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자체 기술력을 통해 2D 270° 레이저 스캐너 ‘LSC 시리즈’를 출시했다. LiDAR란 TOF(Time of Flight) 측정 방식으로 적외선 레이저를 발사하고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로 변환하는 센서로 OHT, AGV, 드론, 자동차 등에 적용되어 주변 환경 감지, 자율주행, 충돌 방지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물류로봇 및 서비스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산업 내에서 LiDAR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오토닉스가 새롭게 선보인 LSC 시리즈는 △L60×W60×H86mm의 소형 사이즈 △5m/10m/25m의 검출 범위 △270°의 검출 각도 △0.33°의 각 분해능 △905nm 레이저 사양(Laser Class 1등급) △15Hz 스캐닝 주파수의 특징으로 보다 정밀한 감지와 측정을 실현한다. 이 제품의 최대 장점 중 하나는 검출 필드 영역에 대한 자동 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소 10초에서 최대 60초 동안 주변 환경을 자동으로 인지하는 기능을 통해 검출 필드 영역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필드 영역 내의 검출 형태는 직사각형, 원형, 반원형,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헥사곤 매뉴팩처링 인텔리전스(이하 헥사곤)가 9월 8일~10일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전문 전시회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 월드 2021’에 참가한다. 스마트팩토리 오토메이션 월드는 국내 최대 스마트 팩토리 전문 전시회다. 올해 주제는 ‘디지털 뉴딜의 미래’로 헥사곤 외에도 스마트 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등에 전문성을 갖춘 450여 개 기업이 참가한다. 헥사곤은 스마트 팩토리 오토메이션 월드에서 제조 공정 전반에 걸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선보인다. 스마트 팩토리와 자동화를 실현하는 전 과정에 해당하는 ▲제품 설계 ▲생산 관리 ▲품질 관리 ▲데이터 통합 및 분석 등을 선보일 계획이다. 또 새롭게 출시한 레이저 스캐너 ‘AS1’와 장비 자산 관리 솔루션 ‘SFx’를 비롯해 제조 소프트웨어 ‘Q-DAS eMMA’ ‘VISI 리버스(VISI Reverse)’ ’시뮤팩트 웰딩(Simufact Welding)’ 등을 선보인다. 레이저 스캐너 ‘AS1’은 대규모 고정밀 측정이 가능한 최첨단 3D 레이저 스캐너다. 크롬 부품이나 검고 반짝이는 물체에 대하여 성능 저하 없이 동일한 결과값을 얻어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S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는 산업용 센서 솔루션 업체 시크(SICK)와 협력해 자사의 소프트웨어 설정 가능 디지털 입출력 제품으로 microScan3 Core I/O 라이다 기반 안전 레이저 스캐너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맥심 제품을 기반으로 업계 최소형 디자인을 구현하게 된 시크는 고성능을 필요로 하지만 장착 공간이 협소한 기계 및 차량에 새로운 nanoScan3 안전 레이저 스캐너의 활용도를 높였다. 양사는 MAX14914 소프트웨어 설정 가능 디지털 입출력 제품과 MAX22191 기생전원 공급 디지털 입력을 결합하고, 다른 맥심 IC의 조합으로 여러 개별 부품을 교체해 새로운 스캐너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됐다. MAX14914로 시스템 설계자는 6개의 개별 구성 요소와 주변 장치를 하나의 IC로 통합할 수 있으며 MAX22191로 크기를 줄였다. 이로써 새로운 nanoScan3는 기존 microScan3 Core I/O 대비 크기를 두 배 줄일 수 있게 된다. 양사는 nanoScan3의 전체 높이가 8cm에 불과함을 감안하면 혁신적인 발전이라고 전했다. 이런 맥심의 디지털 입출력과 전력 솔루션 기술의
Mary Dean, 코그넥스 글로벌 콘텐츠 마케팅 매니저 | 제조 물품은 대부분 3차원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3차원에서 작동할 수 있게 설계된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조립, 품질 보증과 그 외 산업 업무에서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생각은 당연하다. 현재의 3D 머신비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로봇과 같은 자동화 기계를 안내하여 물품을 픽업한 뒤 결함이 있는지 검사하며 조립 프로세스의 일부로 물체를 측정하는 기본 작업을 수행한다. 3D 머신비전 설계자는 레이저 스캐닝,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ToF(time-of-flight) 솔루션을 포함한 여러 가지 옵션 중에서 선택하는데, 이 세 가지 솔루션 중 레이저 스캐닝이 가장 빠르고 정확하며 비용 효율적인 3D 데이터 수집 솔루션으로 알려져 있다. 레이저 스캐너는 레이저 프로파일러(laser profiler), 변위 센서(displacement sensor) 및 영역 스캔 시스템(area-scan system)의 세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레이저 프로파일러는 개별 프로필을 연속 영상에 쌓아 표면 맵(surface map)을 생성한다. 변위 센서는 높이 맵(height map)보다 더 나은 정확
[첨단 헬로티] 반도체·디스플레이·공장자동화 장비를 설계와 제조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는 인아텍이 ‘2019 로보월드’ 전시회에서 자율주행 로봇 ‘MiR'과 협동로봇 ’TM Robot'을 선보이며 눈길을 끌고 있다. 자율주행 로봇인 ‘MiR’은 기존 AGV와 달리 마그네틱 같은 유도장치가 없이도 주행이 가능하며, 레이저 스캐너 및 3D 카메라를 통해 주변 경로 및 상황을 파악해 주행할 수 있다. 사람, 장애물 등을 감지해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근무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며, 최대 1000㎏ 중량물까지 이송할 수 있다. ▲ 통합비전 시스템이 내장된 협동로봇 ‘TM Robot' 협동로봇 ‘TM Robot’은 비전(VISION)이 내장된 협동로봇이다. 일반적인 협동로봇과 달리 통합 비전 시스템이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내부에 기본적으로 장착됐다. 비전 시스템에는 손으로 로봇의 동작을 직접 학습시킬 수 있는 기능이 결합돼 로봇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어도 쉽게 배치 작업을 설정할 수 있다. 인아텍 관계자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특허법원에서 진행된 ‘레이저 스캐너 LSE 시리즈’에 대한 특허권리범위확인 소송에서 B.E.A에 승소했다. 특허법원에서 진행된 이번 특허권리범위확인 소송은 지난 2018년 5월에 오토닉스에서 B.E.A를 상대로 특허권리범위확인심판을 특허심판원에 청구하면서 시작됐다. ▲ 레이저 스캐너 ‘LSE 시리즈’ 특허심판원은 오토닉스의 주장을 인정하여 ‘오토닉스의 레이저 스캐너는 B.E.A 특허발명(한국등록특허 제914097호)의 권리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는 인용 심결을 하였으나, B.E.A에서 심판 결과에 불복하여 지난 2018년 11월에 특허법원에 항소한 것이다. B.E.A의 항소에도 불구하고 특허법원은 “B.E.A의 특허는 신규성이 없고 오토닉스의 레이저 스캐너는 자유실시기술에 해당하므로, 오토닉스의 레이저 스캐너는 B.E.A 특허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지 아니한다”고 판결을 내림으로써 오토닉스의 손을 들어줬다. 오토닉스 측 관계자는 “향후에도 특허권자의 부당한 요구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할 계획이며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계정을 통해 제품 관련 각종 문의 및 상담할 수 있는 1:1 상담 서비스를 오픈했다. ▲ 오토닉스의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1:1 기술상담 서비스 카카오톡 가입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내 오토닉스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면, 제품 선정부터 스펙, 파라미터 설정, 결선, 기타 문의 등 제품 및 오토닉스 서비스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상담을 1:1로 진행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PC와 모바일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제품 및 이용 관련 문의에 대한 빠른 답변과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고객들에게 가장 큰 장점으로 다가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오토닉스는 레이저 스캐너, 모션 디바이스, 온도조절기, 통신, 디스플레이 등 5월 정기 기술 교육 일정을 발표, 오토닉스 제품에 대한 무상 기술 교육 시행 및 오토닉스의 기술력 제공과 더불어 해당 카카오톡 서비스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 기업 오토닉스가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한 TOF 검출 방식으로 최대 5.6m×5.6m의 범위 내의 물체를 유연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레이저 스캐너 ‘LSE 시리즈’를 양산화에 성공, 출시했다. 오토닉스는 외산 제품 대비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A/S와 같은 사후 지원 서비스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오토닉스의 레이저 스캐너 ‘LSE 시리즈’ 레이저 스캐너란, 방출된 레이저 펄스가 물체에 맞고 반사해서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TOF(Time Of Flight) 기술을 사용하여 검출 범위 내에서 사람, 장애물 등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오토닉스의 레이저 스캐너는 해당 검출 기술을 활용한 적외선 레이저와 4면 회전 미러를 이용한 검출방식으로 4개의 검출 범위를 만들어 물체와 사람을 인식한다. 오토닉스가 이번 양산화에 성공하여 출시한 레이저 스캐너 LSE 시리즈는 기존 에리어 센서가 가진 선 단위의 장애물 검출의 한계를 뛰어넘은 면 형태의 넓은 검출 범위로 사람 및 물체를 인식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민감도가 높은 검출을
[첨단 헬로티] 인아텍이 1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세미콘코리아(Semicon Korea) 2019’에 참가한다. ‘세미콘코리아 2019는 국내외 반도체 재료 및 장비 업체들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의 전시회로, 올해 4만명 이상의 반도체 엔지니어와 업계 관계자들이 자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아텍이 ‘세미콘코리아 2019’에서 선보일 주력제품 인아텍은 반도체, Display, 공장자동화 장비를 제조해 국내외로 납품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스마트팩토리 수요에 발맞춰 로봇 솔루션 국내시장 공급 및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다. 인아텍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스마트 자율주행 로봇 MiR, 비전이 내장된 세계 최초의 협동로봇 TM Robot, 팔레트 운송 로봇 Nipper 등을 소개한다. 우선, MiR은 레이저 스캐너 및 3D 카메라를 통해, 주변 경로 및 상황을 파악해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로봇이다. 최대 500kg 중량물 및 팔레트를 이송할 수 있으며, 시간 당 7.2km 운행이 가능하다. 인아텍에서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더해 상위 통신까지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TM Rob
[첨단 헬로티] 디스플레이·반도체 장비 전문기업 인아텍이 10월 10일부터 10월 13일까지 4일간 경기도 킨텍스에서 열리는 ‘2018 로보월드’에 참가한다. ▲ 인아텍이 '2018 로보월드'에서 선보이는 주력제품 인아텍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로봇 솔루션 공급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선보일 계획이다. 스마트 자율주행 로봇 MiR, 협동로봇 TM Robot, 팔레트 운송 로봇 Nipper 등 인아텍이 국내에 공급 중인 다양한 로봇 라인을 전시한다. 인아텍 부스에서는 각각의 운행 모습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도록, 데모기도 운용할 계획이다. 우선, MiR은 기존 AGV와 달리 마그네틱 없이도 주행이 가능한 물류 이송 로봇이다. 레이저 스캐너 및 3D 카메라를 통해, 주변 경로 및 상황을 파악해 주행할 수 있다. 사람, 장애물 등을 감지해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근무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최대 500kg 중량물 및 팔레트를 이송할 수 있으며, 시간당 7.2km 운행이 가능하다. 컨베이어 벨트, 선반 리프트, 로봇 팔 등 다양한 옵션을 장착한 상부 모듈을 선택해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TM
[첨단 헬로티] MiR(Mobile Industrial Robots)은 공장, 병원 등 물류 이송 현장 어디에서든 적용할 수 있는 협업 자율 주행 로봇이다. 초음파 센서 및 3D 카메라를 통해, 변하는 정보를 식별하여 경로와 상태를 예측해 주행할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협업 자율 주행 로봇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갈 신제품 ‘MiR 500’을 소개한다. ▲ (왼쪽부터) MiR 100, MiR 200, MiR 500 제품 덴마크에 본사를 둔 MiR은 모바일 산업 로봇 공급업체로, 지난 2월 ‘㈜인아텍’과 국내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 인아텍은 MiR의 국내 대리점으로서, 국내 모바일 산업 로봇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물류 이송에 최적화된 MiR 신제품 MiR500은 물류 이송에 최적화되어 있는 AMR(Autonomous Mobile Robot)이다. 리프팅(Lifting) 기능으로 팔레트 이송 작업에 최적화되어 있어, 최대 500kg 중량물 및 팔레트를 내부 이송할 수 있다. 시간당 7.2km를 운행할 수 있으며, 1시간 충전으로 0~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팔레트(1200x800x150mm
썬덴코리아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Janome, Sanyo Machine, Aimco, Santest, Pureron 등 유수의 글로벌 파트너를 통해 서보프레스 너트런너, 가스 필터 및 다양한 계측기와 센서류를 국내외 자동차, 전기, 전자,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 현장에 소개 및 적용시켜 왔다. 최근에는 급변하는 시장 환경, 다양한 고객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 부품 형상 및 표면 검사에 최적화된 2D/3D 레이저 스캐너 및 컬러 센서를 글로벌 독일 기업인 QuellTech, Sensor Instruments사와 제휴를 체결해 공급하고 있다. 이번 한국기계전에서 썬덴코리아는 2D/3D 레이저 스캐너, 너트런너 등을 출품해 관람객들의 호평을 받았다. 2D/3D 레이저 스캐너의 경우, 최대 0.6μm의 해상도(Z축 해상도)를 갖고 있으며 프로파일 속도는 최대 14kHz이다. 측정 범위는 2mm에서 최대 840mm까지 가능하며 자외선에서 척색, 적색, 녹색을 거쳐 IR까지 다양한 레이저 광원을 갖고 있다. 그리고 너트런너 중 SGNR은 자동 타입(멀티/싱글) 제품으로, 기존 SDNR형보다 높이가 30mm 더 작아지고 가벼워졌다. 이 제품은 정
로이체 일렉트로닉은 3월 29일부터 31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7에 참가하여 광전자센서, 초음파센서, 화이버 옵틱 센서 등 각종 센서와 측정용 라이트 커튼, 레이저 스캐너, 스마트 카메라 등을 선보였다. 로이체 일렉트로닉은 1963년 독일에서 설립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로이체 그룹의 계열사로서, 지난 50여년 동안 공장자동화와 산업안전을 위한 광학센서, 바코드 시스템, 비젼시스템, 광모뎀 시스템, 안전시스템 등의 개발과 생산에 있어 시장을 선도해 왔다. 로이체 일렉트로닉 한국지사는 2002년 한국에 첫 발을 내디딘 후 공장자동화 및 안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기능, 고품질의 각종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3월 29일부터 3일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7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된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마트공장엑스포 2017’도 동시 개최되며, 스마트공장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컨퍼런스와 세미나도 준
[헬로티] 드림티엔에스는 3D 스캔 데이터로부터 각종 측정 및 설계 데이터와 3D 스캔 데이터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PointShape Inspector’ 소프트웨어를 개발, 출시했다. 2005년 4월에 설립된 드림티엔에스는 다년간 쌓아온 기술과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3년에 광대역 레이저 스캐너로 취득한 3D 스캔 데이터를 활용, 모델링하는 PointShape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후 2014년에는 PointShape Advanced를 출시했으며, 이어 터널의 공사 현황 관리를 위해 설계 데이터와 3D 스캔 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PointShape Tunnel Survey를 출시했다. 또한 2016년에는 토목 측량 분야에서도 모니터링과 변위측정을 위해 설계 데이터와 3D 스캔 데이터를 비교·분석하는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어, 교량, 건물, 댐 등 인공구조물이나 지진, 산사태, 지각운동 등 자연현상에 대한 비교·분석이 가능한 PointShape Surveyor를 개발해 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성장 과정을 거치면서 2017년에는 기계 분야에 최적화된 품질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