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아비바(AVEVA)가 새로운 클라우드 기반 인력 개발 솔루션인 아비바 유니파이드 러닝(AVEVA Unified Learning)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아비바 유니파이드 러닝은 아비바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아비바 커넥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비바 포트폴리오의 일부다. 아비바의 프로세스 컴피턴시 트레이닝, 파이프라인 컴피턴시 트레이닝 등과 같이 체험 기반의 사용자 맞춤 교육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스 운영자 교육을 위한 학습 콘텐츠 개발 파트너 오퍼레이션 엑설런스 그룹의 OEG 지식 라이브러리의 액세스도 제공해 초보자가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비바 유니파이드 러닝은 기업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술 향상에 주력하며 새로운 인력 유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유일무이한 솔루션이다. 직원 대상 이러닝, 비디오 콘텐츠 및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프로그램으로 더 짧은 시간 내에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으며 단일 플랫폼 내의 체험 기반 교육을 통해 직원의 역량과 업무의 일관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산된 업무 현장에서 서로 다른 기술 숙련도를 가진 근로자의 학습 프로그램을 관리해야 하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엠씨테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엠씨테크가 이번에 선보인 6 자유도 모듈 제품은 X,Y,T축 조합의 Alignment 구동 가능한 제품이다. 고정밀 Vacuum Chuck (Granite & Ceramic), 3 Pin Module 적용 Up/Down 기능 추가, Subcompact Size 구조, Wafer 검사기, Lens 두께 검사기, Glass Cutting 등의 특징이 있다. 비젼 검사기는 고정밀, 저소음, 경량화 구조의 제품이다. Cyclodial Gear 적용, Cyclodial Gear 적용, 176mm의 컴팩트한 사이즈가 특징이다. 8축 스테이지는 MOONS' 제품으로 모든 모션 구현 가능하며, AC Servo + Closed Loop Step + Open Loop Step 적용된 All In One System이다. 엠씨테크는 세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테크노핸즈코리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테크노핸즈코리아(대표 하라다 미노루)는 SF+AW 2021에서 피에조모터, 3ZTHETA 모듈 등을 전시한다. 초음파 모터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한 Holding force를 유지한다. 때문에 브레이크가 필요없고 전자 브레이크가 없는 경량・소형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마찰구동으로 제동력이 크기 때문에 정지 시 뛰어난 응답성을 발휘해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며 코일이나 자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적인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구동 시에 이용하는 진동은 비가청 영역의 주파수이기 때문에 구동음이 조용하며 기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동장치의 노이즈 발생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의료, 레이저,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 및 환경에서 이야기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초음파모터를 이용한 다 축 모듈이나 핀셋모듈 등으로 반도체나 레이저 장비 등의 한 부품으로서 적용 및 사람이 작업하지 못하는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넥센서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넥센서(대표 유준호)는 SF+AW 2021에서 현미경 간섭계 센서, 자유곡면측정기, 변위&두께센서 모듈 등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게 될 현미경 간섭계 센서는 정밀소자, 부품에 대한 3D 높이, 형상 측정을 위한 기술로 Bumped wafer, PCB Bump, Display column space 같은 부분의 정밀한 높이 측정 모듈이다. 이와함께 전시될 자유곡면측정기는 기존 시장에 없는 새로운 기술로 투명한 렌즈, 글라스, 필름 등 Flexible한 자유곡면체에 대한 외관 검사 및 3D 형상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모델이다. 변위&두께센서 모듈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의 두께 및 변위 측정용 모듈로 검사 제품의 거칠기가 다른 상황에도 실시간 두께 및 변위 측정이 가능한 모델이다. 넥센서는 국내 기술로 스마트공장에 제공되는 3D 광학 센서&솔루션을 개발, 제공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
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현대위아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성과와 향후 목표 등을 담은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현대위아는 보고서에서 4대 경영 방침으로 미래가치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 강화,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확대, 협력사 상생 발전 체계 확립,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강화를 내세웠다. 이에 따라 현대위아는 냉각수 분배·공급부터 실내 공조까지 전기차의 모든 열을 관리하는 통합 열관리 모듈과 전동화 액슬 등 친환경차 부품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2023년까지는 수소전기차의 필수 부품인 공기압축기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또한, 로봇과 자율주행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공정의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인간 친화적인 협동로봇을 개발해 다양한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스마트 팩토리 사업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유블럭스(u-blox)가 최대 105°C의 동작 온도 범위를 보장하는 자동차 등급 위치 추적 모듈 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NEO-M9L 모듈과 M9140-KA-DR 칩은 유블럭스의 M9 GNS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위성 신호가 손상되거나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추측 항법 기술을 사용해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유블럭스 NEO-M9L-20A 및 NEO-M9L-01A 모듈과 M9140-KA-DR 칩은 차량용 순정 솔루션을 위해 특별히 설계됐다. 모듈과 칩 모두 자동차 등급이며, NEO-M9L-01A 제품군은 최대 105°C까지 확장된 동작 온도 범위를 제공하므로 루프나, 차량 전면 유리 안쪽 또는 발열 수준이 높은 ECU(electronics control unit) 내에 통합시키기에 적합하다. 적용 애플리케이션에는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VI) 및 헤드 유닛과 같은 통합 내비게이션 시스템, 통합 텔레매틱스 제어 유닛 (TCU) 및 V2X가 있다. 이 모듈은 저지연의 100MHz RAW 데이터 출력을 제공하는 새로운 세대의 6축 관성 측정 장치(IMU)를 포함하고 있다. 이 모듈은 저지연의 50Hz 위치 업데이트 속도를 제공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트리나솔라의 차세대 버텍스 670W모듈이 적설량이 중국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트리나솔라는 자사의 버텍스 670W 모듈이 중국 동부 태양광 시험센터의 불균일 설하중 중국품질인증(CGC)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많은 눈이 내릴 경우, 모듈 표면 및 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은 균일하지 않다. 불균일 설하중 시험은 폭설 시 눈의 균일하지 않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의 능력을 평가한다. 시험 성적에 따르면 트리나솔라의 5개 모듈 전체는 2.8m 적설량의 압력에 해당하는 최대 7000Pa의 설하중을 견뎌냈다. 이는 기존 불균일 설하중 기준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트리나솔라 버텍스 670W 모듈의 뛰어난 설하중 저항을 보여준다. 트리나솔라는 5개 모듈이 모두 불균일 설하중을 견뎌냈다는 사실은 제품의 품질이 일관적이며 우수함을 나타낸다고 강조했다. IEC 61215 및 IEC 62782 동적 및 정적 시험과 달리, IEC 62938: 2020 기반 불균일 설하중 시험은 태양광 모듈의 적설 하중 저항을 시뮬레이션하는 표준 시험으로, 여러 응용 상황에서의 위험을 관리한다. 표준 시험은 실제 상황을 가정한 것으로 태양광 모듈의 적설 하중 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온세미컨덕터가 APEC 2021서 1200V 풀 실리콘 카바이드(SiC) MOSFET 하프브리지 모듈을 발표했다. 6월 14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는 세계 최대 응용전력전자 행사인 APEC 2021서 온세미컨덕터는 하프브리지 모듈 발표와 전기차 시장의 요구에 적합한 제품을 더욱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기차 판매량이 지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운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또한, 이를 통해 주행거리 불안 없이 신속하게 목적지까지 도착하도록 돕는 급속 충전소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기차 관련 요구사항이 빠르게 변화해, 350kW 이상의 전력을 95%가 넘는 효율로 공급하는 것이 표준이 되고 있다. 충전기가 배치되는 다양한 환경과 위치를 고려할 때, 소형화, 견고성, 그리고 향상된 신뢰성 등이 설계자가 직면하게 되는 도전과제가 된다. 새로운 1200V M1 풀 SiC MOSFET 하프 브리지 모듈은 플라나(Planar)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18-20V 범위의 드라이브 전압을 네거티브 게이트 전압으로 인가해 간단하게 구동된다. 해당 제품은 트렌치 MOSFET에 비해서 더 큰 크
[헬로티=서재창 기자] 트리나솔라가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210mm 지름 태양광 전지 모듈 사용 인증을 최초로 획득했다. 향후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한국에서의 행보를 주목해볼 만한 이유다. 이에 전자기술 6월호에서는 추준웅(Ku Jun Heong) 트리나솔라 아시아태평양 지역 영업이사와 인터뷰를 갖고, 질의를 통해 당사 비즈니스 동향과 태양광 산업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추준웅(Ku Jun Heong) 트리나솔라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임 영업이사 지난해 트리나솔라에서 진행해온 사업 및 성과는? 지난 1997년에 설립된 트리나솔라는 태양광 발전 및 스마트 에너지 토탈 솔루션 업계의 글로벌 선두주자다. 2020년 6월, 트리나솔라는 상하이 증권거래소의 과학혁신보드(STAR Market)에 상장된 첫 번째 태양광 발전 업체가 되는 쾌거를 올렸다. 과학혁신보드는 신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를 위한 주식 시장이다. 2020년 2월에는 처음으로 최신형 버텍스 모듈을 선보인 뒤 버텍스 생산 라인에서 더욱 많은 제품을 생산했다. 버텍스 S 400W를 비롯해 버텍스 500W, 550W, 600W, 670W 제품이 출시됐고, 주거용, 상업용 및 대규모 태양광 발전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코보(Qorvo)의 신제품 DWM3000 RF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출처 : 마우저 이 고집적 디바이스는 DW3110 UWB(초광대역) 트랜시버 IC와 전력 관리, 세라믹 UWB 칩 안테나, 크리스탈을 결합해 자산 추적, 물류, 내비게이션, 공장 자동화와 같은 설계의 통합을 단순화한다. 마우저에서 제공하는 코보 DWM3000 RF 모듈은 IEEE 802.15.4a 및 IEEE 802.15.4z BPRF 모드를 준수하며, 10cm 정밀도로 사물의 위치를 인식 및 추적할 수 있게 해준다고 밝혔다. 이 장치는 850kbps 및 6.8Mbps의 데이터 속도를 지원하며, UWB 채널 5(6.5GHz)와 채널 9(8GHz)를 통해 전세계 UWB를 지원한다. 해당 모듈은 ToF(Time-of-Flight) 및 TDoA(Time-Difference-of-Arrival) 위치 체계를 지원해 내비게이션 및 추적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성능을 자랑한다. 이 소형 RF 모듈은 24핀, 23 mm x 13 mm x 2.9 mm 패키지로 제공되며 UWB 채널 5 작동에 있어서 코보 DWM1000과 핀과 크기가 호환된다. DWM3000 모듈은 설계 유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글로벌 자동화 기술 업체 ‘오므론(OMRON)’의 NXR 시리즈 IO 링크 컨트롤러 및 IO 링크 I/O 허브에 맥심의 듀얼 IO 링크(IO-Link) 제품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맥심 제품이 오므론의 최초 원격 디지털 출력 IO 링크 I/O 허브(NXR-CD166C-IL2 모듈)에 추가됨으로써 오므론은 양방향 컨트롤러 및 디지털 입출력 기능을 확대하고 센서 분야에 국한됐던 IO 링크의 사용 범위를 넓혔다고 전했다. 맥심의 듀얼 IO 링크 제품이 장착된 NXR 시리즈는 생산 시설 내 생산 장비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진단하고 모니터링 한다.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 입출력 기능을 추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자사 고객에게 제공하고, 맥심의 듀얼 IO 링크 컨트롤러 ‘MAX14819A’ 와 IO 링크 디바이스 ‘MAX14827A’, 디지털 출력 장치 ‘MAX14912’ 및 MAX14915’는 고객의 생산 라인에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IO 링크의 양방향 링크는 센서와 액추에이터에 정보를 제공해 생산 장비가 제품 변화에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icrochip Technology)의 WLR089U0 LoRa Sub-GHz 모듈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Microchip_WLR089U0 790nA의 초저전력 절전 전류를 제공하는 WLR089U0 모듈은 사물 인터넷(IoT)이나 스마트 시티 솔루션 등의 배터리 전원 공급식 원격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에서 제공하는 Microchip WLR089U0 모듈은 LoRa 및 FSK 변조를 지원하는 고집적 SAM R34 제품군 IC를 기반으로 한다. WLR089U0 모듈은 32비트 Arm Cortex-M0+ 프로세서와 256KB 플래시 및 40kb SRAM(8KB 배터리 백업 SRAM)을 포함한다. 고도로 구성 가능한 모듈은 12비트 ADC(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채널 7개, 아날로그 비교기 2개 및 최대 4개의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다양한 주변 장치를 제공한다. WLR089U0 모듈은 RF 스위치를 통합하여 863MHz에서 928MHz까지 전 세계 LoRaWAN 작동을 지원하며, 각 지역의 개발자들이 단일 부품 변형을 사용하여 설계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헬로티] RF 설계 부담 줄여 시장 출시 시간 단축, 최적화된 무선 성능, 저전력, 소형 풋프린트 보장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바로 사용이 가능한 소형 STM32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모듈 솔루션을 공급해 블루투스 LE 및 802.15.4 기반의 새로운 IoT 기기가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도록 지원한다. ▲STM32WB 와이어리스 모듈 7mm x 11.3mm 크기의 STM32WB5MMG 모듈은 무선 설계 기술이 없더라도 커넥티드 기기 구현이 가능하다. 이 모듈은 최소한의 레이어로 구성이 가능해 저비용의 PCB 기술로 구현하도록 제작됐으며, 안테나에 이르기까지 모든 소자가 통합돼 있다. 사용자는 무료 제공되는 ST의 STM32Cube MCU 개발 에코시스템의 턴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와 툴, 설계 위자드, 무선 스택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리카르도 드 사 어프(Ricardo de Sa Earp) ST 마이크로컨트롤러 부문 사업본부장겸 그룹 부사장은 “ST 최초의 STM32 기반 무선 모듈은 스마트 커넥티드 기기를 위한 기술장벽을 낮추고 시장 기회를 확장해준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
[헬로티] 실리콘랩스(지사장 백운달)는 심플리시티 스튜디오 5(Simplicity Studio 5) 출시를 통해 자사의 통합개발환경(IDE)을 업그레이드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선보인 심플리시티 스튜디오 최신 버전은 중앙의 웹(web)과 같이 보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다양한 무선 프로토콜에 대해 일관된 접근방식과 개발자 경험을 제공한다. ▲ 실리콘랩스는 디바이스 개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심플리시티 스튜디오 5를 출시했다. (사진 : 실리콘랩스) 실리콘랩스는 사물인터넷(IoT)을 위한 무선 시스템온칩(SoC)과 모듈, MCU, 그 밖의 임베디드 제품 개발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이 최신 버전의 올인원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계했다. 또한 새로운 심플리시티 스튜디오 5는 IoT 기기 개발자들에게 IoT SoC와 모듈에 대해 일관된 접근 방식, 보안 설정, 코드 이식성을 제공함으로써 디바이스 개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해준다. 실리콘랩스의 IoT 사업을 총괄하는 매트 존슨(Matt Johnson) 수석 부사장은 “IoT 개발자들은 성능, 전력 소모, 크기, 다중 프로토콜의 공존, 보안 관련 최적화 등 광범위한 기술적 과제
[헬로티] -12인치 팹을 통해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한 양산 지원 온세미컨덕터는 덴마크 댄포스 그룹(Danfoss Group)의 자회사인 댄포스 실리콘 파워(Danfoss Silicon Power)에 IGBT와 인버터 트랙션 모듈용 다이오드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자료: 댄포스 실리콘 파워 첨단 기술과 폭넓은 연구개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50년 이상 전력반도체의 선도적 공급자로 자리매김해 온 온세미컨덕터는 고전압 인터페이스, 스마트 전력관리, 차내 네트워킹, 시스템 레벨 통합, 센서 인터페이스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자동차 부품을 개발해왔다. 또한 설계자가 값비싼 측정 주기가 아닌 시뮬레이션에서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모델링 툴을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이스트 피시킬(East Fishkill)에 위치한 12인치 팹(Fab)을 통해, 향후 몇 년간 차량 전장화 시장에서 요구되는 많은 규모의 경쟁력 있는 기기를 공급할 수 있는 완벽한 입지를 구축했다. 댄포스 실리콘 파워는 덴마크의 가장 큰 산업 회사 중의 하나인 댄포스 그룹의 자회사로, 수십 년 동안 자동차, 산업 및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맞춤형 전력 모듈을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