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삼성전자가 3분기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매출을 제외하고도 인텔을 꺾고 글로벌 반도체 1위 자리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9월 20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는 올해 3분기 삼성전자의 반도체 매출 점유율이 14.11%를 기록하며 세계 1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2위인 인텔의 점유율(12.09%)보다 2%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옴디아는 반도체 기업의 매출 조사에서 파운드리 실적을 포함하지 않는다.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삼성전자의 반도체 매출 점유율은 13.12%로 인텔(13.53%)에 근소하게 뒤져 2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3분기에 D램 등 메모리 가격 상승과 판매량 증가로 인텔의 실적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3위는 SK하이닉스로 3분기 점유율이 2분기(6.37%)보다 늘어난 6.80%로 예상됐다. 이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5.39%), 퀄컴(4.41%), 브로드컴(3.40%), 미디어텍(3.09%)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파운드리 부문의 실적을 포함하는 IC인사이츠 조사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미 2분기에 인텔을 따라잡았다. 삼성전자 매출은 202억9,700만 달러(약 24조원), 인텔은 193억400만 달러(약
[헬로티] 미국 5G망서 사용할 수 있는 'M80'으로 시장 공략 미디어텍이 미국 시장을 겨냥해 새 5G용 모뎀 칩을 출시했다. ▲2015년 미디어텍이 생산한 칩(출처 : 로이터통신 발행 사진 캡처) 로이터통신은 2일 미디어텍이 전날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한, 새 모뎀 칩을 출시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M80'으로 명명된 이 5G용 모뎀 칩은 '밀리미터파(Millimetre-wave)'로 불리는 차세대 무선 인터넷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 기술은 미국 최대의 이동통신사업자인 '버라이즌'에서 사용되고 있다. 5G 칩 생산능력을 갖춘 미디어텍은 우리나라의 삼성전자와 미국의 퀄컴 등의 경쟁업체다. 하지만 미디어텍의 기존 5G 칩은 중국 등의 5G 네트워크와 호환성이 있었지만, 미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미디어텍은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업체 샤오미 등에 5G용 칩을 공급하고 있다. 미디어텍 관계자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M80'으로 미국 시장에서 더 많은 계약을 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인텔이 차세대 PC 환경을 위한 5G 모뎀 솔루션의 개발, 인증 및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미디어텍(MediaTek)과 협력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인텔은 미디어텍이 개발할 5G 모뎀을 포함해 5G 솔루션의 사양을 정의할 예정이다. 또한 플랫폼 전반에 걸쳐 최적화 및 검증을 지원하고, OEM 파트너를 위한 시스템 통합 및 공동 엔지니어링을 지원한다. 그레고리 브라이언트(Gregory Bryant) 인텔 수석 부사장 겸 클라이언트 컴퓨팅 그룹 총괄은 “5G는 사람들이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바꿀 새로운 차원의 컴퓨팅과 연결성을 촉발시키고 있다”며, “미디어텍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엔지니어링, 시스템 통합 및 향상된 연결성을 지원하는 업계 선도기업들과 함께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PC에서 5G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1년 상반기에 델(Dell)과 HP가 OEM 중 처음으로 인텔과 미디어텍의 5G 솔루션이 탑재된 노트북을 출시할 예정이다. 인텔은 현재 일반 사용자 및 커머셜 부문에 걸쳐 최적화된 인텔 와이파이 6(Gig+) 및 LTE 솔루션을 기반으로 무선 및 모바일 네트
[첨단 헬로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미디어텍(MediaTek) AUTUS 차량 인포테인먼트(IVI) 플랫폼에 자사 오토모티브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9일 밝혔다. 맥심은 "자사의 기가비트 멀티미디어 시리얼 링크(GMSL) 시리얼라이저-디시리얼라이저(SerDes) 기술은 완성차 업체 및 1차 협력사가 요구하는 높은 성능과 유연성, 효율을 위해 높은 전송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맥심의 전력 관리 솔루션은 미디어텍 플랫폼의 멀티미디어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킨다"고 강조했다. 이어 "GMSL SerDes 기술은 태생부터 자동차 환경을 위해 구현됐으며 15m 전 구간에 걸쳐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한다. 미디어텍의 서라운드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강력한 비디오 전송 성능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텍 AUTUS I20(MT2712)는 멀티 디스플레이 지원을 위해 유연한 인터페이스가 탑재된 고성능 헥사 코어 인포테인먼트 솔루션이다. 이 제품은 차량 센서와 멀티미디어 소스에서 정보와 콘텐츠를 제공해 차량과 운전자를 연결함으로써 주행 경험과 승객 안전성, 연결성,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높여준다. 차세대 서라운드뷰(surround-
[첨단 헬로티] 안리쓰코퍼레이션은 미디어텍(MediaTek)과 5G개발 및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검증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미디어텍은 향후 글로벌 5G구축을 목표로 하는 표준 기반 5G NR칩셋 검증을 위한 테스트 플랫폼으로 안리쓰의 MT8000A무선 통신 테스트 스테이션을 선택했다. 모바일 통신 테스트 선두 업체인 안리쓰는 사전 실리콘 검증의 초기 단계부터 5G칩셋의 고품질 출시를 위한 RF, 프로토콜, 상용 검증 단계에 이르기까지 강력하고 효율적인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베이스밴드 칩셋 등 MediaTek Inc.의 5G개발을 지원할 예정이다. 안리쓰는 초소형 대용량 5G통신에 필요한 광대역 신호 처리 및 변조 등 최신 기술을 위한 5G테스트 플랫폼인 MT8000A를 개발했다. 이 일체형 플랫폼은 sub 6GHz 및 millimeter-wave RF테스트와 프로토콜 테스트를 지원한다. 미디어텍에 3G 및 4G테스트 솔루션을 공급한 안리쓰의 오랜 경험은 5G제품의 원활한 개발과 조기 구축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안리쓰는 최신 테스트 솔루션과 긴밀한 지원을 제공하여 미디어텍의 5G개발 전략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래티스 반도체와 미디어텍은 USB Type-C 커넥터로 4K UHD를 구동할 수 있는 높은 전력효율의 레퍼런스 디자인을 출시했다고 공동 발표했다. 래티스의 USB Type-C 포트 컨트롤러와 MHL 트랜시버는 Tri-Cluster CPU와 10개의 프로세싱 코어(데카코어)가 탑재된 모바일 프로세서인 미디어텍의 Helio X20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래티스와 미디어텍은 최근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4K UHD 시장을 위한 차세대 저전력 비디오 레퍼런스 디자인 개발을 위해 협력해 왔으며, 그 결과 이번 솔루션이 출시됐다.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른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가기를 원하므로 전력 소모는 적으면서 동시에 고성능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다. 스마트폰을 예로 들면, 래티스의 SiI8348 MHL 트랜스미터는 미디어텍의 Helio X20 과 연결되어 끊김 없는 4K 비디오 전송 기능을 담당하고, SiI7033 포트 컨트롤러는 USB Type-C에서 MHL Alt 모드 설정 기능과 함께 스마트폰의 신속한 충전에 필요한 PDO(Power Data Objects) 설정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Sil7033 포트 컨트롤러는 무방향성(R
SK하이닉스는 지난 10일 중국 심천에서 주요 모바일 업체들을 초청해 ‘2015 SK하이닉스 모바일 솔루션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미래 모바일 생태계를 함께 만든다’는 슬로건 아래 작년에 이어 개최한 이번 행사에는 300명에 가까운 인원이 참석해 SK하이닉스의 모바일 D램과 차세대 낸드플래시 솔루션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행사에는 SK하이닉스의 중국 주요 고객인 화웨이, 레노버, 샤오미 등과 중국 최대 이동통신 업체인 차이나모바일, 칩셋 업체인 퀄컴, 미디어텍 등 모바일 산업 핵심 업체들이 작년에 이어 재차 참여해 SK하이닉스에 대한 중국 시장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 특히, 기조연설에서 차이나모바일은 중국 모바일 4G 발전 현황과 변화 방향을, 퀄컴과 미디어텍은 중국 4G 시장 대응을 위한 SoC(System on Chip) 개발 전략 및 SK하이닉스와의 협력 강화 필요성을 언급하며 중국 모바일 시장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8기가비트 LPDDR4 D램, 36단 3D 낸드플래시, 고성능 UFS(Universal Flash Storage) 등 다양한 모바일 제품으로 고객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