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관련 특허를 쏟아내고 있지만, 특허 당 인용 횟수가 적어 국제적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29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최근 내놓은 2020년 과학기술혁신역량 분석 보고서를 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우리나라의 미국 등록 특허는 총 18만8천160건으로 평가 대상 44개국 중 미국,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분야별로는 클라우드 분야 미국등록 특허가 1만6천176건으로 가장 많았고 빅데이터(1만5천642건), 사물인터넷(1만2천874건)이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미국등록 특허가 피인용된 횟수는 53만3천5회로 특허 수와 동일하게 조사 대상국 중 3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특허 당 피인용수(CPP)는 2.8건에 불과해 20위에 그쳤다. CPP는 해당 특허가 국가,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다. CPP가 가장 높은 국가는 아이슬란드(11.2건)였고 미국(6.2회)이 그다음으로 많았다. 우리나라보다 미국등록 특허 수가 적었던 이스라엘, 아일랜드, 캐나다도 우리나라보다 CPP는 높았다. 미국등록 특허 건수가 가장 많았던
[헬로티] AI 기반 암 바이오마커 계측하는 신기술 적용된 라이선스 계약 의료 인공지능(AI) 솔루션 개발 기업 뷰노는 지난 3일 필립스코리아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암 진단 바이오마커를 정량화하는 기술에 대한 라이선스 1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뷰노메드 솔루션 본 계약에 포함된 뷰노의 독자 기술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암 바이오마커 발현 정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병리 분야의 워크플로우를 개선하는 혁신적인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필립스코리아는 지난 2018년 자사의 디지털 병리 솔루션 ‘필립스 인텔리사이트 병리 솔루션’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해당 솔루션은 슬라이드 스캐너와 서버, 스토리지, 뷰어 등을 탑재한 이미지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디지털 병리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 및 시각화하고 관리해 의료진의 효율적인 병리 진단을 돕는다. 최근 병리 효율화를 도모하는 디지털 병리 및 AI 솔루션 개발을 추진하며, 국내 병리과, AI 연구 센터, 헬스케어 AI 기업 등과 협업을 추진하고 있다. 뷰노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병리 형태계측 기술은 유방암, 신경내분비 종양 등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