써 조명 피팅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수 있다. 또, 이 커넥티드 라이팅 플랫폼은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를 포함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노르딕 Thingy:52(Nordic Thingy:52®)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개발 키트가 ACE 어워즈(Annual Creativity in Electronics Awards) '개발 키트' 부문 최우수상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ACE 어워즈는 업계의 혁신적인 전자제품을 수상하는 프로그램이며 특히 개발 키트 부문이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Thingy:52 개발 키트가 ACE 어워즈 개발 키트 부문 최우수상 후보로 선정됐다. ACE 어워즈 개발 키트 부문 최우수상 후보로 선정된 노르딕의 Thingy:52는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nRF52832 블루투스 LE SoC(System-on-Chip)와 S132 SoftDevice(RF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에 기반한 개발 키트이다. 이 키트는 펌웨어 코딩 전문기술이 없는 앱 개발자들이 하이-레벨 개발 툴을 사용하지 않고도 IoT 기기 및 관련 모바일 장치와 인터넷 앱을 싲속하게 설계하고 시연할 수 있도록 돕는다. ACE 어워즈의 개발 키트 부문은 주요 전자제품 및 반도체 공급업체들이 15명의 전문가로 구
[헬로티] 대만의 MtM 테크놀로지는 M905 AoP(Antenna-on-Package) 모듈에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nRF52832 블루투스(Bluetooth®) 저에너지 SoC(System-on-Chip)를 채택했다. M905는 초저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통합 모듈로,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시장 출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플러그&플레이(Plug-and-Play) 솔루션을 통해 정교한 무선 연결 제품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모듈은 3mm×3.2mm WL-CSP(Wafer-Level Chip Scale) 패키지 기반의 노르딕 nRF52832 SoC를 채택하고, MtM의 SiP(System-in-Package) 기술을 적용하여 6.5mm×6.5mm 폼팩터를 구현함으로써 음성제어, 패턴인식, 환경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기기나 독립형 장치와 같은 다양한 공간 제한적인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제조업체들은 RF 설계에 대한 전문지식 없어도 이 M905 모듈을 사용해 까다로운 블루투스 4.2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생산하고, 시장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모듈은
ⓒGetty images Bank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표준 패키지 타입 nRF52832 풋프린트 면적의 1/4 수준인 WL-CSP(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 nRF52832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시스템온칩(SoC)을 공급한다. nRF52832 WL-CSP는 기존 6.0x6.0mm 풋프린트 사이즈인 동종 nRF52832 QFN 타입 제품에 비해 작지만(3.0x3.2mm) 동일한 모든 기능을 단일 칩에 통합하고 있으며, 초저전력 애플리케이션 구동이 가능하다. 특히 온보드 64MHz ARM Cortex-M4F 프로세서를 통해 짧은 시간 안에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싱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nRF52832 WL-CSP는 512kB 플래시 및 64kB RAM, 소비자들에게 익숙한 터치-투-페어(Touch-to-Pair) 지원 온칩 NFC 태그를 비롯해 다중-프로토콜 블루투스 저에너지 및 ANT, 독자적인 2.4GHz 무선 프로토콜, 5.5mA의 RX/TX 피크 전류, 온칩 RF 발룬(Balun) 등을 갖추고 있다. nRF52832 WL-CSP는 노르딕의 블
초저전력 무선 솔루션 분야의 선도기업인 노르딕 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 한국지사장: 최수철)는 자사의 nRF52832블루투스(Bluetooth) 저에너지 SoC를 기반으로 한 저비용의 최신 IoT(Internet of Things) 타깃 프로그래머블 싱글 보드 컴퓨터(또는 베이스 보드)인 아두이노 프리모(Arduino Primo)가 출시됐다고 밝혔다. 아두이노는 제조업체 및 학계는 물론, IoT 마켓을 위한 오픈-소스 에코시스템이다. 사진. 노르딕의 nRF52832 SoC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리모 베이스 보드 아두이노 프리모 베이스 보드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접속 기술을 기본으로 지원하는 것은 물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적외선(IR) 기술 또한 모두 포함하고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들이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접속 기술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베이스 보드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플러그-인 도터 보드(Daughter Board)와 같은 쉴드를 추가해야만 했다. 이 아두이노 프리모는 다수의 블루투스 저에너지 센서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기반의 완벽한 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