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이 4월 28일 오후 2시 서울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개최된 CDP 한국위원회 주관 ‘2019 기후변화 대응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에너지&유틸리티 부문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CDP(Carbon Disclosure Project)는 2000년에 설립되어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비영리 기관으로서 92개 국가의 주요 상장기업들의 기후변화대응 전략과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감축 노력 등을 공개하여 기업에 투자하는 금융기관에게 기후변화와 관련된 기회와 위험 요인을 투명하게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9년 기준 전 세계 8000여 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 자사의 탄소경영 정보를 공개하고 있으며 한전은 2008년부터 참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상장기업 중 시가총액 상위 2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경영 관련 정보를 요청 및 평가하고 있으며 CDP 한국위원회는 매년 국내 우수기업을 선정 및 발표하고 있다. 이번에 수상한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Carbon Management Sector Honors)는 금융, 산업재 등 10개 부문에서 총 16개 기업이 선정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김창섭)이 주관하는 ‘기후 WEEK 2019’ 컨퍼런스가 서울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렸다. 올해로 14회째를 맞이한 ‘기후 WEEK 2019’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기후변화대응 관련 컨퍼런스다. ▲ ‘기후 WEEK 2019’에서 김진우 전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 김동원 기자> 26일부터 27일 이틀간 열리는 올해 컨퍼런스는 ‘경제 성장‧에너지 절감 동시달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전략’을 주제로 다양한 세미나가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해 경제성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에너지효율 혁신방안과 효율연관 산업의 발전방안을 주로 논의했다. 첫째 날인 26일에는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을 비롯한 국내외 관계자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식이 진행됐다. 이어 진행된 세션에서는 각국의 디커플링 및 에너지효율 혁신사례를 소개했다. 또, 디커플링을 위한 에너지효율 혁신방안을 주제로 산업, 건물, 수송
[첨단 헬로티] 한국서부발전(사장 직무대행 정영철, 이하 서부발전)은 오늘(5일)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개최된 ‘기후 Week 2017’ 행사에서 기후변화대응 및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장관상을 수상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발전부문 기후변화 대응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온실가스 감축기여도가 높은 기업 및 임직원을 선발해 매년 표창을 수여하고 있다. 서부발전은 국가 기후정책과 연계한 ‘탄소경영 마스터플랜’ 및 ‘신재생 3020로드맵’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신재생에너지 사업개발에 나서는 등 신기후체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서부발전은 발전설비 효율개선 및 에너지절감 활동을 통해 2016년에만 1,579Tcal의 열에너지와 279GWh의 전기에너지를 절감, 약 44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리고 굴 껍데기, 커피찌꺼기 등의 폐자원을 발전소 원료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농식품부, 충남도와 함께 차별화된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방법론
▲ 기후변화대응 기술혁신 BEST10 [사진=미래부] [헬로티] 미래창조과학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정부의 기후변화대응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성과 Best 10을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기후기술 Best 10은 각 부처가 최근 3년간 지원한 기후기술개발 및 실증모델사업 중 대표 성과로 추천한 후보를 선정한 것으로, 상용화 시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성과나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 기여가 큰 기술이다. 정부는 이번에 선정된 10대 대표성과를 그 분야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거나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분야, 친환경 자동차 등 온실가스를 직접 감축하는 분야, 기후변화로 인한 국민 일상생활·산업에 적응하는 분야로 구분해 부처 간 연계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거나 재활용하는 분야의 대표 성과는 고성능CO2 포집제 개발로 경제성을 확보하고, 해양 저장실증 기술개발로 2020년 100만 톤CO2/연 감축이 가능하다. 또한 국내 억새를 재료로 바이오에탄올 상용화 공정을 개발 중이며, 기존 환경오염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상태의 물을 활용한 친환경 바이오에탄올 제조기술로 이산화탄소를 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