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글로벌 Top Tier 친환경차 부품사’로 도약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일 이사회를 열고 북미 지역 구동모터코아 생산의 현지화를 위한 멕시코 생산법인 설립 투자에 대한 안건을 의결했다고 21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80%를, 100% 자회사인 포스코SPS가 20%를 지분 투자한다. 멕시코에 친환경차 구동모터코아 생산법인을 설립하며 북미 시장 선점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번 이사회에서 승인된 투자비는 약 520억 원으로, 2030년까지 총 1,620억 원을 투자해 구동모터코아 전초기지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법인은 내년 6월 공장 착공에 들어가 2023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초기 생산 규모는 연 30만 대로 2030년까지 150만 대로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기차 최대 시장인 북미 지역을 공략하고, 미국 정부의 친환경 모빌리티 정책에 전략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 미국은 2030년까지 자국에서 판매할 신차의 50%를 친환경 전기차로 대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 미국 정부가 신북미자유무역협정과 '바이 아메리칸' 서명 등으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전기차 회사인 리비안과 세 번째로 전기차 부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공급하는 제품은 약 9만대 분량의 명천공업산 아웃풋샤프트로, 600만 달러(한화로 약 71억 원) 규모다. 지난해 8월 이래 AMS산 하프샤프트 최초 공급건과 올해 9월 1450억 원 규모의 수주에 이어 세 번째 리비안향 부품 수주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베트남 전기차 스타트업 빈패스트에 이래 AMS의 하프샤프트 640억, 올해 6월 성림첨단산업의 구동모터용 영구자석 1290억을 각각 수주한 바 있다. 올해 상반기 북미지역 스타트업과 맺은 525억 원 전기차 부품 계약과 금번 리비안 수주까지 포함하면 수주 금액이 2년에 걸쳐 약 4000억 원에 이른다. 리비안은 최근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가장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신생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테슬라가 세단 등 주로 승용차에 집중하는데 비해 리비안은 픽업트럭과 SUV를 초기 주력 모델로 앞세우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공급하는 아웃풋샤프트는 전기차 구동축의 핵심 부품으로 구동모터의 동력을 양쪽 휠에 전달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품을 생산한 명천공업은 198
헬로티 서재창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3일인 오늘 이래AMS와 함께 미국 리비안으로부터 전기차 부품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리비안은 최근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가파르게 성장하는 신생 전기차 스타트업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공급하는 물량은 전기차 34만 대 분량의 하프샤프트로 약 1450억 원 규모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해 8월 리비안과 처음 계약한 2만 대 분량을 포함해 총 36만 대분의 하프샤프트를 세부 조정과 테스트 등을 거쳐 내년 중 공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하프샤프트는 배터리전기차(BEV) 차량에서 구동축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다. 구동축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감속기를 거쳐 양쪽 타이어에 전달해주는 기능을 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함께 수주한 이래AMS는 차량의 구동·제동·조향 등 부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부품사로, 국내 완성차 업체는 물론 미국·독일·프랑스 등 세계 유수 자동차 회사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이번 공급을 계기로 향후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에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며 "현지화나 투자 등의 절차로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건 외에도 리비안의 신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은 1일, 동남아시아 최대 국영 석유회사인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와 말레이반도 동부 천해 PM524 광구 생산물분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천연가스 시장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의 각축전을 뚫고, 천연가스 부존 가능성이 높은 말레이시아 해상 광구 탐사운영권을 획득하며 미얀마에 집중돼 있던 에너지 사업 지도를 넓혔다고 전했다. 이는 글로벌 경쟁사들을 제치고 E&P 사업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쾌거로서 미얀마에 이어 제2의 자원개발 신화에 도전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행사는 주시보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아디프 줄키플리 페트로나스 상류부문 사장, 하스리자 오쓰만 페트로나스 차리갈리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 8월 국제 입찰로 PM524 광구 탐사권 낙찰사로 선정된 이후, 말레이시아 정부 및 페트로나스 차리갈리와 생산물분배계약 세부조건에 대한 조율을 거쳐 생산물분배계약을 체결했다. 운영권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지분 80%를, 페트로나스 차리갈리가 지분 20%를 보유하게 된다. 생산물분배계약은 탐사 성공 시 생산되는 원유와 가스 일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래산업 분야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자상한 기업으로 나선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14일 포스코인터내셔널,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과 함께 ‘중소·벤처기업 해외 경쟁력 및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중기부가 ESG·한국판뉴딜·탄소중립 등 사전에 선정된 중점 분야와 관련된 기업과 협약을 체결하는 ‘자상한기업 2.0’의 여덟 번째 협약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철강, 에너지, 식량 등의 종합사업회사로, 그간 길러온 해외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시장 개척 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상사업계 최초로 ESG 채권을 발행하는 등 적극적인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어 ‘자상한기업 2.0’에 선정됐다. 중소·벤처기업의 해외 경쟁력 강화를 지원 53개국에 걸쳐 86개의 해외 거점을 보유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중소벤처기업이 원활하게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바이어 중개, 지사 설립, 수출상담회 개최, 해외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의 ESG 역량 강화를 지원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 세계 고객사와 수십 년간 협업한 경험을 바탕으로
[헬로티] 독일 RWE사로부터 탄소중립 LNG 1카로 도입…탄소 35천 톤 감축 효과 ▲지난 19일 광양제철소 LNG 터미널에서 RWE社로부터 도입한 ‘탄소중립 LNG’가 하역되고 있는 모습. (출처 : 포스코) 포스코가 1카로(64천 톤) 규모의 ‘탄소중립 LNG’를 도입했다. 포스코가 이번에 도입한 1카로의 탄소중립 LNG는 생산·공급과정에서 발생한 약 35천 톤의 이산화탄소를 상쇄시킨 규모로, 35천 톤은 30년생 소나무 530만 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탄소량과 같으며 연간 승용차 15천여 대에서 배출하는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 것과 같은 양이다. 탄소중립 LNG란 천연가스를 개발·생산해 사용자에게 공급하기까지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조림산업, 신재생에너지 사업, 보호 지역 보전활동 등을 통해 얻은 탄소크레딧(탄소감축분)으로 상쇄시켜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든 그린 가스를 의미한다. LNG는 에너지원으로 활용 시 온실가스 배출량이 석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적고 미세먼지 배출량이 10% 수준에 지나지 않아 석탄을 대체하는 친환경 에너지로 꼽힌다.
[첨단 헬로티]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하 중진공)과 ㈜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이사 주시보)은 지난 27일(월) 오후 서울 목동에 소재한 중진공 서울인천권경영지원처 대회의실에서 중소벤처기업의 해외진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정진우 중진공 글로벌성장본부장, 도철호 포스코인터내셔널 신성장사업실장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으며, 협약식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간소화해 진행됐다. 중진공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국제전시회 공동 참가, 해외진출 세미나 실시, 정보교류 및 사업연계 등을 함께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중진공이 주관하는 해외진출설명회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보유한 노하우를 공유하고, 국제전시회에 공동 참가 하는 등 중소기업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상호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유망 중소기업의 글로벌 기업화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공공기관인 중진공과 해외시장 진출 경험과 네트워크가 풍부한 민간기업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함께하는 민관협력의 대표 사례다.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수출경기가 위축되는 상황에서 해외진출을 희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