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코그넥스가 고성능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 ‘데이터맨(DataMan) 8700’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처 : 코그넥스 ‘DataMan 8700’ 시리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개발된 차세대 휴대용 바코드 리더기로서, 튜닝이나 별도의 교육 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코그넥스는 전했다. DataMan 8700 시리즈는 코드의 중요한 요소가 누락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도 까다로운 DPM(직접 부품 표시) 및 라벨 기반 코드를 즉시 판독할 수 있다. 오일에 잘 견디고 방수 플라스틱으로 설계된 이 리더기는 오일과 먼지, 수분으로 인한 가장 혹독한 제조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DataMan 8700 리더기에는 내장 OLED 디스플레이 화면이 포함돼 구성 기능 버튼을 이용해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코그넥스는 이를 통해 무선 신호 강도 및 배터리 수명 표시 등을 빠르게 확인하고, 코드 데이터 읽기 작업을 진행하는 등 별도 PC에 연결하지 않아도 빠르고 직관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광범위한 산업용 프로토콜 및 무선 통신 옵션을 지원해 어떤 시설에서도 원활하게 컴퓨터와
[헬로티] HID 글로벌은 신제품인 HID®SignoTM 리더기를 공개했다. HID 글로벌의 시그니처 라인인 HID Signo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 분야에서 가장 뛰어나고, 상호 운용 가능하며 안전한 산업기준을 제시하는 제품이다. ▲HID Signo 리더기 기업은 이 제품을 통해 시스템 구축과 관리를 단순화하고, 오늘날 변화하는 환경에 보안 요구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더욱 스마트하고 연결된 출입통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하름 라드스탁(Harm Radstaak) HID 글로벌의 물리적 액세스 제어 부문 부사장은 “최근 업계에서는 액세스 제어 시스템을 지능형 환경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사용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컨설턴트, 통합업체 및 엔드 유저 대상 보다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고성능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HID Signo는 개방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설계됐으며, 전례 없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업무 환경을 최적화하는 강력한 미래 지향적 성능을 통해 HID 글로벌의 혁신성을 보여준다. 당사의 목표는 고객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변화하는 보안 요구사항에 맞춰 고객의 시
[첨단 헬로티] 국내 거래선 및 파트너사 관계자 200여명 참석...전략 제품 및 신규 서비스 소개를 통해 2019년 사업 방향 제시 국내 POS 솔루션 1위 기업 포스뱅크(대표 은동욱, 엄기형)가 2019년 ‘신제품 발표회’를 진행했다. 이번 신제품 발표회는 주요 거래선 및 파트너사 관계자에게 포스뱅크의 전략 제품 및 신규 서비스를 소개하고, 향후 사업 방향과 비전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이번 행사는 신제품 소개, 신제품 시연, 신규 서비스 소개 등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으며, 행사장 내 별도의 제품 체험 존을 마련하여 참석자들이 직접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국내에서 최초 공개된 ‘BIGPOS’는 27인치 셀프 서비스 키오스크로, 세련되고 슬림한 디자인으로 참석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상하단 분리가 가능한 모듈형 설계로 바닥, 벽면, 카운터 등 매장 환경에 적합한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상단부 주요 부품에 대한 접근 용이성으로 편리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옵션형 프린터, 스캐너, 카드 보안 리더기, NFC, 카메라 등을 지원하며 여권 스캐너, 티켓 프린터, 현금 모듈 등을 추가로
MICROSCAN사의 고성능 이미지 인식 스캐너인 HS-41X 모델은 판금, 주조, 플라스틱, 전자 구성품 등의 표면에서 명암이 낮은 2D 바코드를 판독하는 소형 핸드헬드용 바코드 리더기이다. 듀얼 필드 광학 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도트 핀, 레이저/화학 에칭 등 직접 부품 표시(DPM) 방법으로 생성된 고난이도 바코드와 같은 선형 바코드 및 2D 기호를 모두 판독할 수 있다. 내구적인 설계를 갖춘 소형 HS-41X 영상표시기에는 1.8m 높이에서 콘크리트에 떨어뜨려도 견딜 수 있는 오버몰드형 IP54 등급 인클로저가 포함돼 있다. 김희성 기자 (npnted@hellot.net)
ⓒGetty images Bank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의 공동 개발사인 NXP 반도체는 주력 솔루션인 PN5180을 발표하며 NFC 기술 진화의 새로운 시대를 알렸다. 이를 통해 앞으로 어디에서든 직관적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N5180는 첨단 다중 프로토콜(ISO/IEC 15693, Felica™, MIFARE™, ISO/IEC 14443A/B) 지원 NFC 프론트엔드 기술로, 더 효율적이면서도 견고한 성능을 자랑하며, 혹독한 환경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기존의 성공작인 PN512을 토대로 개발된 PN5180은 4배 향상된 출력을 제공하며, 추가 부스터 없이도 최신 리더기를 지원해 무접촉 대금 결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큐빅 트랜스포테이션 시스템(Cubic Transportation Systems)의 연구 개발 담당 부사장인 프라딥 미스트리(Pradip Mistry)는 "NFC는 점차 새롭고, 더 까다로운 용도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최근 운송 터미널들은 EMV 결제 시스템을 지원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대금 결제 시스템이나 NFC 지원 휴대폰, 웨어러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