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파익스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PC기반 모션제어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파익스가 이번에 선보인 PC기반 모션제어기 NMF는 파익스에서 개발한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품이다. NMF는 이더넷(TCP/IP)기반으로 LAN 칩셋이 설치된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 NMC2E는 이더넷(TCP/IP)기반 펄스 제어형 모션제어기다. 이더넷 케이블 사용으로 장비 내부의 배선 정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잉 비전 카메라에 필요한 위치 트리거 기능 및 웨이퍼 매핑 센서 신호 입력에 의한 위치 데이터 저장 제어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제품 라인업에 따라 축 및 IO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 NMC2E 제품에는 이더넷 허브 기능이 갖춰져 있어 대량의 AXIS 설치에 적합하다. 파익스 정만교 부장은 “코로나19로 전시회가 위축됐을까 걱정했었던 것은 사실이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파익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PC기반 모션제어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파익스가 이번에 선보인 PC기반 모션제어기 NMF는 파익스에서 개발한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 입력과 출력을 제어하는 제품이다. NMF는 이더넷(TCP/IP)기반으로 LAN 칩셋이 설치된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 NMC2E는 이더넷(TCP/IP)기반 펄스 제어형 모션제어기다. 이더넷 케이블 사용으로 장비 내부의 배선 정리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라잉 비전 카메라에 필요한 위치 트리거 기능 및 웨이퍼 매핑 센서 신호 입력에 의한 위치 데이터 저장 제어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제품 라인업에 따라 축 및 IO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 NMC2E 제품에는 이더넷 허브 기능이 갖춰져 있어 대량의 AXIS 설치에 적합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2004년에 설립된 파익스는 자동화 핵심 솔루션인 PC 기반 모션컨트롤러 개발에 성공해 LCD, LED, 반도체, 휴대폰 검사/제조 관련 자동화 장비를 제작하는 주요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특정 모션컨트롤러와 같이 폐쇄된 네트워크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상용 이더넷을 통한 모터제어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원천 제어 기술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파익스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7에 참가해 LAN 케이블 Daisy Chain 연결로 무제한 축 확장을 제공하는 NMC2 모션컨트롤러를 출품했다. 이 제품은 2개의 RJ45 이더넷 포트가 내장되어 있어 컨트롤러와 컨트롤러 사이의 Daisy Chain 연결이 가능하다. 1대의 컨트롤 PC만으로 최대 255개의 펄스 제어형 서보 모터 또는 스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파익스의 NMC2 모션컨트롤러는 자동 웨이퍼 매핑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서보 모터 또한 엔코더가 장착된 스텝 모터로 매핑 센서 위치를 제어해 웨이퍼 카세트에 삽입된 웨이퍼의 위치 및 유무상태, 틀어짐, 겹침, 두께 등을 엔코더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웨이퍼 상태를 수치화한다. 그리고 수치화된 웨이퍼의 상태는 사용자 프로그래밍에 따
[헬로티] “모션제어 확판을 필두로 신시장 전개 위해 관련 정보 및 기술 습득에 주력하겠다.” 파익스 김영호 대표는 지난 12년간 모션제어와 2상 마이크로 스텝 드라이버를 개발·제조하며 준비된 제품을 시장에 알리는 데 최우선 과제를 두었다. 그리고 이제는 이더넷 모션제어 확판을 필두로 자동차, VR 등 새로운 시장 분야에 영업력을 강화하고 있다. 모션제어와 관련된 유통사업을 병행하며 고객에게 ‘One-Stop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는 김영호 대표를 만나 모션제어 시장 전망과 영업 전략을 들어봤다. Q. 2017년 국내 모션컨트롤 시장 이슈와 전망은 A. 2016년에 이어서 OLED 자동화 설비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커넥티드카의 국내 본격 보급에 따른 신사업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본격 개발을 시작으로 관련 새로운 기술 개발을 요구하게 될 것이고 추가로 자동화 장비 부품의 국산화 바람도 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과 연계한 산업용 드론 및 소셜로봇의 시장 개화로 인해 자동화 부품(센서, 모터)의 고성능 소형화가 필요하게 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
2004년에 설립된 파익스는 자동화 시스템 및 로봇 등의 FA 시장 유통사업의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모션제어 분야 전문 R&D 팀과 시장 흐름 및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는 마케팅 팀 등이 협력함으로써 고객의 요구 사항을 신속하고 정확한 솔루션으로 충족시키고 있다. 파익스(P.A.I.X)의 주력 제품은 멀티 네트워크 모션 컨트롤러 및 2상 마이크로 스텝 드라이버이며, 그 중에서도 컨트롤러는 현장 경험에서 얻은 고객의 니즈와 차세대 모션 제어 방식을 고려한 새로운 콘셉트의 다축 모션 제어 제품이다. 파익스는 고객에게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모션제어와 관련된 유통 사업을 병행하고 있다. 파익스의 이더넷 모션 컨트롤러 중 NMC2-220 모델은 2축 이더넷 모션 컨트롤러로, 이더넷 TCP/IP 통신 기반 외장형 모듈을 갖추고 있고 본체 전면부에 IP 주소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PC 한 대로 최대 255대의 NMC2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위칭 허브를 통해 여러 대의 PC를 접속할 수도 있다. NMC2-420 모델은 4축, NMC2-820 모델은 8축 이더넷 모션 컨트롤러이다. ▲ NMC2-220 ▲ NMC2-220S 그리고 디지털
파익스는 3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코엑스 A, B홀에서 열리는 'Automation World 2016'에 참가한다. 파익스는 2004년에 설립돼 자동화 핵심 솔루션인 PC 기반 모션컨트롤러 개발에 성공해 LCD, LED, 반도체, 휴대폰 검사/제조 관련 자동화 장비를 제작하는 주요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특정 모션 컨트롤러와 같이 폐쇄된 네트워크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 상용 이더넷을 통한 모터제어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원천 제어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파익스의 주력제품에는 멀티 네트워크 모션 컨트롤러와 마이크로 스텝 드라이버가 있다. 특히, 전시회에서 소개한 파익스 비젼 트리거 모듈(NVT-101C)은 엔코더의 출력을 이미지 각 라인별로 획득했으며 대형, 고해상도 이미지를 고속으로 캡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파익스 모션 컨트롤러는 다양한 고급 기능을 탑재해 복잡한 모션 시스템에 적용이 용이하며 갠트리 구동, 원호보간, 연속보간 동작에 대한 데모를 시연하고 있다. 김연주 기자 (eltred@hellot.net)
기존 PC 기반 컨트롤러는 특수한 기능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선택의 어려움이 있고 전자동화 시스템을 고수하고 있는 장비 콘셉트에 따라 점차 복잡해지는 제어 시스템에서는 한계를 드러낸다. 특히, 제어 모터의 수량이 많아지면 그만큼 모션 보드도 증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통신형 모션 보드를 사용하거나 통신형 외장형 모션 컨트롤러를 사용해야 한다. 파익스는 외장형 모션 컨트롤러를 콘셉트로 PC와의 통신은 이더넷으로 연결하고 모터 제어용 드라이버는 펄스로 제어하는 방식을 취했다. 또한,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속 보간과 진동 최소화 등 성능을 더욱 개선했다. 모션 컨트롤러란 파익스 모션컨트롤러를 소개하기 전에 먼저 모션컨트롤러란 무엇인지, 어떠한 종류가 있는지, 구성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간략히 설명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우선 제어 방식으로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펄스로 위치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펄스 제어 방식과 드라이버 또는 모션컨트롤러 제조사마다 보유하고 있는 고유의 통신 형태의 통신 제어 방식이 있고, DC 전압, SIN 신호, PWM 등의 신호로 모터를 제어하는 아날로그 제어 방식으로 나눌 수
“이더넷 모션 컨트롤러 신제품 라인업 강화로 모션 제어 시장 장악력 높이겠다.” 파익스 김영호 대표이사는 지난 10여 년간 이더넷 통신 제어 기술력을 기반으로 범용 다축 모션 컨트롤러 제조에 힘써왔다며 앞으로 더욱 기발한 신제품 개발로 자타공인 모션 제어 토털 솔루션 공급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내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NMC3’는 PC가 필요 없는 독립형 제어기로 장비의 원가 절감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파익스의 주력 제품으로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모션 제어 관련 최근 이슈와 동향을 김영호 대표이사에게 들어봤다. ▲ 파익스 김영호 대표이사 Q. 모션 제어 관련 최근 기술 트렌드는 A. 최근 자동화 산업은 ICT 기술과 융합하며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다. 자동화 장비용 제어기 역시 모바일과 무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비의 시스템 상태나 다양한 모션 제어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다면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특수한 환경이나 근거리에서 제어 상태를 확인하고 간단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본다.
“이더넷 모션 컨트롤러 신제품 라인업 강화로 모션 제어 시장 장악력 높이겠다.” 파익스 김영호 대표이사는 지난 10여 년간 이더넷 통신 제어 기술력을 기반으로 범용 다축 모션 컨트롤러 제조에 힘써왔다며 앞으로 더욱 기발한 신제품 개발로 자타공인 모션 제어 토털 솔루션 공급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내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NMC3’는 PC가 필요 없는 독립형 제어기로 장비의 원가 절감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파익스의 주력 제품으로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모션 제어 관련 최근 이슈와 동향을 김영호 대표이사에게 들어봤다. ▲ 파익스 김영호 대표이사 Q. 모션 제어 관련 최근 기술 트렌드는 A. 최근 자동화 산업은 ICT 기술과 융합하며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다. 자동화 장비용 제어기 역시 모바일과 무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비의 시스템 상태나 다양한 모션 제어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다면 작업자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특수한 환경이나 근거리에서 제어 상태를 확인하고 간단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본다.
파익스의 ‘GTM-1CH’는 고속의 비전시스템에 최적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개발된 이더넷 비전트리거 모듈이다. 이 제품은 이더넷 통신을 이용하여 쉽게 셋업이 가능하며, FPGA를 활용한 라인스캔 기능을 탑재했다. 또한 엔코더용 5V 전원 출력을 제공한다. 출력 방식은 5V TTL, 오픈 콜렉터, 라인드라이브 등이다. 김연주 기자 (eltred@hellot.net)
▲ 인터뷰_파익스 김영호 대표 “제품 개발과 함께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더욱 힘쓰겠다” 파익스 김영호 대표는 지난 10여 년간 모션컨트롤러와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를 개발· 제조하고 있지만, 홍보 부족으로 파익스의 제품을 모르는 고객들이 많았다며 준비된 제품을 시장에 알리는 데 최우선 과제를 두겠다고 말한다. 파익스는 이더넷 통신 제어 기술력을 기반으로 지금까지 18종의 제품을 출시했다. 또한, 모션제어와 관련된 유통사업을 병행하며 고객에게 ‘One-Stop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다. 김영호 대표는 자타가 공인하는 모션제어 토털솔루션 공급기업이 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말한다. 최근 모션제어 이슈와 동향을 들어봤다. Q. 모션제어 관련 최근 기술 트렌드는? A. 아직까지 현실적으로 반영되고 있지는 않지만, 향후 자동화 장비용 제어기 시장에서도 모바일과 무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제어 시스템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비의 시스템 상태나 다양한 모션제어를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다면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한 특수한 환경이나 근거리에서 제어 상태를 확인하고 간단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으로 생각한다. 파익스는 내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