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비대면 수요가 급격하게 확대하면서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에 속도가 더 붙었다. 특히, 현실·가상이 결합한 '초월(meta) 세계(verse)'를 의미하는 메타버스(Metaverse)가 5G와 가상기술을 토대로 여가 생활과 경제 활동을 하는 가상 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자체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그리고 MZ 세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메타버스를 적극 활용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김포시, SNS 홍보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메타버스'로 진행 경기도 김포시는 6일 '2021 김포시 SNS 홍보 콘텐츠 공모전'의 시상식을 메타버스를 활용해 진행했다고 밝혔다. 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SK텔레콤의 메타버스 플랫폼 '이프랜드(ifland)'를 활용, 이날 온라인 시상식을 열었다. 수상자와 시상자들은 자신들의 온라인 캐릭터인 아바타를 내세워 시상식에 참석했으며 기념 촬영 등을 진행했다. 이번 공모전에는 사진과 영상작품 105점이 출품됐으며, 시는 이 중 작품성이 우수한 사진과 영상 20점을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시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
[헬로티] 스마트산단 조성에 앞서 업체, 자부담 완화·신규 산단 조성·인프라 확충 등 건의 광주지역 산단을 기능과 역할별로 재정립하고 스마트공장 확산 및 제조데이터센터를 구축해 혁신 거점화 하는 산단 대개조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사진 : 광주시 광주광역시는 일자리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가 추진한 산단 대개조 공모에 참여해 일자리창출 효과, 지자체 추진 의지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 지난 5월 최종 선정됐다. 광주 산단 대개조 사업은 거점산단인 광주첨단과학산단의 혁신자원을 활용해 자동차 전장부품, 복합금형 중심의 산업을 육성한다. 이에 하남산단은 차체, 섀시 의장, 금형산업을 집중 육성해 빛그린산단 광주글로벌모터스 완성차공장에 양질의 부품을 납품할 수 있는 ‘광주형 자동차산업 협력 벨트’를 조성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나아가 첨단산단은 스마트공장 확산 및 제조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스마트산단으로 조성하게 된다. 이같은 광주지역 산단 대개조와 관련, 일자리위원회는 11일 한국산업단지공단 광주전남본부에서 산단 대개조 사업 추진방향 논의와 기업체 애로사항 청취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이용섭 시장
[첨단 헬로티] 중국·러시아·인도·중동 등 16개국 22개 도시에 총 9차례 추진 광주광역시는 광주전남KOTRA지원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광주지역본부, 한국무역협회광주전남지역본부와 공동으로 3~10월까지 해외판로 개척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80여곳이 참여하는 해외시장개척단 파견사업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3~10월까지 중소기업 80여곳이 참여하는 해외시장개척단 파견사업을 추진한다. (사진 : 광주시청) 매년 진행되는 해외시장개척단은 해외에서 종합수출상담회를 개최하고 현지바이어와 기업별 주력상품 수출상담을 주선해 판로개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에는 중국·인도·러시아·중동 등 16개국 22개 도시에서 총 9차례에 걸쳐 파견한다. 광주시는 해외시장 개척단 참여기업에 항공료(1명) 70~50%, 상담장 임차료, 통역비, 시장조사비 등을 지원한다. 참여업체 모집은 해외시장개척단별로 매회 10개 업체를 선발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파견 전 2~3개월 전에 공고되는 안내문을 참고해 소정의 신청서를 수행(접수)기관에 접수하면 된다. 오는 22일까지 3월에 추진하는 인도시장개척단(3월8~15일
ⓒGetty images Bank [헬로티] 광주광역시가 아파트 5600세대의 기존 기계식 전력계량기를 디지털 계량기로 교체한다고 1일 밝혔다. 광주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정부3.0 사업의 일환으로 공모한 '정부지원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AMI 기반 전력서비스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지난달 20일부터 대상 아파트 선정 공모에 들어갔다. 사업 대상은 광주지역 관내 고압 수전을 받는 아파트로 300세대 이상 대규모 단지 중 15년이 지나 교체 시기가 된 기계식 전력량계다. 선정된 아파트 단지에는 주요 설비인 세대별 스마트전력량계(AMI), 태양광발전설비(5∼1㎾), 원격검침 서버(EMS)가 무상으로 설치된다. 디지털 계량기는 PC나 모바일로 요금 조회가 가능하고 누진제 적용 단계별 알람기능, EMS 서버를 통한 아파트 전세대의 일시 원격검침 기능 등이 적용되어 있어 요금절약과 관리가 용이해질 전망이다. 광주시는 올해 연말 대상 아파트를 확정한 후 내년 상반기에 사업을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용승 시 에너지산업과장은 "지능형 전력량계 인프라구축 사업은 노후 시설물을 무상 교체해 아파트 수선충당금을 절약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해 에너지 절감 효과도 얻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