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제조업 부문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지난달 29일 발표한 ‘2021년 4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제조업 부문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가 전분기(97.7) 대비 0.7p 상승한 98.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내수전망지수(103.4, 5.5p↑), 영업이익전망지수(99.5, 3.6p↑), 생산규모전망지수(106.0, 4.7p↑) 등에서도 역대 가장 높은 전망 수치가 나왔다. 자동차, 전자부품 업종이 제조업 부문 경기전망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전분기 큰 폭으로 감소한 자동차 업종 경기전망지수가 반등(108.7, 19.8p↑)하고, 전자부품 업종 경기전망지수는 6분기 연속 100 이상을 기록했다. 제조업 부문 상승에도 비제조업 부문이 전분기 대비 5.5p 하락하면서 네 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온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98.3) 대비 3.1p 감소한 95.2를 기록했다. 비제조업 부문 경기전망지수는 93.2로 건설(88.0, 10.1p↓), 부동산·임대(88.5, 9.5p↓), 출판·통신·정보서비스 (103.3, 9.2p↓) 업종에서 크게 하락하면서 네 분기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중견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중소기업 경기 전망이 4개월 만에 반등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달 17∼24일 중소기업 3천150곳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9월 업황 경기전망지수가 78.0으로 전월 대비 4.4포인트 상승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더 많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경기전망지수는 8월까지 3개월 연속 하락한 뒤 반등했다. 중기중앙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와 5차 재난지원금으로 경기가 개선되리라고 전망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코로나19가 장기화하고 있어 경기회복세가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고 덧붙였다. 제조업의 9월 경기전망지수는 83.1로 2.5포인트, 비제조업은 75.3으로 5.3포인트 상승했다. 제조업 가운데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식료품 등 15개 업종이 상승했지만 가죽·가방 및 신발, 전기장비, 가구 등 7개 업종은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이 76.9로 1.0포인트, 서비스업이 74.9포인트로 6.1포인트 상승했다. 중소기업의 주요 경영상 어려운 점(복수 응답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6월 15일부터 22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7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78.9로 전월대비 1.6p 하락했으나, 전년동월 대비 10.9p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 백신접종과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에도 최근 확진자수가 큰 편차를 보이는 등 여전히 불안정 상태에 있고, 원자재 가격급등과 해운․물류난 등이 지속되고 있어 지난달에 이어 체감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업의 7월 경기전망은 85.5로 전월대비 0.7p 하락 (전년동월대비 17.8p 상승)했고 비제조업은 75.5로 전월대비 2.0p 하락(전년동월대비 7.4p 상승)했다. 건설업(78.9)은 전월대비 2.3p 하락했으며 서비스업(74.8)은 전월대비 2.0p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는 '가구'(63.7→72.8), '식료품'(86.1→92.3), '기타제품'(84.6→90.8) 등을 중심으로 9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의료용물질및의약품'(116.4→98.3), '전자부품, 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102.3→88.2) 등 13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헬로티]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지난 5월 17일부터 25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6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80.5로 전월대비 3.2p 하락했으나, 전년동월 대비 17.4p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의 3차 대유행 등으로 업황둔화를 예측한 2021년 1월(65.0)이후 정부의 ‘재난지원금’ 지원 및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등으로 4개월 연속 상승세(2월(69.3)→3월(76.2)→4월(80.5)→5월(83.7))를 이어갔지만, 원자재 가격 급등과 해운·물류차질 등으로 체감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의 6월 경기전망은 86.2로 전월대비 2.6p 하락 (전년동월대비 21.8p 상승)했고 비제조업은 77.5로 전월대비 3.5p 하락(전년동월대비 15.1p 상승)했다. 건설업(81.2)은 전월대비 3.0p 하락했으며 서비스업(76.8)은 전월대비 3.6p 하락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는 ‘의료용물질및의약품’(107.6→116.4), ‘인쇄및기록매체복제업’(65.4→71.9),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96.1→102.3) 등을 중심
[헬로티]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천 2백여 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분기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직전 분기보다 24p 상승한 99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최근 대한상의 BSI 추이(출처 : 대한상의) 이는 2014년 3분기(103) 이래 6년 3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경기전망지수는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의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 이하이면 그 반대다.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따른 수출 증가와 2월말 시작된 국내 백신 접종이 경기회복 기대감을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코로나 재유행 가능성과 환율 변동성, 금리 발작 가능성에 대한 불안심리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는 "주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및 전세계 백신접종 확대에 힘입어 최근 3개월(’20.12~’21.2) 동안의 수출이 전년대비 11.1% 증가하는 등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며 "이에 더해 최근 국내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내수 회복에 대한 기대심리도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수출과 내수부문의 체감경기는
[첨단 헬로티] ’20. 2월 경기전망지수 81.2 전월비 0.1p 하락·전년동월비 4.9p 상승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가 지난 1월 15일부터 22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2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SBHI, Small Business Health Index, 중소기업건강도지수)는 응답내용을 5점 척도로 세분화 하고 각 빈도에 가중치를 곱해 산출한 지수로,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음을 나타내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뜻함)는 지난 1월보다 0.1p 떨어진 81.2로,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는 경기부진과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불안 심리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전년동월대비 4.9p 상승 등 2개월 연속 전년보다 상승해 경기하락 추세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2월 경기전망에 따르면, 전월에 비해 제조업(82.9)은 0.9p 올랐으나, 비제조업(80.3)은 0.6p 하락했다. 건설업은 81.4로 전월대비 1.4p 상승한 반면, 서비스업
[첨단 헬로티] 기업 73% “한국경제는 중장기 하향세”… 대한상의 4분기 제조업 기업경기전망지수(BSI) ‘75’ 김문태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1~9월 전체 수출은 전년 대비 4.7% 증가했지만, 반도체를 제외하면 1.7% 감소하는 등 경제·산업 전반의 성장 역량이 약화되어 있다”며 “주력산업의 경쟁력 강화, 규제혁파를 통한 신산업 육성 등 중장기적 추세를 반전시킬 만한 근본적 처방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4분기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 전망이 더 나빠졌다. 내수부진과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대로 수출·내수기업들의 경기전망이 동반 하락한 가운데, 업종별로는 화장품·의료정밀 등 한류산업과 자동차부품, 기계, 철강 등 기존 주력산업의 명암이 엇갈렸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최근 전국 2천 2백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4분기 제조업체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3분기보다 12포인트 하락한 7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ld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