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소형 3V~60V 및 300mA 동기식 DC/DC 벅 컨버터 L7983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L7983 벅 컨버터 L7983은 로우-사이드 파워 MOSFET을 제어해 일정한 스위칭 주파수의 저잡음 모드(LNM, Low-Noise Mode)와 저소비 모드(LCM, Low-Consumption Mode)를 제공한다. LCM에서는 컨버터의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저부하와 유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제품은 넓은 압력 전압 범위를 제공해 12V 및 24V 산업용 버스에서 안전 마진으로 동작할 수 있다. ST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하며, 저잡음 모드를 활용하는 산업용 고장 안전(Fail-Safe) 시스템, 분산형 지능형 노드, 가전, 로보틱스, 통신장비, 정밀 감지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컨버터는 200kHz~2MHz에 이르는 넓은 스위칭 주파수 범위를 지원해 설계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확산 스펙트럼 디더링(Spread-Spectrum Dithering)이 옵션으로 제공돼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를
[첨단 헬로티] TI가 내장형 보상 최신 전류 모드(ACM) 제어 토폴로지를 채택함으로써 주파수 동기화가 가능한 16V 입력, 40A 동기식 DC/DC 벅 컨버터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 TPS543C20 SWIFT™ 컨버터는 열 향상 소형 풋프린트 패키지로 저항이 낮은 최신 세대의 하이사이드 및 로우사이드 MOSFET을 통함함으로써 향상된 효율을 제공한다. ▲TI의 새로운 DC/DC 벅 컨버터 또한, 컨버터 2개를 나란히 적층할 수 있어, 유/무선 통신과 엔터프라이즈 및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공간 제약적이고 전력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의 프로세서를 위한 최대 80A에 이르는 부하를 구동할 수 있다. 혁신적인 내장형 보상 최신 전류 보드(ACM) 제어 토폴로지와 빠른 과도 응답 기능을 통해 넓은 입/출력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특징이다. ACM의 차별점은 피크 전류 모드와 유사한 제어 토폴로지로써 내부적으로 렘프 파형을 발생시키며 넓은 범위의 동작 스위칭 주파수에 대해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부 보상 없이 저잡음 동작을 위한 기존 방식의 고정 주파수와 빠른 과동 응
[헬로티] TI는 높은 밀도의 18V 입력, 35A 동기식 DC/DC 벅 컨버터 제품을 출시했다. 신제품 TPS546C23 전원 컨버터는 완전 차동 원격 전압 감지 기능과 PMBus를 지원하여 텔레메트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 컨버터는 소형 풋프린트 패키지에 하이사이드 및 로우사이드 MOSFET을 통합함으로써 경쟁 제품보다 훨씬 더 우수한 밀도를 제공한다. 2개의 컨버터를 병렬로 적층할 수 있어 유/무선 통신, 엔터프라이즈 및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과 같이 공간 제약적이고 전력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세서를 위해 최대 70A를 구동할 수 있다. 고집적 TPS546C23 전원 컨버터는 경쟁 제품들보다 44% 더 우수한 밀도(평방밀리미터당 암페어)를 제공한다. 또한 온도 전반에 걸친 0.5%의 레퍼런스 전압 정확도와 완전 차동 원격 전압 감지 기능은 미세 서브마이크론(DSM, Deep Sub-Micron) 프로세서의 전압 정확도 요구를 충족한다. 전류 분배 기능으로 인해 2개의 컨버터를 적층할 수 있으며 이 디바이스의 단일 패드, 적층형 다이, QFN(quad flat no-lead) 패키지는 높은 효율과 뛰어난 열 성능을 달성한다. TI는
[헬로티] 온보드 전자식 전원 공급 장치의 크기가 갑자기 이전보다 20% 이하로 줄어든다고 가정해보자. 대부분 최종 사용자들에게 전원 공급 장치의 크기는 큰 의미가 없다. 전원 공급 장치가 전자시스템 보드 공간의 절반을 차지하긴 하지만 그들은 전원 공급 장치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을 이전 크기의 5분의 1로 줄인다면 장비는 훨씬 더 작아지고 경량화 될 수 있다. 간혹 같은 크기로 장비를 유지하더라도 새로운 고성능 기능들을 추가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될 것이다. 이것은 전자공학에 혁신을 가져올 중요한 사건이다. 온보드 전자식 전원 공급 장치의 크기가 갑자기 이전보다 20% 이하로 줄어든다는 것이 앞으로 얼마나 중요해질지 가늠하기 위해서는 완전 자율 운행을 위해 이미지 처리를 점차 늘려가고 있는 자동차를 생각해보면 된다. 휴대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는 이전보다 이동성이 늘어나게 될 것이다. 커다란 랙 마운트 장비는 더 많은 채널과 기능들을 작은 공간 안에 과열없이 채워넣을 수 있다. 항공 드론은 이러한 감량을 이용해 고성능 이미지를 처리하면서 더 오래 하늘을 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모든 전자 분야가 전원 공급 장치의 이러한 대대적인 축소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프로덕트 코리아는 초저(Ultra-low) 대기전류의 벅 컨버터(Buck Convertor) MAX77596을 출시했다. USB-C 소형 폼팩터 기기 설계 디자이너는 MAX77596을 이용해 올웨이즈온(Always-on) 레일을 구현할 수 있다. USB-C 포트의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향상된 전력 전송 기능을 이용하는 제품은 타입 C 포트 컨트롤러 전원 공급을 위해 저전압 공급 레일을 필요로 한다. MAX77596을 사용할 경우, PD(Power Delivery) 전압 범위(5~20V) 제품은 타입 C 포트 컨트롤러에 대한 올웨이즈온 디지털 공급 레일(1.8V/3.3V/5.0V)을 생성할 수 있다. 3.5~24V 동작 전압의 MAX77596 벅 컨버터는 전통적인 5V USB 전원부터 PD 범위의 최고값인 20V에 이르기까지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태블릿, 노트북, 카메라, 드론과 같은 휴대용 기기는 MAX77596의 유연한 전원 공급을 이용해 타입 C PD로 쉽게 진화할 수 있다. 과거 USB-C 포트 컨트롤러 전원 공급을 설계하려면 과거에는 입력 전압 범위, 대기 전류, 크기의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저입력 전압 선형 레귤레이터와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