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철저한 방역 하에 나노기술과 융합산업 성과 공유ㆍ확산 나노 분야 연구자와 기업인들의 교류·협력의 장, ‘나노코리아2020’이 7월 1일부터 3일간 고양시 킨텍스(KINTEX)에서 개최된다. ▲사진 : 산업부 올해로 18회를 맞이하는 나노코리아는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과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주관한다. 최신 나노분야 연구 성과와 다양한 첨단 응용제품을 선보이는 국제행사로서 세계 3대 나노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나노코리아는 3일 동안 산업 전시회와 학술 심포지엄를 중심으로 운영되는데 첫날 개회식에는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과 산업부 김완기 소재부품장비산업정책관, 박광온 국회의원 등 산ㆍ학ㆍ연ㆍ관 인사들이 참석해 행사의 시작을 함께 했다. 네패스 이병구 회장과 싱가폴 난양공대(NTU) 수브라 수레시(Subra Suresh) 총장이 나노기술 및 산업의 현재와 미래 트렌드를 조망하는 기조강연을 하고, 2016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노스웨스턴대학 프레이져 스토더트(Fraser Stoddart) 교수와 포스텍 염한웅 교수가 심포지엄 분야 주제강연
▲ [사진=산업부]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나노기술 산·학·연 종사자들의 소통·교류를 위한 ’나노인의 날 2016’을 3일 서울 양재 엘 타워에서 열었다. 올해로 5회째를 맞은 행사는 산업부와 미래부가 공동으로 주최하였으며, 산·학·연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정책 소개, 나노기술 및 산업전망, 성과발표회 등 다채로운 내용으로 진행됐다. 먼저, 산업부와 미래부는 나노기술과 나노융합산업의 2017년 지원방향과 2016년 10대 나노기술을 발표하여 나노연구자와 나노기업인들에게 앞으로 연구개발(R&D)와 사업화 계획 수립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또한, 박영준 서울대 교수, 김종민 캠브리지대 교수는 각각 ‘제조업 4.0혁명과 나노기술’, ‘NT 기술로의 수렴’ 등을 주제로 나노기술 및 사업에 대한 미래전망을 소개하여 앞으로의 나노분야 연구개발과 사업화 방향에 의견과 시사점을 제공했다. 성과발표회에서는 나노융합2020사업의 박종구 단장이 사업단의 성과인 2012년 이후 나노제품 누적매출액 2278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