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사진.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8일 오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규제자유특구 심의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28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규제자유특구규제특례 등 심의위원회'를 열고 4차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들이 제출한 관련 계획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심의위원회는 경남의 '5세대(5G) 활용 차세대 스마트 공장', 광주 '그린에너지 에너지 저장 장치(ESS) 발전', 울산 '이산화탄소 자원화' 등 3개 신규 특구 계획과 지난해 7월 지정된 세종 특구의 '자율주행 실외로봇 운영' 추가 계획을 심의했다. 심의를 거친 특구 계획은 다음 달 13일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최종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박영선 장관은 "규제자유특구는 도입 1년 만에 지역 일자리가 16%가량 늘어나고 3천억원 이상 투자 유치를 이루는 등 성과가 두드러지는 제도"라며 "한국판 뉴딜의 핵심인 디지털·그린 분야 규제자유특구가 지속해서 발굴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사람 중심 스마트공장 확산 위해 노·사·정 뜻 모아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와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7개 기관은 지난 3일(월) 오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대회의실에서'사람 중심의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식은 지난 5월 '노동친화형 시범 스마트공장 구축사업' 기업 선정을 계기로 노동자와 기업, 그리고 경제·사회 주체들이 사람 중심의 스마트공장 확산 필요성에 공감하며 본격적인 협력을 해가기 위해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등 7개 기관은 '사람 중심의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7개 기관은 스마트공장과 연계한 일터혁신의 필요성에 대한 노사 인식 제고, 사람 중심 스마트공장 확산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사람 중심 스마트공장 모범사례 창출 등의 과제를 상호 협력해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협약식에 앞서 참여기관장들의 '사람 중심 스마트공장'에 대한 의미와 기대감이 담긴 발언이 이어졌다. 중소벤처기업부 박영선 장관은 "과거에는 노사 관계라 하면 대립과 갈등을 떠올렸지만,
[첨단 헬로티] 박영선 장관 취임 후 협·단체와의 첫 만남을 소상공인 대표단체와 가져 지난 19일, 중소벤처기업부 박영선 장관은 서울 네이버 파트너스퀘어를 찾아 소상공인연합회 회장단, 청년 소상공인과 함께 '소상공인 상생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박영선 장관 취임 이후 협·단체와의 첫 만남으로서 소상공인 상생·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소상공인 현장의 의견을 청취해 향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중기부는 지난 19일 서울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소상공인 상생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중기부는 박영선 장관이 기본 정책철학으로 밝힌 '상생과 공존'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네이버가 상생협력의 일환으로 소상공인의 창업·성장을 지원하는 장소인 파트너스퀘어에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 참석자 일행은 파트너스퀘어 시설을 함께 둘러보고, 네이버의 소상공인 상생협력 사례에 대해 듣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소상공인연합회 회장단 및 청년소상공인과 간담회를 갖고 소상공인 관련 현안 및 애로사항에 대해 논의했다. 박영선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어 단단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