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솔루엠은 지난 10월 13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국제광융합엑스포 2021(LED&OLED EXPO 2021)에 참가해 당사의 스마트 조명 솔루션을 비롯한 핵심 사업을 전시했다. 솔루엠이 기존에 주력해온 사업은 크게 세 가지다. 파워 부문에서는 디스플레이, IT, 네트워크, LED 조명 전원 관련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상용전원을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과 트랜스를 이용해 고효율·고품질 전력으로 변환, LED TV를 구동시키는 전압을 공급한다. 이 공정에서는 단순 조립형에서 고직접 모듈기반 장치산업으로 변화하며, 소형화가 이뤄지고 있다. 이를 통해 차별화된 디자인 회로 설계, 저손실 정류회로, 다채널 LED 제어 설계 등이 가능해졌다. 이뿐 아니라 파워 부문은 전력전자 분야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을 통해 신시장 진입을 확대하고 있다. ICT 부문에서는 RF 설계기술을 활용한 TV·STB 방송수신모듈 및 WPAN, LPWA 무선통신모듈을 제공한다. IoT 분야의 다양한 LBS, RTLS 단말 및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 예로, 튜너는 TV, 셋톱박스 등 다양한 영상기기가 HD급 이상의 고화질 디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2채널 인터리브 부스트-PFC(Interleaved Boost-PFC) 토폴로지를 지원하는 STNRGPF02를 출시해 디지털 전원공급장치 컨트롤러 제품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신속하게 회로 설계를 완료하고 외부 부품을 선택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eDesignSuite를 이용해 손쉽게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STNRGPF02는 일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탁월한 유연성과 빠른 설계 주기를 제공하는 등 600W - 6kW에 이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지털 파워의 장점을 구현해준다. 동시에 다른 디지털 솔루션보다 훨씬 더 뛰어난 시스템 집적도를 갖춰 별도의 DSP나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필요하지 않다. STNRGPF02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는 산업용 모터, 에어컨, 가정용 및 상업용 가전기기, 셀룰러 기지국, 통신 인프라, 데이터센터 장비,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등이 있다. STNRGPF02는 평균 전류 모드 제어 기능으로 고정 주파수에서 CCM(Continuous-Conduction Mode)으로 동작한다. 내부 전류 루프에 하드웨어
[첨단 헬로티] 혁신적인 파워 솔루션 개발을 위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크기와 무게를 줄여주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반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SiC 기술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은 전기차와 전기차 전용 충전소부터 스마트 파워 그리드와 산업 및 항공 파워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이러한 수요에 부합하고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북아시아 총괄 및 한국대표: 한병돈)는 더 작고 가볍고 효율적인 SiC 파워 모듈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 마이크로칩은 자사의 광범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및 아날로그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고전력 시스템 컨트롤, 드라이브와 파워 스테이지에 대한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토털 시스템 솔루션을 지원한다. 마이크로칩 SiC 제품군은 상업용 검증을 마친 SBD(Schottky Barrier Diode) 기반 700V, 1200V 및 1700V 변형 파워 모듈을 포함한다. 이 새로운 파워 모듈 제품군은 듀얼 다이오드, 풀 브릿지, 페이즈 레그, 듀얼 커먼 캐소드 및 3-페이즈 브릿지 등의 다양한 토폴로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전류 및 패키지 옵션이 제공된다. SiC SBC 모듈을 추가
[첨단 헬로티] 글로벌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전문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어제(19일) 밀레니엄 힐튼호텔에서 ‘이노베이션 서밋 : 빌딩, 파워, 머신 (Innovation Summit : Building, Power, Machine)’을 개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한 전략 및 대응방안을 조망하는 자리로 마련된 이번 이노베이션 서밋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혁신적 기술을 공유했다. 에너지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대에 국내 산업의 방향성에 대한 제시와 함께 더욱 효율성 있고 많은 기회를 창출하며,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 주요 기업 관계자 약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튜브 채널을 통한 온라인 생중계가 진행되었다. 현장 라이브를 통해 행사장을 직접 방문하지 못한 고객도 실시간으로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었다. 이번 이노베이션 서밋에서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을 대표하는 사물인터넷(IoT) 지원 및 상호운영이 가능한 개방형 시스템 아키텍처 및 플랫폼인 ‘에코스트럭처(EcoStruxure™)’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1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2 성능 결과 그림 3∼5의 측정 결과를 보면, 그림 1의 푸쉬-풀 컨버터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해서 LDO 상에서 낮은 VIN - VOUT 차이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손실과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에서는 LDO 당 200mA일 때 VDIFF가 10V~15V의 전체적인 입력 전압 범위에 걸쳐서 2.5V 아래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에서는 전체적인 부하 전류 범위에 걸쳐서 전력 손실이 낮게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5와 그림 6은 열 영상을 보여준다. 그림 7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한 경우의 효율을 비교하고 있다. 입력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서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에서는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사용할 때 양의 LDO에서 차이 전압을 보여준다. 그림 9와 그림 10에서는 열 영상을 보여준다. 듀티 사이클 제어가 차이 전압을 낮추고 효율과 열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1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2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분산 전원장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저잡음 트랜스포머 드라이버로서 고정적 50% 듀티 사이클을 사용한 푸쉬-풀 DC/DC 컨버터가 흔히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전압 레귤레이션을 하지 못하므로 LDO 포스트 레귤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 때문에 LDO의 전력 손실과 높은 온도 상승 및 큰 트랜스포머를 요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글에서는 LT3999 모노리딕 DC/DC 푸쉬-풀 드라이버를 사용해 상기 문제를 해결할 두 가지 방식의 디자인 설계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분산 전원장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는 저잡음 트랜스포머 드라이버로서 고정적 50% 듀티 사이클을 사용한 푸쉬-풀 DC/DC 컨버터가 흔히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전압 레귤레이션을 하지 못하므로 LDO(low dropout) 포스트 레귤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조합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첫째, 드라이버의 입력 전압이 심하게 변동적이면 고정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1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2 성능 결과 그림 3∼5의 측정 결과를 보면, 그림 1의 푸쉬-풀 컨버터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해서 LDO 상에서 낮은 VIN - VOUT 차이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손실과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에서는 LDO 당 200mA일 때 VDIFF가 10V~15V의 전체적인 입력 전압 범위에 걸쳐서 2.5V 아래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에서는 전체적인 부하 전류 범위에 걸쳐서 전력 손실이 낮게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5와 그림 6은 열 영상을 보여준다. 그림 7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한 경우의 효율을 비교하고 있다. 입력 전압이 상승함에 따라서 효율이 크게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8에서는 듀티 사이클 제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와 사용할 때 양의 LDO에서 차이 전압을 보여준다. 그림 9와 그림 10에서는 열 영상을 보여준다. 듀티 사이클 제어가 차이 전압을 낮추고 효율과 열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1 [전력반도체] 절연형 고주파수 푸쉬-풀 DC/DC 컨버터 설계 - 2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분산 전원장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저잡음 트랜스포머 드라이버로서 고정적 50% 듀티 사이클을 사용한 푸쉬-풀 DC/DC 컨버터가 흔히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전압 레귤레이션을 하지 못하므로 LDO 포스트 레귤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 때문에 LDO의 전력 손실과 높은 온도 상승 및 큰 트랜스포머를 요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글에서는 LT3999 모노리딕 DC/DC 푸쉬-풀 드라이버를 사용해 상기 문제를 해결할 두 가지 방식의 디자인 설계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분산 전원장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는 저잡음 트랜스포머 드라이버로서 고정적 50% 듀티 사이클을 사용한 푸쉬-풀 DC/DC 컨버터가 흔히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기는 하지만 전압 레귤레이션을 하지 못하므로 LDO(low dropout) 포스트 레귤레이터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바로 이러한 조합이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첫째, 드라이버의 입력 전압이 심하게 변동적이면 고정
인피니언 권영진 전력 관리 및 멀티마켓 사업부 총괄 상무 전력반도체 시장의 약 19%를 점유하며 업계 1위를 수성하고 있는 인피니언의 성장세가 눈에 띤다. 인피니언의 권영진 전력 관리 및 멀티마켓 사업부 총괄 상무는 “전력 관리 및 멀티마켓 사업부는 올해 3Q 기준으로 작년 동기대비 91%의 성장을 이뤘다”며, “내년에도 고객을 위한 P2S 전략과 300mm 팹의 본격적인 대량 양산 출하를 통해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에너지 효율 IGBT,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용 지능형 전력 모듈, 전력 MOSFET 및 디지털 전원 관리 IC 기술력이 우수한 인터내셔널 렉티파이어(IR, International Rectifier)를 올해 초 인수함으로써, 전력반도체 시장 내 선도적 입지를 굳힌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오토모티브, 전력 관리 및 멀티마켓, 산업용 전력제어, 칩카드 및 보안 등 사업 영역을 4부분으로 세분화해 반도체 업계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75억 달러 규모의 시장에서 10.5%를 점유한 인피니언의 오토모티브 사업부는 총 4개의 사업 부문 중 가장 큰 파이를 차지하고 있으며,
DIN 레일용 AC-DC 파워 서플라이는 고효율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전기 사용량을 줄여 주는 제품이다. Remote On/Off 기능과 과전류, 과전압, 과열 보호 기능을 탑재했으며, 출력 전압 확인을 위한 알람 기능 역시 탑재돼 있다. Euro Style과 Barrier Blocks Style의 2가지 타입으로 구성돼 있다. 이솔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