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조상록 기자 |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삼성엔지니어링, 정부산하 연구기관, 대학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국책사업 수행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기술평가원 지정 공모 국책과제인 ‘암모니아 기반 청정 수소 생산 파일럿 플랜트 실증화' 사업에 선정된 컨소시엄이 20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각 기업 대표와 참여 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발대식을 열었다 해당 국책과제의 수행기간은 2021년 11월부터 48개월이며, 총 예산 262억원 중 148억은 정부가, 114억은 컨소시엄 참여 기업이 출자한다. 과제의 주요 내용은 암모니아를 기반으로 연간 800톤의 수소를 생산하는 실증 플랜트를 롯데정밀화학 울산 공장에 건설하고, 상용화 수준인 연간 16,000톤급 수소생산 플랜트 설계 패키지를 개발하는 것으로, 컨소시엄에 참여한 각 주체들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과 국내 산업의 탄소중립실현을 위한 연구개발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다. 정부는 국내 연간 수소 수요를 2030년 390만톤, 2050년 2,700만톤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중 청정수소의 비중을 2030년에는 50%, 2050년에는 100%로 늘릴 계획인데. 국
[첨단 헬로티] WISET충청권역사업단(단장 이선영 충남대 교수)이 내년 1월 15일부터 25일(매주 월~목요일)까지 2주에 걸쳐 3D프린팅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3D프린팅+드론 전문강사 양성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경력이 단절된 이공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이번 교육은 충남대학교에서 진행되는데, ‘3D프린팅 전문강사 교육’의 후속 교육으로 3D프린팅 및 드론을 활용하여 융합과학수업이 가능한 전문강사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이다. 3D모델링이 가능한 자에 한하여 참여가 가능하며 드론 이론교육과 함께 3D프린팅으로 실제 드론 부품을 만들어 드론을 조립하고 비행시켜보는 실습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단은 교육을 마친 후 우수 수료생에게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의 실습기회를 부여해 3D프린팅 전문강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전년도 수료생들은 3D프린팅 전문업체는 물론 초·중등학교의 방과후 및 자유학기제 강사, 과학관 실험전문강사, 주민자치단체 과학강사 등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전 과정은 무료로 진행되며 교육희망자는 WISET충청권역사업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한편 WISET 충청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