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산업부·과기정통부 협업'나노융합 2020사업'성과보고회, 수원 광교에서 개최해 모바일폰 지문인식 모듈, 투명전극 프린팅 등 나노기술을 접목한 혁신제품의 상용화를 지원해 온 정부 연구개발사업의 누적성과가 5,000억 원을 돌파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산업부 정승일 차관, 과기정통부 문미옥 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산학연 현장간담회 및 성과보고대회가 6월 27일 나노기술원 및 경제과학진흥원에서 개최됐다. ▲나노기술을 접목한 혁신제품의 상용화를 지원해 온 정부 연구개발사업의 누적성과가 5,000억 원을 돌파했다. '나노융합 2020사업(이하 2020사업)'은 산업부와 과기정통부 협업으로 단일사업단을 구축, 공공부문이 보유한 나노기술의 성과를 산업계의 신제품 아이디어와 연결하여 조기에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2년부터 2018년까지 1,200억 원이 투자됐으며, 금년 5월말 기준 정부 투자액 대비 420%인 사업화 매출액 5,076억 원(사업기여 반영금액), 사업화 성공기업 29개, 사업화 제품 85건(세계시장 점유율 5위 이내 세계 일류상품 2건 포함), 특허 출원 358건·등록 148건 등의 성과를
ⓒGetty images Bank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향후 여러 대의 디바이스를 통합하기보다 더 많은 디바이스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8년에 이르러 평균적으로 1명 당 3대 이상의 개인용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16년에는 웨어러블, 모바일폰, 태블릿, PC 등 총 디바이스 대수가 78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추세가 이어져 2018년에는 83억 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가트너 책임 연구원인 안술 굽타(Anshul Gupta)는 “높은 기술 도입율, 초고속망 상용화와 의사 결정에 대한 실시간 정보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 1명 당 디바이스 대수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성숙 시장의 사용자들이 ‘주류’와 ‘틈새시장(Niche)’ 디바이스를 혼합해 3~4개의 개인용 디바이스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류 디바이스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컨버터블(2-in-1 디바이스), 노트북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주류 디바이스의 2개 이상을 상시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틈새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 헬스 밴드와 스마트 안경은 물론 스마트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