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트로닉스가 7M 길이의 프로브 케이블을 갖춘 액티브 싱글엔드 프로브 ‘TAP1500L’을 출시했다. 이번 TAP1500L 프로브 출시는 이전 성공작이자 광학 절연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IsoVu 프로브에 이어 텍트로닉스의 프로빙 기술 혁신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다. TAP1500L은 기존 TAP1500 모델보다 5.7미터 더 긴 케이블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TAP1500L은 엔지니어들의 중요한 요구사항인 유연성과 안전성을 갖춘 자동화 테스트 수행 능력을 제공한다. 특히 플라잉 프로브는 고객의 요구에 맞춰 테스트 스테이션을 배치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프로브의 안전한 성능을 보장한다.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7미터 케이블로 경쟁 제품 대비 1미터 더 긴 길이를 제공한다. 이는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프로브를 라우팅해야 하는 플라잉 프로브 테스터 고객과 DUT(Device Under Test)가 오실로스코프에서 더 멀리 있어야 하는 모든 상황에 유용하다. 긴 케이블에도 불구하고 ≥1.5 GHz 대역폭, <267 ps 상승 시간, ≤1 pF 입력 커패시턴스를 유지해 고속 설계에 대한 정확한 신호 획득을 보장한다. 또 컴팩트한
텍트로닉스가 기존 5 시리즈 MSO(혼합 신호 오실로스코프)의 성능을 한층 강화한 ‘5시리즈 B MSO’를 출시했다. 엔지니어들이 믿고 쓰는 오리지널 5 시리즈 MSO의 기본 성능과 신호 무결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B 버전은 기존 입력 채널 소비 없이 오실로스코프를 외부 신호에 동기화하는 새 Aux 트리거를 포함한 원격 제어 강화 등 오실로스코프 사용자를 위한 편의성이 크게 개선됐다. 예를 들어 빌트인 임의 함수 발생기를 옵션으로 지정하면 최대 주파수 출력이 기존 모델의 50㎒에서 같은 급 최고인 100㎒로 2배 늘어나 보드 플롯, 임피던스 측정 등이 훨씬 쉽다. 이는 갈수록 중요해지는 전력 분배 네트워크(PDN)에서 전력 무결성을 빠르고 철저하게 점검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5 시리즈 B MSO는 코로나 장기화로 연구실, 사무실 외부에서 근무·협업하는 엔지니어들을 위해 원격 제어를 지원한다. TekScope P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오실로스코프를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어디서든 PC로 오실로스코프 파형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또 TekDrive는 파형을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할 수 있는 제어 기능이 스코프에 내장돼 클릭 한 번으로 사용자가 파형 데
[헬로티] 기존 대비 1/5 작아진 크기, 업계 유일 1㎓ 절연 프로브, 동급 최고 커먼코드 제거비(CMRR) 달성으로 전원 시스템 설계 혁신 가속화 텍트로닉스가 IsoVu 절연 프로브 2세대인 TIVP 시리즈를 출시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제품은 2016년 시장에 첫 출시된 이래 폼팩터 및 기능이 대폭 개선된 제품이다. 새로워진 2세대 IsoVu 프로브는 1세대의 1/5 사이즈로 작아진 크기는 물론 더 편리해진 사용법, 전기적 퍼포먼스 향상으로 절연 프로브 기술이 요구되는 전원 시스템 설계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접지되지 않은 고속 시스템에서 기존 디퍼런셜 프로브를 사용해 정확한 측정값을 얻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SiC 및 GaN 같은 와이드밴드갭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는 더 높은 주파수와 스위칭 속도로 인해 장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특성화하기가 까다로워졌다. IsoVu 프로브는 오실로스코프와 갈바닉 방식으로 절연돼 전력 연구자와 설계자가 와이드 밴드갭 전력을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수치 스리니바산(Suchi Srinivasan) 텍트로닉스 메인스트림 솔루션 부문 총괄 이사는 “IsoVu 프로브가 처음
[헬로티] 텍트로닉스가 지난 10월 21일(수)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0'에 참가해 자사의 배터리 테스트 솔루션을 선보였다. ▲인터배터리 2020에 참가한 텍트로닉스 부스 전경(사진 : 서재창 기자) 텍트로닉스의 배터리 테스트 솔루션은 각 공정에서 요구되는 기준에 알맞도록 검사를 진행한다. 전극 시트 품질 관리의 경우, '키슬리 6157B 일렉트로미터' 장비를 활용한다. 이 장비는 표면저항 및 체정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전극시트와 같은 시료는 단저항으로 측정할 수 없기에 전극 시트 표면에 전압을 인가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해야 한다. 이외에도 텍트로닉스의 검사 솔루션은 TAB 용접부 및 부스바 용접 품질 측정, Seal 진공 건조, 주액·함침, 충전 에이징, 셀 검사, 모듈 팩 검사 등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상태를 점검한다. 텍트로닉스 자회사인 키슬리(Keithley)는 전자제품 제조업체의 특수한 고성능 생산 테스트, 공정 모니터링 및 제품 개발과 연구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고급 전자 테스트 기기 및 시스템을 설계, 제조 및 판매해왔다. 키슬리는 DC 또는 펄스 전자 신호를 소싱, 측정, 연결, 제어 또는 통신하는 데
[첨단 헬로티] 텍트로닉스가 각각 13GHz와 18GHz 주파수 범위를 제공하는 RSA513A와 RSA518A를 새롭게 출시함으로써 배터리 구동식 USB 기반 스펙트럼 분석기 RSA500 제품군을 확장했다. 이 장비는 기존 장비 대비 더 높은 주파수를 지원하여 지원 소프트웨어에서 정의하고 있는 자동 분석을 필요로 하는 고객을 위해 I & Q 데이터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고사양 장비와 동일한 성능과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형 RSA500 스펙트럼 분석기는 작은 폼팩터와 견고한 외관 구조로 인해 훨씬 더 넓은 범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Ku 밴드 레이더 및 5G & LTE 기지국 테스트와 같은 스펙트럼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부터 RADHAZ 및 EMCON 모니터링과 같은 방위산업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오늘날의 복잡한 RF 환경에서는 스펙트럼 분석기 사용자가 RF 신호를 끊김 없이 캡처하기 위해 더 높은 주파수에서 더 넓은 대역폭의 신호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독창적인 I & Q 데이터 스트리밍 기능을 제공하는 RSA500 분석기 제품군은 오프
[첨단 헬로티] 올해로 한국 지사 창립 25주년을 맞는 텍트로닉스는 ‘텍트로닉스 혁신 포럼(Tektronix Innovation Forum, TIF)’을 7월 4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한다. 텍트로닉스 혁신 포럼은 회를 거듭하며 1년간 텍트로닉스에서 추구하는 혁신의 방향을 제시하고, 고객들의 의견을 경청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발전의 트렌드를 파악하는 기회의 장으로 자리 매김됐다. 2018년 혁신 포럼의 경우 5G 시장에서 촉발되어, 전자 가전, 자동차, 광통신 분야,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는 관련 기술 발전에 대한 트렌드를 정리하고, 개발 및 양산 현장에서 엔지니어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가장 쉽고 단순화해 측정할 수 있는 솔루션에 대해서 다루게 될 예정이다. 이러한 주제들은 급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유/무선 통신 방식,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질적인 솔루션을 바탕으로 발표될 예정이다. 본 텍트로닉스 혁신 포럼은 한국 뿐만 아니라 중국, ASEAN, 대만, 일본에서도 역시 개최가 되며, 범 아시아권 행사로서 최대 규모를 진행되고 있다. 매년 2000명 이상의 고객이 참석하며, 총 8회 진행된다. 텍트로닉스의 최
[첨단 헬로티] 텍트로닉스가 키슬리(Keithley) 6½-digit 벤치/시스템 디지털 멀티미터 DMM6510와 데이터 수집, 로깅 멀티미터 시스템 DAQ6510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 제품은 빠르고 간편한 테스트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핀치-앤-줌(Pinch and zoom)"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적용했다. 또한, 한 눈에 볼 수 있는 모니터링, 디스플레이 개선, 15가지 서로 다른 측정 펑션, 다양한 측정 범위, 다중 채널 측정과 보다 뛰어난 정확도, 감도 등이 특징이다. 오늘날 엔지니어들에게는 테스트 계측을 위한 뛰어난 성능, 정확도, 측정의 유연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출시 기간이 줄어듦에 따라,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빠른 작업수행 등 더 많은 것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번 신제품 6½-digit DMM과 데이터 수집 기능이 포함된 DAQ는 측정 동향 및 파형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그래프 작성∙핀치-앤-줌∙커서, 통계 기능이 포함된 5인치(12.7cm)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새로운 수준의 측정 용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측정 설정부터 모니터링 및 실행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준다
[첨단 헬로티] NBC 올림픽(NBC Olympics)이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를 위해 텍트로닉스를 오디오 및 비디오 테스트 모니터링 및 네트워크 모니터링을 위한 파트너 업체로 선정했다. NBC 올림픽의 IBC 엔지니어링 부사장인 테리 아담스(Terry Adams) 및 텍트로닉스 비디오 제품군 총괄관리이사인 찰리 던(Charlie Dunn)은 이를 공동 발표했다. NBC 올림픽은 평창 동계올림픽의 중계를 위해 텍트로닉스 WFM8300, WFM7200, WVR7200, WFM5200 및 WVR5200 파형 모니터와 SPG8000A 마스터 동기 및 마스터 클럭 레퍼런스 발생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NBC 시설 내에서 NBC 올림픽의 영상 제작, 후처리, 전송 및 배급 중에 사용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의 품질을 모니터 및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된다. HDR/4K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WFM8300 파형 모니터를 사용한다. 또한 영상 제작과 관련된 전송 스트리밍 모니터를 위해 텍트로닉스 센트리(Sentry) 제품을 사용한다. 아담스는 "이번 올림픽 중계를 위해 다시 한 번 텍트로닉스를 NBC의 제휴 업체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ldquo
[첨단 헬로티] T&M(Test & Measurement) 솔루션 분야 선도기업인 텍트로닉스가 5시리즈 MSO(Mixed Signal Oscilloscope)의 오토모티브 전용 솔루션을 출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 새로운 솔루션은 차세대 차량에서 사용되는 복잡한 전자장치 시스템에 대한 검증 및 디버그를 속도를 가속화하고 설계 주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8개 채널, 12비트 분해능 및 대형 고해상도 정전 용량식 터치 디스플레이와 직관성이 뛰어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5 시리즈 MSO 장비와 완벽한 기술적 호환성을 유지한다고 한다. 자동차 업계는 지능형 자율 운전 차량부터 기존의 전자-기계 시스템을 대체하거나 강화하는 전자장치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혁신을 통해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하지만 더 복잡한 문제는 CAN FD(5-10 Mb/s) 및 Automotive Ethernet 등의 최신 중∙고속 직렬 버스와 LIN, FlexRay, MOST 등의 기존 오토모티브 버스가 서로 호환이 될 수 있냐는 것이다. 텍트로닉스는 이번 5시리즈 MSO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모든 차량 시스템에서 전자 제어 장치(ECU)와 여
[첨단 헬로티] 일리노이 대학교 전기 및 컴퓨터 공학 전공의 나노제조기술 실험실에서 학사 과정 최초로 학생들에게 마이크로 및 나노 전자공학 실험·실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텍트로닉스의 '키슬리 4200A-SCS 파라미터 애널라이저 3대와 4200A-CVIV 멀티 스위치 모듈 3대를 도입했다. 텍트로닉스의 4200A-SCS는 소재, 반도체 디바이스 및 프로세스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통합된 모듈형 파라미터 애널라이저이다. ▲텍트로닉스 4200A-SCS 4200A-SCS와 함께 일리노이 대학교에 도입된 4200-CVIV는 DC 및 AC 측정간 전환 및 다른 테스트 디바이스의 터미널로 AC 츨정 이동을 오류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일리노이 대학은 230,000평방 피트 규모의 ECE 빌딩에 나노제조기술 연구실을 구축 중인데, 이 새로운 시설에는 학생들에게 전자 공학 및 컴퓨팅 분야의 충분한 실험과 실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20개 이상의 전용 실험실도 함께 준비되고 있다. 텍트로닉스의 4200A-SCS가 일리노이 대학교에 도입된 이뉴는 장비를 처음 사용하는 연구원이나 학생들이 장비를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최소한의 교육으로도 실무에 즉시
[첨단 헬로티] 텍트로닉스가 옵티컬 프로브 겸 분석 소프트웨어 신제품 DPO7OE1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실시간 오실로스코프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28-GBaud PAM4 애플리케이션을 준수하는 옵티컬 레퍼런스 리시버(ORR)로, 샘플링 오실로스코프용 옵티컬 PAM4 분석 툴을 보완한다. 또한 옵티컬 트랜스미터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설계 팀에 효율적인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텍트로닉스의 기존 제품인 DPO70000SX와 같이 실시간 오실로스코프를 기반으로 하는 이 제품은 PAM4 및 MRZ의 소프트웨어 클록 복구, 트리거, 오류 감지 및 캡처 시간과 상관 관계가 있는 신호 레코딩 또는 연속 신호 레코딩 등의 디버그 기능이 추가됐다. 이를 통해 R&D 및 시스템 엔지니어가 보다 쉽게 광학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솔루션의 중요성을 인지한 맥심 인터그레이티드(Maxim Intergrated)는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고속 저전력 옵티컬 장치를 제조한다. Maxim Integrated의 첨단 연구 개발 책임자인 얀 필립(Jan Filip)은 "PAM4와 같은 첨단 옵티컬 변조 형식은 샘플링 오실로스코프와 실시간 오실
텍트로닉스가 오랜만에 신제품을 출시하며 또 다시 혁신을 선보였다. FlexChannel 기술, 대형 HD급 넓은 터치 디스플레이, 확 바뀐 UI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텍트로닉스의 새로운 5 시리즈 오실로스코프를 살펴보자. 전자기술이 텍트로닉스의 신제품 출시 현장을 찾아 직접 눈으로 혁신을 체험했다. ▲ 텍트로닉스의 5시리즈 MSO 현대적인 전자장치 설계 과제를 더욱 원활하게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텍트로닉스 5 시리즈 MSO는 업계최초로 4, 6개 또는 8개 아날로그 채널과 최대 64개의 디지털 채널을 지원하는 FlexChannel™ 기술을 갖추고 있다. 텍트로닉스는 통합 프로토콜 분석 및 신호 발생기와 새로운 12비트 신호 획득 시스템, 대형 고화질 용량성 터치 디스플레이, 탁월한 유연성 및 높은 가시성을 확보한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까지 수많은 혁신 기술을 통해 중급 오실로스코프를 재정의하고자 한다. 스마트 워치부터 하이브리드 차량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혁신 기술 어디에나 사용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이 나날이 더 정밀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엔지니어들은 테스트 및 측정 솔루션 즉, 오실로스코프에 더 많은 기능을 필요
[첨단 헬로티] 텍트로닉스가 증가 일로의 획기적인 텍트로닉스 USB 기반 RF 테스트 장비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TTR500 시리즈 USB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발표했다. 새로운 TTR500 시리즈는 122dB 다이나믹 레인지 및 6GHz 주파수 범위를 지원하는 다른 솔루션에 비해 40% 낮은 가격과 뛰어난 성능의 탁월한 조합을 제공한다. 또한 여기에는 새로운 VectorVu-PC 분석 소프트웨어 및 이 카테고리의 활성 장치 테스트를 위한 유일한 내장 바이어스 티 등의 첨단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경제적인 VNA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시장은 사물인터넷(IoT) 설계 및 교육 시장이다. IoT 분야에서 VNA는 Bluetooth, WLAN, RFID 및 기타 무선 장비와 안테나의 임피던스 정합성을 검증하는 데 필요하다. 많은 경우 설계자들은 VNA를 임대하거나 빌려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프로젝트에 드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 교육 분야에서는 VNA의 높은 비용으로 인해 학생들이 중요한 장비를 사용하여 실습해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TTR500 시리즈는 이러한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추며 일반적인 작업에도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
새로운 USB 3.1 타입 C 표준은 전자기기의 연결을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킨다. 이 표준으로 동일한 타입 C 케이블을 이용해 두 기기 간 데이터 및 전력 전송을 할 수 있다. USB 3.1 타입 C는 전자제품 간 높은 데이터 전송률과 더욱 강력한 전력 공급을 지원하는 새로운 표준이다. USB 3.1은 10Gbps의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표준 케이블에서 최대 3A, 강화 케이블에서 최대 5A의 전류를 전송한다. 모선 전압(bus voltage)은 최대 20V(표준 케이블에서 3A로 60W 또는 강화 케이블에서 5A 로 100W)로 조정한다. 오늘날 많은 노트북이 100W 미만의 전력을 사용해 타입 C 커넥터를 채택한 새로운 모델은 소형 기기 충전 방식인 USB 포트로 충전할 수 있다. USB 3.1 타입 C 표준이 복잡하기 때문에 전력을 전송하기 전에 기기가 전력 공급자(소스)인지 전력 사용자(싱크)인지를 따져봐야 한다. 따라서 타입 C 케이블(그림 1)은 전력과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정확히 알기 위한 추가 회로가 필요하다. 타입 C 케이블 양 끝에 위치한 커넥터는 똑같이 생겼기 때문에 양쪽으로 플러그를 꽂을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는 위 아래 구분없이 사용할
[헬로티] 글로벌 테스트 측정 기업인 키사이트와 내쇼날인스트루먼트, 텍트로닉스가 5G, IoT, 웨어러블, 인더스트리4.0의 개발 이슈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오는 3월 7일(화) 서울 코엑스 E홀에서 개최되는 '테스트-측정 혁신 컨퍼런스 2017(TMIC 2017)((http://goo.gl/V53dtt)'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제4차산업혁명에서 이슈가 될 수 있는 기술들인 전파, 자율주행, 무선전력전송, IoT, 인더스트리4.0의 개발이슈와 해결방안 제시할 예정이다. 컨퍼런스는 산업별 기술동향 및 기술이슈와 산업별 개발이슈 해결방안 이라는 두개 세션으로 진행된다. 산업별 개발이슈 해결방안 세션에서는 측정솔루션 공급업체의 발표가 준비돼 있다. 키사이트코리아 이성미 부장은 3GPP NB-IoT 기술과 단말 및 기지국 측정 솔루션에 대해 발표하고, 한국텍트로닉스 차경묵 대리는 IoT 개발과 양산에 관련된 신호측정 및 디버깅 방법론을 공유한다. 마지막으로 한국NI 김종우 과장은 스마트팩토리를 위한 머신 제어 및 지능형 모니터링 솔루션의 국내외 적용사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기조연설에서는 IITP 이문규 CP가 4차 산업혁명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