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현대로템은 2018년 수주한 카자흐스탄 알마티 메트로 1호선 연장 구간에 투입될 전동차의 납품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현대로템은 지난달 30일 알마티 부시장, 차량국장, 알마티 메트로 사장 및 주알마티 총영사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알마티 메트로 차량기지에서 납품 완료를 기념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행사에 참석한 알마티시는 현대로템의 전동차량이 이미 알마티 메트로 1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이용객들의 만족도가 높아 이번 신규 차량에 대한 기대가 크며, 원만한 납품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한 현대로템에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고 밝혔다. 현대로템의 카자흐스탄 사업은 2008년 알마티 메트로 1호선 전동차를 수주하면서 시작됐다. 이어 2011년에는 신호시스템 장비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국내기술로 개발한 철도 신호 시스템을 해외에 수출한 첫 사례로 꼽히며 주목받았다. 현대로템은 차량 및 신호시스템 납품을 통해 알마티 메트로 1호선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알마티 메트로 1호선은 카자흐스탄 최초의 지하철이었던 만큼 카자흐스탄 시행청과 이용객 모두 기대가 높은 사업이었다. 현대로템은 고품질의 차량을 성공적으로 납품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과 카자흐스탄이 자동차, 플랜트, 자원 등 총 23개 경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카자흐스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우리 정부 대표로 참석해 카자흐스탄과 향후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이후 처음 개최되는 국빈 초청 경제인 행사로, 카심 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마련됐다. 카자흐스탄 측에서는 토카예프 대통령, 스클랴르 경제부총리, 삼룩카즈나 국부펀드 회장, 바이테렉 대표 등 정부와 기업인 22명이 참석했으며, 한국 측에서는 문승욱 산업부 장관, 구자열 한국무역협회 회장 등 정부와 기업인 22명이 자리했다. 토카예프 대통령의 기조연설과 삼룩카즈나 회장 및 구자열 무협 회장의 개회사 이후 양국 기업인들은 전자, 플랜트, 보건, 금융·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현안과 애로 사항, 경제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양국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한-카자흐스탄 민간 경제 협력 채널 구축, 자동차 산업 협력 강화, 합금철 공장 등 플랜트 협력,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공동 대응, 니켈·코발트 등 미래 산업에 필요한 자원
[헬로티]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5일(목)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진행하는 현대차 조립공장 준공식에 온라인 방식으로 참여했다. ▲출처 : 산업부 먼저 성윤모 장관과 카자흐스탄 마민 총리의 축사가 실시간으로 온라인 중계됐다. 곧이어 현대차 공장 현장에서 준공 축하 리본 절단식과 참석자들의 조립라인 탐방 행사가 1시간에 걸쳐 이뤄졌다. 동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카자흐스탄에서 연간 3만 대 규모의 현대자동차가 생산되며 약 70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 장관은 축사를 통해 "한국과 카자흐스탄 양국 정상회담 성과사업으로 진행된 알마티 현대자동차 조립공장 준공식을 축하한다. 금번 준공식이 양국의 경제적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고, 호혜적 상생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년 11월에 제9차 한-카자흐스탄 경제공동위를 개최해 양국 간 경제협력 관계를 더욱 격상시켜갈 것이라고 밝혔다.
[첨단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지난 5월 31일 카자흐스탄 신규원전 건설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원전사업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를 시작으로 한수원은 국내 원전산업계와 협력해 사업수주 노력을 위한 공동 행보를 펼치겠다는 계획이다. 한수원은 지난 2월 카자흐스탄 신규원전 사업에 한국의 참여를 희망하는 발주사(KNPP, Kazakhstan Nuclear Power Plants)의 요청에 따라 3월 15일 카자흐스탄에 원전 2기의 EPC(설계·조달·시공)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의향서를 제출한 바 있다. 이번에는 발주처가 사업자 선정에 앞서 업체들의 기술력과 재무상태 등 원전 건설능력을 평가하는 절차인 원전사업제안서(TPO, Technical and Price Offer)를 최종 제출하는 것이다. 이번 입찰에는 러시아(RosAtom社), 중국(CNNC社), 미국(NuScale社), 프랑스-일본 컨소시엄(EDF社-Mitsubishi社) 등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카자흐스탄 전력당국은 TPO 평가결과에 따라 9월경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것으로 보인다.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자원부국인 카자흐스탄은 국가 장
▲블록체인씨앤에스가 카자흐스탄 정보와 연계해 협력사업을 추진한다. 카자흐스탄 보건사회개발부 차관(좌측 다섯 번째), 윤명철 대표(좌측 세번째) [첨단 헬로티]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의료정보처리 기술력과 연계해 카자흐스탄 내 기술도입 위한 사업 추진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에 강한 벤처기업 블록체인씨앤에스가 카자흐스탄 정부 관계자와 만남을 가진 후 정부 연계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논의를 마쳤다고 밝혔다. 블록체인씨앤에스는 지난달 초 카자흐스탄에 방문해 정부부처(보건사회개발부, 투자개발부), 지자체(알마티, 아스타나특별시), 정부산하기관(6), 대학(1), 민간기관(2) 등 산학연 분야 단체를 방문해 규제샌드박스 연계 사업과 디지털/스마트 카자흐스탄 국책사업 및 양국간 블록체인 기반 기술교류 및 글로벌 연계 협력사업을 논의하고 돌아왔다. 이후 블록체인씨앤에스는 정부관계자로부터 구체적인 이행 방안에 대한 논의를 요청해와 보다 구체적인 사업추진을 하게 됐다. 카자흐스탄 정부 관계자는 블록체인씨앤에스가 가진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의료정보처리 기술력과 연계해 카자흐스탄 내 기술 도입을 위한 사업을 단계별로 추진해 나가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첨단 헬로티] 중국 태양 전지판 제조업체 Risen Energy Co., Ltd.가 5월 10일, 요르단에서 열린 제27회 연례 EBRD(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회의에서 카자흐스탄의 63MW 태양열 프로젝트 건설 자금을 조달하고자 EBRD와 위임장에 서명했다. 이 그린필드 63MW 태양열 프로젝트의 건설은 올 9월에 시작되며, 내년 6월에 완공될 예정이다. 운영 개시 후 평균 연간 발전용량은 108,719MWh로 예상된다. 올해 초 EBRD와 Risen Energy는 Risen Energy가 카자흐스탄에서 추진한 또 다른 프로젝트인 40MW 태양열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한 위임장에도 서명한 바 있다. EBRD와의 협력은 Risen Energy가 카자흐스탄 시장에 진출하고, 카자흐스탄에 태양열 발전소를 건설하는 중국 최초의 PV 업체가 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Risen Energy 프로젝트 파이낸스 및 투자 이사 Zhang Jieling은 "EBRD와의 파트너십은 자사의 국제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획을 위한 새로운 장을 열었다"라며 "이 파트너십은 자사의 국제 확장 전략을 위한 질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