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차세대 이차전지인 수계아연 이차전지의 배터리 수명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장치다. 밤이나 바람이 없는 날 등 태양광과 풍력이 전기를 생산할 수 없을 때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필수적인 설비다. 최근 리튬이온 이차전지 기반 ESS 장치에서 잇따라 불이 나면서 물을 전해질로 사용해 폭발 위험이 없는 수계아연 이차전지가 차세대 이차전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아연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물 기반 전해질 속에서 부식이 일어나게 되고, 아연 이온이 음극 표면에 나뭇가지 형태의 결정체로 쌓이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결정체가 분리막을 뚫고 양극에 맞닿을 경우 단락을 일으켜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생기원 제주본부 김찬훈 박사 연구팀은 아연 음극 표면의 화학적 성질에 따라 결정체 형성이 억제되고 형태도 달라지는 것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최초로 관찰해냈다. 아연 음극 표면이 물 분자와 쉽게 결합하는 친수성 상태일수록 배터리를 충전할 때 아연 이온이 음극 표면에 더 균일하게 흡착돼 결정체 형성이 억제된다는 사실을 밝혀냈
배터리 수명이 모바일 기기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다. 소비자들은 점점 강력한 모바일 기기를 요구하지만, 배터리 수명 때문에 이를 맞춰주기 어려울 때가 많다. 성능이 강해지면 배터리 소모량도 늘게 마련이다. 성능만 강하고 배터리 수명이 짧은 모바일 기기는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을 가능성이 높다. 배터리 딜레마를 호소하는 엔지니어들이 많은 이유다. 이런 가운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배터리 수명을 효과적으로 늘리기 위해서는 낮은 대기 전류를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을 골자로하는 자료를 공개했다.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중대 전환점 맞은 배터리 수명 최신 웨어러블,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은 무엇일까? 체온 측정, 인슐린 투입, 심박수 모니터링을 위한 의료용 패치는 긴 시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이 기기들은 사용되기 전까지 오랜 기간 비품실과 의약품 창고에 보관되지만 의사와 환자는 배터리가 잘 작동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찬가지로 스마트워치, 이어폰,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는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충전 후 장시간 작동해야 한다. 전기 계량기, 가스 탐지기, 빌딩 자동화 시스템 등 현장에서 쓰이는 수
▲ 애플 맥북 프로 [사진=애플] [헬로티] 미국 소비자 전문지 컨슈머리포트(Consumer Reports)가 배터리 수명문제로 권장등급을 받지 못한 맥북 프로에 대한 재실험을 진행한다고 10일(현지시각) 전했다. 작년 12월 맥북 프로에 대한 실험을 한 컨슈머리포트는 ‘맥북 프로 배터리 수명이 권장수준에 못 미친다’며 권장 등급을 부여하지 않았다. 이에 애플은 “컨슈머리포트 실험과정에 있어서 인터넷 브라우저 캐시를 끈 것이 배터리 수명에 문제를 일으켰다”며, “관련 버그를 수정했다”고 성명서를 통해 밝혔다. 컨슈머리포트는 수정된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은 후 배터리 테스트를 재진행할 예정이며 테스트 결과에 따라 권장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고 전했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