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한 걸음 더 나아간 협동로봇의 모습이 공개됐다. 지난 10일부터 4일간 킨텍스에서 개최된 ‘2018 로보월드’에서는 다양한 협동로봇이 전시, 지금까지의 로봇 기술력이 개발 단계를 보여주었다. 협동로봇에서도 가장 이목을 끈 로봇은 ‘암(Arm) 로봇’ 이었다. 물품을 집고 옮기는 단계에 그쳤던 암 로봇은 최근 물품을 조립하고, 자르는 등 다양한 기능이 가능해졌다. 물건을 나르는 암 로봇은 물건의 위치를 스스로 찾아 정확히 옮겼고, 옮길 수 있는 무게도 무거워졌다. 현대중공업지주는 가반중량 12kg을 들 수 있는 YL012 모델을 출시하기도 했다. ▲ 한화정밀기계의 HCR-5 모델은 작업 중 충격이 감지되자 동작을 즉시 멈추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기능만 좋아진 것은 아니다. 로봇이 위험할 수 있다는 인식에 맞춰 외부의 충돌을 조금이라도 감지하면, 즉시 작동을 멈추는 기술 등도 개발되었다. 실제로 한화정밀기계의 HCR-5 모델은 신발 접착제 도포 작업을 하다 충격이 감지되자 동작을 즉시 멈추었다. 전시장에 부스를 마련한 두산로보틱스, 한화정밀기계, 뉴로메카 등은 협동로봇이 실제 산업 현
[첨단 헬로티] 스마트재활 스타트업인 네오펙트가 10월 10일부터 13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중추신경계질환 환자들을 위한 ‘라파엘 스마트 장갑(RAPAEL SMART GLOVE)’을 소개했다. 라파엘 스마트 재활 솔루션은 ‘재활 학습 알고리즘(Learning Schedule Algorithm)’을 이용하여 환자 능력에 따른 난이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개별 맞춤형 훈련을 제공하고 재활 동기를 부여한다. ▲ 네오펙트가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해 중추신경계질환 환자들을 위한 ‘라파엘 스마트 장갑’을 선보였다. <사진 : 김동원 기자> 또한, 객관적인 훈련 결과와 레포트를 제공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훈련 관리를 하도록 도와준다. 네오펙트 관계자는 “중추신경계질환 환자들의 가장 효과적인 재활은 반복 훈련이다”면서 “반복 훈련은 뇌가소성을 증진 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단순반복훈련은 적절한 도전과제를 제공하지 못하여 환자의 참여도를 떨어뜨려 왔다. 라파엘 스마트 장갑은
[첨단 헬로티] 100년 전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몇 살이었을까? 1900년대 한국인 평균 수명은 36세에 불과했다. 지금으로 따지면, 한창 인생을 즐길 시기에 생을 마감한 것이다. 이후 항생제가 개발되는 등 의학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급격히 상승했다. 1950년대에는 52.4세를 기록했던 평균 수명은 2017년 81.8세가 되었다. 의학이 발달은 사람들에겐 축복이었다. 그리고 그 축복은 이제 의료기기를 넘어 의료로봇으로 이어지고 있다. ▲ 2018 로보월드 협력로봇관에는 별도로 의료재활로봇이 전시됐다. <사진 : 김동원 기자> 지난 10월 10일부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고 있는 ‘2018 로보월드’에는 앞으로 의학 발전을 더 이끌어갈 의료로봇 기술이 소개됐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신체 일부분이 마비돼 팔이나 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의료기기부터 치매를 예방하는 로봇, 식사를 도와주는 로봇, 침상 생활 환자들을 위한 로봇 등이 전시돼 관람객들의 많은 이목을 끌었다. 이동의 꿈을 실현시켜주는 크레템의 ‘SUBAR’ ▲ 크레템의 'SUBAR'가 전시장을 돌아다니고 있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