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이 2일 오후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 대회의실에서 갤럭시 노트 7 관련 품질 분석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16.9.2/뉴스1 © News1 최현규 기자 삼성전자가 사태 발생 넉달여만에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을 발표한다. 제품 소손 원인으로는 배터리 제조과정의 결함을 지목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사장은 23일 오전 10시 서울 삼성 서초사옥에서 '갤럭시노트7' 소손 관련 원인 및 품질관리 대책을 발표한다. ◇ 갤노트7 사태 계기로 차세대 전지 개발 속도내 갤노트7 사태의 주요 원인이 삼성SDI가 만든 리튬이온전지의 결함으로 지목되면서 폭발 위험이 낮은 차세대 전지인 '전고체전지' 개발도 빨라질 전망이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 음극, 분리막,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소재 중 하나인 전해질이 액체 상태라 폭발위험이 상존한다. 이때문에 삼성SDI 등 전지업체들이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액체를 고체로 대체한 '전고체전지'다. 전고체전지란 쉽게 말해 고체 리튬이온배터리다. 액체는 일정한 틀 안에 두지 않으면 흩어지고 고정되지 않는 반면, 전해질이 고체가 되면 안전성이 높아져 열에
[사진=삼성전자] [헬로티] 삼성전자는 23일 서초사옥에서 국내외 언론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을 공개하고,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배터리 결함이 갤노트7 발화의 원인이었다. 삼성전자는 제품 20만대, 배터리 3만 개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소손 현상을 재현했고 노트 7에 채용된 A배터리와 B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분석에 참가한 해외 전문기관들 분석 결과도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모아졌다. 글로벌 과학회사 UL은 갤럭시 노트 7 소손 원인 규명을 위한 상세한 기술적 분석을 진행했다. UL은 제품 레벨에서 노트7 소손과 연관된 문제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A배터리는 배터리 위쪽 코너에 눌림 현상과 얇은 분리막으로 배터리 내부 단락을 발생시켜 소손 유발 요인으로 분석했고, B배터리에 대해서는 비정상 융착돌기, 절연테이프 미부착, 얇은 분리막의 조합이 배터리 내부에서 단락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 과학기술 분야 분석 전문 기관 Exponent도 제품 전반에 걸친 상세한 분석을 진행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석에서는 소손과 관련 있는
▲ SK텔레콤 2016년 3분기 매출실적 [사진=SK텔레콤] [헬로티] SK텔레콤이 2016년 3분기 매출 4조 2438억 원, 영업이익 4243억 원, 순이익 3221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매출은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SK플래닛이 전 분기 대비 상승했으나, 갤럭시노트7 영향으로 자회사 PS&M의 매출이 하락하면서 전 분기 대비 0.6% 감소한 4조 2438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SK브로드밴드·SK플래닛 등 자회사 영업 실적 개선으로 전 분기 대비 4.2% 증가한 4243억 원을 기록했으며, EBITDA는 전 분기 대비 2.5% 증가한 1조 1886억 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 지분법 이익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10.7% 증가한 3221억 원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은 지난 3분기 SK텔레콤의 플랫폼 사업 개방 전략이 주목할만한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타사 고객에게도 무료 개방했던 ‘T맵’과 ‘T전화’의 이용률이 크게 상승했다. 특히, T맵은 9월 말 기준 918만 명이 이용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SK텔레콤은 T맵을 통해 수
▲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사진=삼성전자] [헬로티] 갤럭시 노트7의 리콜 계획에서 배터리 안정성 확인과 소비자 선택권 보호 등이 강화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2일 제품안전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삼성전자가 제출한 갤럭시 노트7의 ‘제품 수거 등의 계획서’를 일부 보완해 공식 승인했다. 당초 자발적 리콜 계획은 9월 2일부터 판매를 중지하고, 9월 19일까지 환불 또는 9월 19일부터 내년 3월 31일까지 양품배터리를 장착한 개선 제품으로 교환한다는 계획이었다. 이번 제품안전자문위원회에서 보완된 계획서에는 갤럭시 노트7의 배터리 안정성 확인 강화를 위한 X-Ray 전수 검사와 핵심 품질 인자 전수 검사 등을 실시한다는 내용이 추가됐다. 또한, 소비자 선택권을 보호하기 위해 환불 기한을 9월 말까지 연장하기를 권고했고, 전 고객을 대상으로 리콜 계획을 알리는 개별 문자를 발송하며, 충전 시 교환을 권유하는 팝업을 노출시켜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표원은 갤럭시 노트7 사용자는 최대한 신속하게 삼성전자 제품 회수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당부하면서 삼성전자 측에는 “앞으로 리콜 이행도 성실히 해 모범적인 자발적 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