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닛케이 "수요급증·공급 부족에 위탁 생산 비용 증가" 사진. 도시바 (출처:연합뉴스) 도시바, NXP반도체, 르네사스일렉트로닉스 등 세계적인 반도체업체들이 자동차나 통신기기용 제품 가격을 인상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르네사스는 전압을 제어하는 '파워 반도체'나 자동차 주행거리는 제어하는 '마이콘'(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가격을 올리겠다는 의사를 최근에 거래 업체에 표명했다. 인상 폭은 차량용은 평균 수%, 서버나 산업용 제품은 10∼20% 수준이 될 것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도시바 역시 차량용 파워 반도체 등의 가격 인상을 위한 교섭을 시작했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차량용 반도체 시장 점유율 2위인 NPX나 스위스업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등도 제품 가격을 10∼20% 올리는 방안을 고객사에 제시했다. NPX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가격 변경은 사실이지만 그 이상의 설명은 삼가겠다", "답변을 삼가겠다"는 반응을 각각 내놓았다. 도요타자동차 계열사인 덴소나 독일 폴크스바겐(VW) 등에 제품을 납품하는 독일 콘티넨털 등이 가격 인상과 관련한 연
[헬로티]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코퍼레이션(이하, 도시바)이 차량 애플리케이션용 정전류 2상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 ‘TB9120AFTG’를 출시했다. TB9120AFTG는 간단한 클럭 입력 인터페이스만으로 사인파 전류를 출력하기 때문에 고급 MCU나 전용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TB9120AFTG는 도시바가 2019년 출시한 첫 차량용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 TB9120FTG의 후속작으로 잡음 저항을 개선했다. TB9120AFTG는 온저항(upper+lower=0.8Ω(typ.))이 낮은 DMOS FET를 통합해 최대 전류 1.5A[1]를 달성했다. DMOS FET와 컨트롤러 모두 마이크로-스테핑 사인파(최대 1/23스텝 지원)를 생성하며, 소형 QFN형 패키지(6.0mmx6.0mm)로 구성됐다. TB9120AFTG의 동작 온도 범위는 영하 40도에서 영상 125도이며, 차량 애플리케이션용 전자부품 규격인 AEC-Q100 인증을 획득했다. 헤드업(heads-up) 디스플레이의 투사 위치 조정이나 냉매 회로의 팽창 밸브 등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는 다양한 범용 차량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제품이다.
[헬로티]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코퍼레이션(Toshiba Electronic Devices & Storage Corporation, 이하 도시바)이 고전압 인텔리전트 파워 디바이스(intelligent power device, IPD) ‘TPD4162F’를 출시했다.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펌프 등의 제품에서 모터를 구동하도록 설계한 제품으로 소형 표면 실장 패키지로 제공한다. 28일 대량 출하를 개시했다. ▲ 도시바가 낮은 전력 손실을 강점으로 하는 600V 소형 IPD 신제품 TPD4162F를 출시했다. (도시바 제공) 신공정으로 제작한 TPD4162F는 도시바가 현재 판매하고 있는 TPD4152F보다 전력 손실이 10% 가량 적다. 따라서 TPD4162F를 탑재한 디바이스의 전력 손실 축소에 기여한다. TPD4162F는 다양한 제어 회로가 탑재되어 있으며 출력단에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와 고속 복구 다이오드(FRD)를 설치했다. 홀센서(Hall Sensor)나 홀 IC(Hall IC)로부터 구형파 입력신호를 받아 브러시리스(brushless) DC 모터를 직접 구동하기 때문에 PWM 컨트롤러
[첨단 헬로티]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코퍼레이션(이하 도시바)이 최신 세대 공정으로 제조한 80V N채널 파워 MOSFET 2종을 ‘U-MOS X-H 시리즈’에 추가했다. 새로운 MOSFET 제품군은 데이터 센터와 통신 기지국에 쓰이는 산업 장비의 전원공급 스위칭용으로 적합하다. ▲도시바 80V N채널 파워 MOSFET U-MOS X-H 시리즈 새로운 MOSFET 제품군은 TPH2R408QM과 TPN19008QM으로 구성되어 있다. TPH2R408QM은 SOP 첨단 패키징, TPN19008QM은 TSON 첨단 패키징을 적용했다. 출하는 30일부터 시작했다. 80V U-MOS X-H 시리즈에 추가한 새로운 MOSFET 제품군은 모두 최신 세대 공정으로 제조했으며 드레인-소스 온저항(Drain-source On-resistance)이 현 세대 공정으로 제조한 U-MOS VIII-H 시리즈보다 약 40% 낮다. 기기 구조를 최적화해 드레인-소스 온저항과 게이트 전하 특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도 크게 개선했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MOSFET 제품군은 업계에서 가장 낮은 전력 손실을 자랑한다. 도시바는 장비의 전력 소비량을 줄일
[첨단 헬로티]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코퍼레이션(Toshiba Electronic Devices & Storage Corporation, 이하 ‘도시바’)이 마이크로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 IC(집적회로) 라인업의 최신 제품인 ‘TC78H670FTG’를 출시해 지난 6일 양산을 개시했다. 이 IC 신제품은 최대 정격이 18V/2.0A로서 매우 다양한 작동 전압의 모터를 구동할 수 있으며, 카메라, 보안 카메라, 휴대형 프린터, 손바닥 크기의 스캐너, 피코프로젝터, 스마트폰 등에 응용될것으로 기대된다. 신제품 IC는 전원 장치 전압이 2.5V~16V 되는 128 마이크로 스테핑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응용 제품은 USB와 배터리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과 표준 9~12V 시스템 기기 등 매우 다양하며, 1.8V 인터페이스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호스트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도시바의 최신 DMOS(분산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 공정은 TC78H670FTG가 우수한 저(低) 온 저항(ON resistance) 성능 지수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또 이 공정은 IC의 대기
[첨단 헬로티] 도시바 인프라 시스템 앤 솔루션(Toshiba Infrastructure Systems & Solutions Corporation, 이하 TISS)이 대만 철도청(Taiwan Railways Administration, TRA)으로부터 통근 열차의 차량 520량(차량 10량으로 구성된 52개 열차)용 견인 시스템(traction system) 전기장비에 대한 주문을 받았다고 밝혔다. TISS는 2019년에 철도 차량 제조업체인 현대로템(Hyundai Rotem Company)에 이들 장비의 배송을 시작할 계획이며, 이들 열차는 2020년 말경에 상업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통근열차 EMU800 시리즈용 변압기<사진 : TISS> 이번에 수주한 것은 대만 서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약 430km 거리의 철도를 운행하는 통근 열차용 변압기, 전력 변환장치, 견인 전동기 등 일체의 견인 시스템 전기장비이다. 변압기는 보조 동력 장치와 TRA가 사용해 오던 견인 전동기를 작동하고 제어하는 전력 변환장치 모두에 전력을 공급하는 강제 공냉형과 전력 변환장치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압축된 소형의 자체 냉각형 등 두 가지 형태의 변압기를 공급
▲도시바글로벌커머스솔루션즈코리아 이호진 신임지사장 [첨단 헬로티] 도시바글로벌커머스솔루션즈코리아는 7일 이호진 전 한국IBM 유통운송산업본부장을 신임 지사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 지사장은 한국후지쯔에서 시스템 엔지니어로 출발하여 한국HP, 한국IBM 등에서 28년간 주요산업분야 영업담당 총괄임원을 두루 거친 유통 솔루션분야의 전문가이다. 앞으로 그는 도시바글로벌커머스솔루션즈코리아에서는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 셀프 체크아웃(Self-Checkout) 등을 중심으로 한 유통 솔루션 하드웨어, 서비스 영업 및 비즈니스 파트너 관리 등을 책임진다. 이호진 신임 대표는 “업계에서 쌓아온 경험과 비즈니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도시바글로벌커머스솔루션즈코리아가 고객 및 파트너사들과 함께 성장하고, 유통 솔루션 분야의 리더십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소프트웨어 선도 기업인 오토데스크는 오토데스크코리아에 김동현 신임 대표를 선임한다고 발표했다. 김동현 신임 대표는 오토데스크의 주요 산업 분야인 제품 설계 및 제조, 건축∙엔지니어링∙건설,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전반에 걸친 솔루션 제공 확대와 파트너사 관리 등 국내 비즈니스를 진두지휘할 예정이다. 김동현 신임 대표는 오토데스크 합류에 앞서 POS 및 유통 솔루션 제공업체인 도시바 GCS(Toshiba GCS)에서 한국 지사장 및 영업 마케팅 총괄을 역임했다. 김 대표는 재임 기간 동안 아시아 태평양 국가 중 최고의 실적을 기록하며 국내 비즈니스를 두 배로 성장시키는 동시에, 비즈니스 모델 변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등 혁신적인 경영 리더로서 명성을 쌓았다. IT 산업에서 28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김 대표는 마케팅부터 영업 관리 등 다양한 분야를 거쳤다. 이밖에도, 김 대표는 미국 금융 정보 분석 회사인 파이코(FICO)를 비롯해 STX, 다우데이타, 한국 IBM 등에서 근무한 바 있다. 오토데스크 하레시 쿱찬다니(Haresh Khoobchandani) 아태 지역 총괄 부사장은 “IT 업계에서 다양한
[첨단 헬로티] 전류 제한기 신호, 피드백 제어 가능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코퍼레이션(Toshiba Electronic Devices & Storage Corporation, 이하 ‘도시바’)이 50V / 3.0A에서 출력 전류 제한기 기능이 포함된 통합형 이중 H 브리지 DC 브러시드 모터 드라이버(brushed motor driver) IC를 출시했다. 신제품 TB67H401FTG 기기는 모터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이 필요한 경우 응용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는 사무용 기기, ATM, 가전제품, 로봇 청소기 등을 비롯해 흔히 DC 브러시드 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최근 들어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모든 기기가 해당된다. 지금까지 DC 브러시드 모터의 안전 제어는 정전류 제한(constant current limit)을 통해 모터 전류의 상한값에 한계를 둠으로써 얻어낼 수 있었다. 과전류는 모터 록(motor rock)에 의해 발생되고 외부 전기회로망, 연산 증폭기 및 비교 측정기를 통해 외부 저항기에서 읽혀 들이는데 이는 부품 수를 늘리고 회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고도의 통합형 IC인 TB67H401F
[첨단 헬로티] 도시바(Toshiba Corporation)가 새로운 글로벌 브랜드 아이덴티티(BI)로 ‘도시바의 진수(Essence of Toshiba)’를 발표했다. 기존의 도시바 그룹 경영비전, 브랜드 규범, 브랜드 슬로건 등은 새 경영이념을 담은 BI에 맞춰 개편된다. 도시바의 새로운 경영이념을 담은 BI 도입은 도시바 그룹의 사업 융합 및 다각화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도시바 그룹 계열사에 걸쳐 전사적으로, 전 세계에 분포한 도시바 사업장에 걸쳐 적용될 예정이다. 이는 도시바의 미래지향적 기업가 정신에 따른 것으로 새 BI에 담긴 도시바의 중단 없는 경영혁신과 경영철학은 도시바 그룹이 향후 전개할 커뮤니케이션 활동 전반에 걸쳐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방향타 역할을 할 전망이다. 새 BI는 도시바가 창업 이래 지난 143년간 축적한 도시바 고유의 핵심 경영철학과 정체성을 반영한 것으로, 도시바 그룹이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첨단기술에 기반해 현대인의 삶과 현대 사회의 질을 끌어올리고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미래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바의 새 BI는 7월 1일부터 전 세계 도시바 사업장
[첨단 헬로티] 티비에스(TBS)가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K SHOP 2018’에서 참가해 산업용 프린터, 모바일 컴퓨터 등의 자동인식 시스템들을 선보였다. 티비에스는 일본 도시바(TOSHIBA)의 협력사로서 산업용 프린터, 모바일 컴퓨터 등 다양한 바코드, RFID 기반 솔루션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바코드 프린터(BCP)를 활용한 고객 최적화 프린팅 솔루션과 RFID 솔루션 제공하는 것이 기 기업의 주 사업이며, 이 외에 롯트 트레킹 시스템, 계측제어 컨트롤링, 모바일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 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도시바의 다양한 산업용 프린터를 선보였는데, 이 가운데 최근 출시한 프린터 ‘도시바 B-EX6T 시리즈’가 집중 조명됐다. 이 시리즈는 최저 총비용과 함께 가용성 및 신뢰성, 선두 기술을 가진 산업용 프린터 시장을 재정의 할 수 있는 프린터로서 견고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디자인, 고급스러움 기능, 비용 절감 기능 등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최대 인쇄폭은 160㎜, 최대 인쇄 속도는 304.8㎜/sec이며 리본 세이브
[첨단 헬로티] 상반기 대형 OLED 패널 글로벌 판매 130만대 돌파, 작년 동기 60만대 대비 2배 이상 급증 LG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 패널 판매량을 급속도로 늘리며, OLED 흑자전환에 청신호를 밝혔다.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부회장 한상범)는 2018년 상반기 대형 OLED 판매 실적이 130만대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작년 동기 60만여대와 비교했을 때 2배가 넘는 수치다. LG디스플레이가 생산하고 있는 55, 65, 77인치 패널 모두 고루 판매가 증가해 프리미엄 TV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이처럼 OLED 패널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글로벌 TV업체들이 OLED가 주는 가치를 인정해 OLED TV 진영에 속속 합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3년 LG전자를 시작으로 일본 소니(Sony), 도시바(Toshiba), 파나소닉(Panasonic), 유럽의 필립스(Philips), 그룬딕(Grundig), 뢰베(Loewe), 메츠(Metz), 베스텔(Vestel), 뱅앤올룹슨(B&O) 등 유수의 업체가 OLED TV를 생산하고 있으며, 2018년에도 하이센스가 합류해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OLED는 가
[첨단 헬로티] 씨게이트 테크놀로지가 6월 1일(미국 현지시각) 판게아(K. K. Pangea)의 도시바 메모리 사업부 인수 완료를 발표했다. 판게아는 도시바 메모리 사업부 인수를 위해 베인캐피탈 컨소시엄이 일본에서 설립한 특수목적회사다. 씨게이트는 도시바 메모리 사업부 인수를 위해 해당 특수목적회사에 약 12억 7000만 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첨단 헬로티] 도시바, 매각 무산설에 대해 "조기 매각 완수 하겠다" 반박 SK하이닉스 "현재까지 도시바 메모리 인수 입장 변함 없다" (2018.04.23./뉴스1ⓒNews1 오장환 기자) SK하이닉스의 일본 도시바 메모리 인수 작업이 하루 사이에 냉탕과 온탕을 오갔다. 일본 도시바(東芝)가 23일 자회사인 도시바 메모리의 매각 작업을 조기에 완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다. 일본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도시바는 이날 "(도시바 메모리의) 조기 양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중국에서 독점금지법 심사의 장기화로 매각이 중단될 수 있다는 전날(22일) 일부 일본 언론보도에 대해서는 "매각 무산을 포함한 어떤 구체적인 방침도 결정되 않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일본 마이니치 신문은 "도시바가 5월말까지 중국의 반독점 심사 승인을 얻지 못할 경우 도시바 메모리의 매각을 보류할 계획"이라는 보도를 한 바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도시바가 지난해 12월 6000억엔(약 6조원) 규모의 증자에 성공하면서 재무상황을 개선되자 수익성이 좋은 도시바 메모리의 사업을 포기하지 않을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하지만 도시바의 이날 반박 성명으로 이같은
[첨단 헬로티] 도시바 일렉트로닉 디바이스 앤 스토리지 코퍼레이션(Toshiba Electronic Devices & Storage Corporation, 이하 도시바)가 소형 4핀 SO6패키지를 채용한 공장 자동화와 기타 산업 애플리케이션 용 광계전기 신제품인 ‘TLP176AM’을 출시했다. ‘TLP176AM’은 온 상태(on-state)의 정격 출력 터미널 전압이 60V이고 온 상태의 정격 전류가 0.7A이다. 대량 출시는 4일 시작됐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TLP176AM’에는 최신 U-MOS IX 공정으로 제조한 MOSFET(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통합돼 있어서 온 상태의 전류를 최대 0.7A까지 지원한다. 또 이 제품은 온 상태의 정격 전류가0.5A로 현재 사용중인 ‘TLP172AM’에 비해 ESD(정전기 방전) 면역성이 더 강하다. 이 광계전기 신제품은 온 상태의 정격 전류가0.4A인 2.54SOP4 패키지를 채용한 도시바의 주요 광계전기인 ‘TLP172A’와 성능과 바닥 면적이 모두 호환된다. ‘TLP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