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정부는 지난 12월 10일(목) 국무총리 주재 제119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가상융합경제 선도국가 실현을 위한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번 발표의 추진 배경은? 코로나19로 비대면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포괄하는 가상융합기술(XR)이 우리 일상의 변화와 산업구조의 혁신을 이끌며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 중이다. 가상융합기술은 현실과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매개기술로 디지털 전환을 촉발하는 한국판 뉴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제조·의료·교육·유통 등 다양한 분야로 가상융합기술이 확산돼 2025년 전 세계 약 520조 원(4764억 달러) 규모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가상융합기술은 데이터(D)·네트워크(N)·인공지능(A) 등 디지털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정밀하고,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이동성이 극대화된 지능적 가상융합기술 서비스가 가능해져 산업전반으로의 활용 확산이 기대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세계 최고수
[헬로티] 정부는 현실을 넘어 가상까지 확장하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열기 위한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10일 발표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포괄하는 가상융합기술(XR)이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 중이다. 가상융합기술은 현실과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매개기술로 디지털 전환을 촉발하는 한국판 뉴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디지털기술과 접목을 통해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해져 산업 전반으로 활용을 예상한다. 정부는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를 발판으로 경제사회 전반에 가상융합기술 활용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3대 세부 전략과 12대 과제를 발표했다. 2025년까지 ▲가상융합경제 경제적 파급효과 30조 원 달성 ▲세계 5대 가상융합경제 선도국 진입을 목표로 삼았다. 추진전략 첫 번째로 경제사회 전반의 가상융합기술 활용을 확산해 기반을 만든다. 두 번째 선도형 가상융합기술 인프라를 확충하고 제도 정비를 통해 핵심 기술 개발과 보급을 가속한다. 세 번째, 가상융합기술 기업이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지원한다. 기술확보와 인적 자원을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