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전자기술 기자 | LG디스플레이 정호영 사장은 3일 국내외 임직원에게 전한 2022년 신년사에서 “고객가치 기반으로 삶의 혁신과 LG디스플레이의 재도약을 이뤄 가자”고 강조했다. 정호영 사장은 신년사에서 지난해는 우리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회복한 해였다며,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준 구성원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어 올해 사업환경은 기회와 위협이 공존하는 모습이 될 것이라며, 융복합 제품으로의 혁신과 새로운 산업 분야로의 확장이 디스플레이 산업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게 될 것으로 보이며, 시장경쟁 심화와 전 세계적인 공급망 문제는 여전히 숙제라고 전망했다. 기존 3개 사업부 체제를 대형과 중소형 양대 축으로 재편한 것과 관련해 사업환경 변화에 유연하고 기민하게 대응하며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미래사업 기회의 선점에 보다 효과적인 운영체제가 확립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 사장은 이를 기반으로 올 한해 함께 실천해야 할 5대 핵심과제로 고객가치혁신 체질화, 새로운 시장 창출, 근본 경쟁력과 핵심역량 강화, 창의적이고 스마트한 LGD만의 문화 정착 등을 제시했다. 급변하는 사업환경에서도 변하지 않는 핵심 원칙은 모든 경영활동의 출발점이자 귀결점은
[헬로티] PTC는 후지쯔 아메리카와 사물인터넷(IoT) 및 증강현실(AR) 기술 강화를 위한 협력을 확대하고 프레임워크를 통합했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후지쯔는 시스템 통합업체로서 자사의 스마트팩토리 프레임워크에 PTC의 산업용 IoT 플랫폼 씽웍스(ThingWorx) 및 증강현실 플랫폼 뷰포리아(Vuforia)를 통합해 제조 고객들이 기술 격차를 낮추고, 거시 경제 흐름에서 오는 비용 압박을 줄여준다. 후지쯔 스마트 팩토리 프레임워크는 씽웍스(ThingWorx)와 결합되어 공장의 작업 현장 효율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덧붙여 고객이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이루고 정체된 자산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전했다. 여기에 뷰포리아 증강 현실(Vuforia AR) 플랫폼을 더해 후지쯔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을 사용하는 고객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정확히 업무를 보는 데 필요한 핵심 정보들을 확보한다. 일선 작업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서로 다른 각 분야에서 탄력성과 민첩성을 높일 수 있다고 후지쯔는 밝혔다. 폴 브레스나한(Paul Bresnahan) 후지쯔 아메리카(Fujitsu America, Inc.) 제조 부문장은 "PTC와의 협력으로 갈수록 어려워
[헬로티]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최근 열린 2021년 투자자 회의에서 고객들이 반도체 PPACt(전력∙성능∙공간∙비용∙시장출시기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 서비스와 부품 분야 매출의 70%를 장기 계약을 통해 발생시킨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출처 :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어플라이드는 자사의 장기 전략을 진행함에 있어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하는 5대 변곡점과 혁신을 위한 필요성을 설명했다. 5대 변곡점은 ▲거시적으로 글로벌 경제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다. ▲컴퓨팅의 경우, AI 작업량은 전혀 새로운 유형의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아키텍처를 요구한다. ▲반도체 제조에서 전통적인 무어의 2D 스케일링 법칙이 약화됨에 따라 반도체 및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PPACt에 대한 새로운 플레이북이 필요하다. ▲지속 가능하고 공정한 방식으로 산업을 성장시켜야 한다. ▲고객은 좋은 제품뿐 아니라 더 나은 서비스를 추구하며, 그 결과 장기 계약형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되고 있다. 개리 디커슨(Gary Dickerson)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회장 겸 CEO는 &ldq
[헬로티=서재창 기자] 케이클럽이 지난 25일(목)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K-글로벌 융합혁신기술 강소기업 MC 기술 교류회(이하 교류회)'를 개최했다. ▲김정숙 케이클럽 신임회장이 환영인사를 전하고 있다. 케이클럽은 경쟁력 있는 자체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 패밀리 기업으로 지정하고 밀착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3년, 14개 패밀리기업으로 구성됐던 케이클럽은 올해 1월 19일 사단법인 출범을 알리며, 조직을 체계화하고 중소기업 지원 규모를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케이클럽은 95개 우수 중소·중견기업을 회원사로 보유하고 있다. 교류회에는 케이클럽 회장단 및 임원을 비롯해 KIST 혁신기업사업화센터 전문위원 및 관계자, K-글로벌 혁신기술 강소기업 MC 운영위원회, 8기·9기 회원사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김정숙 신임회장은 환영 인사에서 "어려운 시기에 자리를 함께 해주신 8기·9기 회원사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앞으로 케이클럽은 KIST의 신기술을 사업화해 회원 기업의 역량을 높이고, R&D를 강화시켜 혁신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육성해갈 것"이라고
[헬로티] 미 동부시간 12일 온라인으로 CES 2021 ‘LG 미래기술대담’ 진행 LG전자 CTO(최고기술책임자) 박일평 사장이 미 동부시간으로 12일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1’에서 ‘함께 만드는 혁신(ONwards, Together)’을 주제로 ‘LG 미래기술대담(LG Future Talk)’을 진행했다. ▲‘LG 미래기술대담(LG Future Talk)’에 참여한 박일평 사장 이 행사는 100%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CES 2021’에 맞춰 LG전자 온라인 전시 홈페이지와 CES 공식 홈페이지에서 중계됐다. 이번 행사에는 게리 샤피로(Gary Shapiro) CTA(미국소비자기술협회,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CEO, 데이비드 래비(David Rabie) 토발라 CEO, 장 프랑스와 가녜(Jean-François Gagné) 엘레멘트 AI CEO, 드미트리 로스치닌(Dmitry Loschinin) 룩소프트(Luxoft) CEO 등이 패
[첨단 헬로티] 세스 레이빈 CEO, '국내 기업 CIO가 ERP 로드맵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 세계적인 기업용 소프트웨어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업체이자 오라클(Oracle) 및 SAP 제품의 프리미엄 지원을 제공하는 선도적 기업인 리미니스트리트는 국내 기업이 변화하는 IT 미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을 방한한 리미니스트리트 세스 레이빈(Seth A. Ravin) CEO는 "한국 기업들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IT 운영 비용을 줄이고, IT 예산을 혁신, 경쟁 우위, 성장에만 집중 투자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리미니 스트리트 세스 레이빈(Seth A. Ravin) CEO와 김형욱 지사장 그는 "자사의 탁월한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지원 모델에 대한 한국 시장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아시아 경제대국 4위 국가이자, 세계 11위 국가로 큰 경제규모를 자랑하는 만큼 리미니스트리트에 많은 시장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라며, "자사의 지원 모델은 전세계적으로 약 180조 원에 달하는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리미니스트리트는 3자 유지보수의 선도
[첨단 헬로티] 전세계 비즈니스 공동체와 사회 내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고 영향을 미치는 기업으로 인정받아 에너지 효율 혁신을 주도하는 온세미컨덕터가 세계적인 기업윤리 연구소 에티스피어 재단(Ethisphere Institute)이 선정한 '2019년 세계에서 가장 윤리적인 기업(World's Most Ethical Companies 2019)'에 이름을 올렸다고 밝혔다. 온세미컨덕터 CEO 키이스 잭슨(Keith Jackson)은 "윤리는 온세미컨덕터를 관통하는 핵심 가치로, 모든 직원들이 윤리에 대한 논의와 관련 경험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는 권장되는 문화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수상은 윤리 및 규정 준수에 대한 문화를 유지해 고객과 파트너들로부터 정직함 및 공정함에 대한 신뢰를 얻은 우리 직원들의 헌신에서 비롯됐다. 온세미컨덕터는 윤리적 관행과 존중·청렴·자주성이라는 핵심 가치를 준수하며 반도체 업계에서 차별화 이뤄냈다"라고 말했다. 2019년에는 21개 국 50개 산업 분야에 걸쳐 128개 기업이 선정됐다. 올해로 13번째 수상자가 된 기업들은 지역사회를 개선하고, 유능하고 자격을 갖춘 인력을 구축하며, 윤리 및 강
[첨단 헬로티] 미국소비자기술협회(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 CTA)가 'CES 2019'에서 진행된 기조연설에서 세계 61개국 중 혁신 환경이 가장 우수한 16개국을 발표했다. CTA가 공개한 '2019 국제 혁신 스코어보드(2019 International Innovation Scorecard)'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독일, 이스라엘,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등 16개국이 '2019 혁신 챔피언(Innovation Champion)'에 이름을 올렸다. 기조연설과 함께 진행된 시상식에는 게리 샤피로(Gary Shapiro) CTA 사장 겸 최고경영자가 참석한 가운데 모나 케이저(Mona Keijzer) 네덜란드 경제 및 기후정책 국무부 장관, 리암 폭스(Liam Fox) 영국 국제통상부 장관, 마일리스 렙스(Mailis Reps) 에스토니아 교육 및 연구부 장관이 국가를 대표해 혁신 챔피언상을 받았다. 샤피로 최고경영자는 "혁신 챔피언에 오른 16개국은 전 세계에서 혁신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기술과 정책 면에서 ‘와해
[첨단 헬로티] 지역경제위원회 공동 개최, 약 1조원 투입하는 2019년 지역산업 지원계획 확정 지난 12월 27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지역경제위원회를 공동 개최, 총 9,776억 원(국비 6,392, 지방비 3,384)을 투입하는 '2019년 지역산업진흥계획 및 지역사업추진계획'을 의결했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공동 개최하는 이번 지역경제위원회는 중기부 김학도 차관, 산업부 안성일 지역경제정책관, 비수도권 14개 시‧도 경제담당 부단체장 등 60여명이 참석해 주력산업 침체에 따른 지역경제 활력을 뒷받침한다. 또한, 지역주도의 혁신 성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지원계획을 확정하고, 향후 중앙과 지역 간 유기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지역 중소기업 대상 2019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통해 시·도 주력산업 육성, 시·군·구 연고산업 육성, 지역기업 혁신성장 지원 등 5개 사업에 총 2,538억 원(국비 1,839, 지방비 699)을 투입한다. 특히, 지역경제 현황과 지역 산업 및 기업의 형편을 고려해 지역 주력산업별로 차별화된 대상기업군 육성 지원 전략을 제시했고, 지역기업 경
[첨단 헬로티] R&D 및 글로벌 비즈니스 감각 갖춘 전문가를 대표로 선임하는 등 새롭게 조직개편 지난 17일, 글로벌 컨슈머 노트북 시장 Top 3 브랜드이자 게이밍 노트북 시장 1위 브랜드인 ASUS는 시유셴유예(S.Y. Hsu), 후슈빈(Samson Hu) 신임 공동 대표가 창립 30주년을 맞아 내년도 사업을 위한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최근 새롭게 선임된 시유셴유예(S.Y. Hsu, 53) 대표는 지난 25년간 R&D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온 엔지니어 출신의 IT전문가로, ASUS 대만 본사의 퍼스널 컴퓨터 사업부 총괄 책임자로 활동했다. 후슈빈(Samson Hu, 55) 대표는 ASUS 글로벌 고객 서비스 본부 총괄 책임자로 지냈으며, 지난 18년 동안 ASUS의 서비스 개선 및 발전에 큰 공로를 세웠다. 이전 대표였던 Jerry Shen은 ASUS의 새로운 사업부의 대표를 맡아 활동할 계획이다. 향후 두 공동 대표는 R&D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풍부한 글로벌 비즈니스 감각을 토대로 ASUS를 'AIoT (AI+IoT) 산업 리더'로 성장시켜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를 결합한 지능형 사물인터넷
▲실리콘랩스의 타이슨 터틀 CEO가 2018 ASPENCORE 올해의 경영자 상을 수상했다. [첨단 헬로티] 실리콘랩스의 사물인터넷(IoT) SoC도 '올해의 무선 제품'으로 선정 실리콘랩스(Silicon Labs, 지사장 백운달)는 자사의 타이슨 터틀(Tyson Tuttle) CEO가 11월 8일 중국 선전(深圳)에서 개최된 2018 ASPENCORE WEAA(World Electronics Achievement Award)에서 '올해의 경영자(Executive of the Year)' 상을 수상했다고 발표했다. 프리미어 전자 산업계 미디어 네트워크인 ASPENCORE는 ASPENCORE 제1회 글로벌 CEO 서밋 행사에서 이번 WEAA 시상식을 진행했으며, 이 행사에서 터틀 CEO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 플랫폼과 업계 협업이 사물인터넷(IoT)을 어떻게 발전시키는가'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맡았다. 실리콘랩스의 EFR32 무선 게코(Wireless Gecko) 역시 RF·무선·마이크로파 부문의 WEAA 올해의 제품(Product of the Year)수상작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무선 게코 디바이
▲버지니아 양(Virginia Yang) 이사가 페이스북 iD8 코리아 행사에서 ‘함께 만드는 혁신’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첨단 헬로티] 개발자 생태계 육성을 위한 기술 및 정보 공유 행사, 아시아에서는 싱가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려 2018년 10월 25일, 서울 – 페이스북은 논현동SJ 쿤스트할레에서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의 최신기술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iD8 코리아(iD8 Korea from Facebook)’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개발자들이 페이스북 전문가들과 직접 만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사용자 경험과 몰입을 강화하는 첨단 기술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공유함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개발자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시아에서는 지난 10월22일 싱가포르에서 처음 열렸으며, 오늘 서울에 이어 29일 타이페이에서 연달아 진행된다. 국내 250여 명의 개발자들이 참석하는 이번 iD8코리아는 페이스북의 전문가 및 개발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와 더불어 혁신 기술 시연과 패널 세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VR, AR, 메신저
[첨단 헬로티] 한국에너지공단이 6월 29일, ‘공공기관 혁신가이드 라인’에 따라 국민시각의 혁신 방향을 반영하기 위한 ‘KEA 시민참여혁신단’을 발족했다. 이날 킥오프 미팅을 가진 KEA 시민참여혁신단은 시민단체, 에너지업계, 학계 등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일반시민 총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시민참여혁신단은 공단이 국민을 위한 진정한 혁신을 추진할 수 있도록 혁신계획의 수립‧추진 등 모든 혁신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특히 이들은 공공기관 3대 혁신방향인 ▲고유업무의 공공성 제고 ▲소득주도·일자리 중심 경제 선도 ▲공정경제 기반 구축 등에 부합하는 총 7개 영역의 혁신과제 추진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중요 의사결정에 참여할 예정이다. 한국에너지공단 이상홍 이사장 직무대행은 “공단은 ‘국민 곁에 KEA’라는 새 혁신 슬로건 아래에 국민의 입장과 시각을 적극 반영한 혁신을 가속화 했다“ 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혁신을 추진하여 공공기관의 본연의 임무인 공공성 강화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앞장서는 기관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
[헬로티] 자동차 혁신에서 반도체가 갖는 중량감이 점점 커지는 상황을 보여주듯, 자동차와 반도체 업체간 동맹이 점점 확산되는 양상이다. 최근에는 세계 최대 자동차 회사인 폭스바겐이 반도체 업체인 업체인 인피니언과 자동차 혁신을 위해 손을 잡았다. 인피니언은 폭스바겐이 처음으로 영입하는 전략적 반도체 파트너다. 차세대 기술 개발과 관련해 반도체 업체들과 직접 협력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요즘 자동차에선 운전자 지원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에어컨, 어댑티드 주행 통제 등 100개 이상의 전자 통제 장비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혁신의 많은 부분이 반도체 기술의 진화에 맞물려 있는 셈이다. 폭스바겐은 "가상 프로토타이핑 시스템과 같은 차세대 공동 개발 도구들은 자동차 시스템의 복잡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개발 시간 단축을 가능케 할 것이다"고 기대했다. 폭스바겐 자회사인 아우디는 이미 반도체 업체들과 광범위한 협력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인피니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엔비디아 등을 포함하고 있다. 폭스바겐은 아우디와 유사한 프로그램을 통해 계열 회사들에게 혁신 기술과 모듈화된 플래폼을 제공하는 결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폭스바겐은 전자 이동성, 연결
[헬로티] 삼성전자가10나노 핀펫(FinFET) 공정을 기반으로, 고성능 LTE 모뎀을 통합한 프리미엄 모바일 AP '엑시노스 9 (8895)'를 양산한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제품은 2016년 10월 삼성전자가 양산에 성공한 10나노 핀펫 공정을 적용한 제품으로, 기존 14나노 공정대비 성능은 27% 향상되고 소비전력은 40% 절감됐다. '엑시노스 9 (8895)'는 5CA(Carrier Aggregation) 기술을 기반으로 기가bps(bit per second)급 통신속도를 지원하는 모뎀을 내장했다. 다운로드 할 때 최대 1Gbps(Cat.16)를 5CA로, 업로드 할 때는 최대 150Mbps(Cat.13)를 2CA로 지원해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 CA는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어 광대역폭을 실현하는 기술로 2CA는 2개 주파수 대역, 5CA는 5개 주파수 대역을 묶는다. 삼성전자는 설계 최적화를 통한 성능과 전력효율 향상을 위해 독자개발한 2세대 64비트 중앙처리장치(CPU)를 엑시노스9에 적용하고 ARM사 Mali-G71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탑재해 모바일 기기에서 UHD화질의 VR영상과 게임 등 고사양 콘텐츠들이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