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뉴스 성균관대학교 박호석 교수 연구팀, 꿈의 신소재 ‘포스포린’의 에너지 저장장치 응용 가능성 열다
[첨단 헬로티] 2차원 반도체이자 또 다른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포스포린(phosphorene)의 새로운 에너지 저장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12월 11일, 박호석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2차원 포스포린의 나노 구조화 및 화학적 표면 제어를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로의 구현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박호석 교수는 이번 기술은 향후 슈퍼커패시터의 에너지밀도 한계를 극복하거나 배터리 소재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해 차세대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저장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성균관대학교 박호석 교수 <사진 : 성균관대 제공> 고효율, 고출력, 고안전성의 포스포린 기반 에너지 저장소재 개발 성균관대학교 박호석 교수(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연구팀이 2차원 반도체이자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포스포린(phosphorene)의 새로운 에너지 저장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흑린(black phosporus)을 원자 한 층 두께로 떼어내면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수준인 포스포린이 된다. 그래핀과 원자 배열은 비슷하지만, 그래핀과 달리 밴드 갭(에너지 준위 차)이 있어 전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