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STX엔진은 6월 9~12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열리는 2021 국제해양방위산업전(MADEX)에 참가한다고 9일 밝혔다. 올해 12회를 맞는 MADEX는 대한민국 해군, 부산광역시 그리고 한국무역협회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로 최신 함정, 잠수함, 조선 기자재를 450여 개 부스 규모로 선보이는 국내 최대 규모 해양 방위 체계 전시회다. STX엔진은 이번 전시회에서 해군 최신 호위함(FFX-II)에 탑재되는 실물 디젤 발전기 세트를 메인으로 전시한다. 가로×세로×높이(595×259×446㎝) 총 25t 규모의 디젤 발전기 세트는 함정 내외부 소음 배출 감소를 위해 차음 상자와 함께 구성되며, 1400KW의 전력을 생산, 함정 추진 체계에 해당하는 프로펠러를 구동하거나 함정 운용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한다. STX엔진은 실물 디젤 발전기 세트 외에도 해경 500t급 경비함에 탑재되는 모형 디젤 엔진 추진 세트와 독자 기술로 개발한 해안 및 항만 감시용 안테나 세트도 전시한다. STX엔진 박기문 대표이사는 “방위 산업은 국가 안보 기여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 발전·수출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업”이라며 “40여 년간 축적한 방위 산업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KAMA)는 ‘하이브리드차 보급 필요성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전기동력차 전환과정에서의 산업충격 우려, 2050 탄소중립정책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 대안인 점 등을 고려해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정부지원은 지난 2017년 총 383만원에서 2021년 183만원까지 매년 50만원씩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보조금 축소에도 하이브리드차는 최근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하이브리드차의 높은 연비로 인해 운행할수록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세제지원이 없는 경우 소비자에게 하이브리드차가 가지는 매력이 상당부분 반감될 수밖에 없다”며 “하이브리드차가 탄소중립정책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인 대안”임을 강조했다. LCA(Life Cycle Assessment, 전주기적평가) 관점에서 하이브리드차는 27.5t 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이는 반면, 80kWh급 전기차는 배터리 제조 및 재활용 방법에 따
[첨단 헬로티] 한국에서 원료 에너지 관련 용어 중 태양에너지와 전기에너지에 관련된 검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SEMrush(통합 디지털 마케팅 솔루션 기업)는 한국 내 11가지 원료 에너지 관련 용어의 월간 인터넷 검색 횟수 조사를 시행한 결과, 지난 3년간 태양에너지 및 전기에너지에 관련된 검색 횟수가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 SEMrush의 웹 정보 수집 결과, 태양에너지와 관련된 검색활동이 최근 2년 간 45% 증가했다. <사진 : SEMrush> 3위와 4위는 천연가스와 디젤이었다. 주목할 부분은 태양에너지의 검색 성장률 속도다. 태양에너지 관련 용어는 지난 2년간 연 45%의 성장을 보이며, 검색 횟수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에너지 용어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은 석탄 및 원자력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향후 15년간, 2031년까지 소비되는 에너지 중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천연가스의 비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오소(한국 내 SEMrush의 독점 마케팅 대행사)의 권정민 대표이사는 “개인이 검색하는 에너지 관련 용어의 대부분은 가전제품 또는 차량과 관련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면서 “전력은
[첨단 헬로티] 스웨덴 자동차 업체인 볼보가 질소 산화물 배출 절감에 따른 비용이 점점 증가하는 상황을 감안해 차세대 디젤 엔진 개발을 중단할 수 있다는 정황이 포착됐다. 하칸 사무엘손 볼보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독일 매체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상황에선 더 이상 차세대 디젤 엔진을 개발하지 않을 것이다"고 발언해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볼보 자동차 대변인은 사무엘손 CEO의 발언은 차세대 디젤 엔진 개발을 하지 않기고 결정했다기 보다는 옵션 차원에서 논의되어온 것이라고 전했다. 프랑크프루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보도가 나간 이후 사무엘손 CEO는 로이터통신에 보낸 이메일에서 디젤 엔진은 가솔린 엔진보다 연비가 좋은만큼, 앞으로도 몇년간 이산화탄소 배출 절감 목표를 맞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에 차세대 가솔린 및 디젤 엔진을 선보인 것도, 디젤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사무엘손 CEO는 새 디젤 엔진을 개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새 엔진을 방금 내놓은 만큼, 차세대 엔진 개발에 대한 결정이 필요치 않다는 설명이다. 사무엘손 CEO에 따르면 2020년까지 유럽연합이 설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