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KT(대표이사 구현모)가 개발한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컨택센터(이하 AICC) 서비스가 SaaS 표준등급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을 획득했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클라우드 보안인증제(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공기관에 제공되는 민간 클라우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해 이용자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만든 제도다. 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려면 CSAP인증을 반드시 획득해야 한다. 이로써 KT는 음성인식, 음성합성, 자연어처리, 텍스트분석 등 AI 기술을 적용한 보이스봇과 챗봇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공공기관에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사업자가 됐다. 앞으로 KT는 코로나 백신접종 안내 보이스봇이나 지방세 공공민원 안내 챗봇 등 다양한 공공기관의 수요에 맞춰 클라우드 기반 AI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KT는 광주 서구청과 MOU를 통해 AI복지사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는 등 공공기관을 위한 AICC 서비스 모델 개발에 힘쓰고 있다. KT AI/BigData사업본부장 최준기 상무는 “
[헬로티] 미래테크놀로지는 심플랫폼과 사물인터넷(IoT) 보안 및 인증 서비스의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IoT 보안 인증 사업협력 위한 MOU 체결 이번 협약으로 심플랫폼의 누비손 IoT 플랫폼과 미래테크놀로지의 IoT 보안 플랫폼인 AnyIoT를 융합한다. 이를 통해 SaaS형 누비손 IoT 서비스의 보안성을 한층 강화한다. 향후 보안뿐 아니라 다양한 IoT 서비스 분야에서도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임대근 심플랫폼 대표는 “반도체 장비나 하이엔드급 특수 장비에 구현되는 스마트팩토리의 경우 강력하고 안전한 보안 인증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미래테크놀로지와 파트너십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보안 서비스 적용을 시작으로 플랫폼의 보안 역량을 강화하고 확대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임수익 미래테크놀로지 대표는 “IoT 기술 발전과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안 문제 해결이 선행돼야 하며 각 분야 특성에 맞게 보안을 설계하고 적용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번 협약으로 심플랫폼의 누비손 IoT 클라우드와 융합된 보안인증 서비스를 발판 삼아, AnyIoT 플랫폼이
[첨단 헬로티] 한전원자력연료(사장 정상봉)는 13일, 세계적인 인증기관인 독일의 DQS로부터 정보보호경영시스템 ISO27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ISO27001 인증은 정보보호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국제표준으로 관리적·물리적·기술적 보안 등 규격조항 26개 항목, 통제분야 114개 항목에 대한 엄격한 심사로 회사 내 정보관리와 관련된 모든 활동에 대한 국제표준을 준수한 기업에게 주어지는 국제인증이다. ▲ 정상봉 사장(오른쪽)이 DQS코리아 이창호 상무로부터 ‘ISO27001’ 인증서를 수여받고 있다. <사진 : 한전원자력연료> 한전원자력연료는 이번 ISO27001 인증 획득을 통해 날로 지능화되는 보안위협으로부터 보다 강화된 사이버 보안체계 및 원자력연료 해외수출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엄격한 기준을 요구하는 국내·외 고객사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 정상봉 사장은 이날 인증 수여식에서 "인증 획득을 계기로 정보보호 계획과 사업 목표를 전략적으로 연계하여 정보보호 수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Getty images Bank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국내 주요 IT 서비스 기업인 ㈜ LG CNS가 정부 지원으로 국내 중소기업들에 의해 개발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파스-타(PaaS-TA)’를 공식 도입키로 했다고 밝혔다. 파스-타 기반의 클라우드 이용 활성화 및 개방형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을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이하 NIA)과 LG CNS는 9월 18일 서울 여의도 LG CNS 본사에서 상호 협력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과기정통부는 코스콤(’16.4.), SK C&C(’17.1.) KT(’17.8.)에 이어 LG CNS까지 ‘파스-타’ 생태계에 본격적으로 합류해 앞으로 개방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국내 클라우드 응용 생태계의 장이 펼쳐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LG CNS는 올해 말로 예상되는 공공용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획득한 후 공공부문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 오픈소스 기반의 ‘파스-타’를 활용하여 서비스한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NIA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LG CNS와 협력해 클라우드 파운드리(Clo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