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자키 타케오, 모리머시너리 FA사업부 제조기술과 팩토리 오토메이션(FA)이란 글자 그대로 ‘공장 자동화’를 말한다. 공장에서 제품이 제조되는 공정에는 수주, 생산, 출하와 같은 일련의 흐름이 있는데, 시대의 진전과 함께 공장에 도입되는 테크놀로지도 변화해 왔다. 최근에는 ICT, IoT, AI 등의 기술 발전과 함께 인더스트리4.0,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이 강조되고 있으며, FA화에도 새로운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IoT 센서와 네트워크 기술의 연계로 공작기계나 산업용 로봇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공장 현장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하나의 공장을 넘어 사내외의 여러 공장과도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에 소개하는 AI 툴 소믈리에는 머시닝 툴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장치, 툴 스토커에 AI에 의한 절삭공구의 수명 판정 기능을 탑재한 장치이다. 기존에는 기계가공 기능사 자격자가 하고 있던 공구 마모 판정을 AI 툴 소믈리에가 자동 판별, 공구 수명을 포함한 라이브러리를 구축해 정보의 일원화가 가능해진다. 이하에 개발 배경과 그 활용 방법을 소개한다. 툴 소믈리에의 개발(2019년 판매 시작) (그림 1) 이 설
[첨단 헬로티] 요꼬가와전기는 지난 3월 25일, 히타치 캐피탈, 요꼬가와전기 그리고 요꼬가와전기의 자회사인 암니모가 각 회사의 기술, 노하우, 임대 장비에 산업 IoT(IIoT)를 추가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포괄적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3사는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PoC(Proof of Concept)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대용량 데이터 전송 비용의 감소는 제조 분야의 IIoT 환경을 개선하여 생산성 향상과 서비스에 가치를 더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반면, IIoT의 확산 세를 이어 가는 데 있어서 실효성 보장의 어려움, 조직 내 필요한 전문성을 갖춘 인력 부족 등 큰 장애물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히타치 캐피탈, 요꼬가와, 암니모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의 시각화에서부터 적절한 IIoT 장치의 제안 및 구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 컨설팅 및 재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서비스를 통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포괄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이들 회사는 히타치 캐피탈이 제공하는 임대 장비
[첨단 헬로티]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ICT 기반 초지능화 공공인프라 핵심 요소기술인 ‘스마트 변전소’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했다. 4차 산업혁명의 핵 심 키워드 중 하나인 에너지 분야 성과로, 안정적인 광역 전력망 구성에 기여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전기정보망연구센터가 개발한 기술은 ‘스마트변전소 통신 프로세스버스 네트워크 응용기술’이다. 고장 회복지연 시간이 전혀 없는 고 신뢰성 이중화 네트워크로 한쪽 네트워크가 고장이 나더라도 나머지 네트워크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변전소 내 상·하위 네트워크에 연결된 수많은 지능형 전 기설비 보호기기 및 제어기기들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들의 시간정보를 GPS의 시 각신호에 정확히 맞추는 고정밀 시각동기화도 가능하다. 고신뢰성 이중화 네트워크 구현을 위해서는 ‘IEC 62439-3 3rd Edition’과 ‘IEC/IEEE 61850-9-3’ 표준을 따르는 병렬 이중화 프로토콜(PRP), 끊김없는 고 가용성 이중화 프로토콜(HSR) 및 고정밀 시각동기화 프로토콜
이 글에서는 ADAS에서의 끊김 없는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통합에 대해 살펴본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유연한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원격 컨트롤 기능을 사용한 다중채널 네트워크 기법에 기반한 MOST 기술은 시스템 솔루션 관점에서 최적의 기능을 제공한다.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는 자동차 내의 다양한 전기/전자 시스템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자동차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자동차는 인체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기능들을 구현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카메라, 레이더, 초음파 같은 센서 장치, 프로세싱 장치, 엑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복잡한 활용 사례들을 고려하여 자동차 내 각기 다른 영역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야만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능적인 관점에서 운전자 지원 시스템은 전통적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 운전자 지원은 E/E 에코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ADAS와 인포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