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포스코ICT가 역량 등급을 세분화한 새 인사제도를 도입하면서 경영진과 노동조합 사이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포스코ICT는 "모든 직원이 기술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내년 1월부터 새로운 직급 및 승진제도를 도입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포스코ICT는 기존 6단계(P1∼P6)였던 직급을 9단계 역량레벨(CL1∼CL9)로 전환한다. 임원을 제외한 기존 최상위 직급인 P6 위에 3개 단계를 신설해 추가 승진과 보상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기존 직급단계에서는 리더로 발탁되지 못하면 P4까지만 올라갈 수 있었지만 새로운 제도에서는 직책 없이도 CL9까지 올라갈 수 있다. 포스코ICT는 승진 가점을 확대해 기존 4∼5년이 소요되던 승진 연수도 단축하겠다고 덧붙였다. 포스코ICT는 "정년 60세 시대에 직원들이 지속적인 자기 계발을 통해 관리자가 되지 않더라도 기술 전문가로 성장하게 하고자 9단계 역량 레벨을 도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내년부터 기존 사원, 대리, 과장, 차장, 부장 등 직급 호칭은 폐지하고 일반직원과 직책자 모두 '프로'라는 단일 호칭을 쓰기로 했다. 포스코ICT 노동조합(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포스코ICT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한국지엠(GM) 사측이 쟁의권 확보에 나선 노조의 압박에도 내년 이후 인천 부평2공장에 추가로 생산 물량을 배정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부평2공장의 근로자를 창원으로 '전환배치'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는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노조원들은 구조조정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다. 16일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 등에 따르면, 한국GM 사측은 최근까지 11차례 임금협상 단체교섭을 진행하면서 부평2공장에 생산 물량을 추가로 배정해달라는 노조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앞서 노조는 생산 일정이 내년 7월까지로만 돼 있어 구조조정 우려가 제기된 부평2공장에 내년 4분기부터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를 투입하는 것을 약속해달라고 한국GM 사측에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앞선 11차 교섭에서 회사 제시안을 통해 지난해 임단협 합의 내용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만 했다. 지난해 한국GM 사측은 부평2공장에 신차 생산 물량을 배정해달라고 노조가 요구하자 '시장의 수요를 고려해 최대한 부평2공장에서 현재 생산하고 있는 차종의 생산 일정을 연장한다'고만 밝힌 바 있다. 한국GM 노조가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이어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을 하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