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자동차산업연합회(이하 연합회)가 1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녹색성장법”이 의결된 것에 대해 자동차산업 생태계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기존의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는 2018년 배출 대비 26.3%를 감축하는 것이 목표였으나, 국회 환노위는 이를 35% 이상 감축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법안을 의결했다. 연합회는 2030년 기존 탄소 24% 감축을 위한 전기동력차 전환(2030년 누적 364만대)도 어려운 상황에서 이를 385만대로 확대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하는 와중에 국회가 급하게 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입법추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연합회에 따르면 수송부문의 경우 2030년 전기동력차 누적보급목표를 정부의 제1안인 385만대로 늘려도 2030년에만 전기동력차가 60만대가 보급돼야 하나, 국산 물량은 40여만대만 가능해 나머지 20여만대 수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020년 국내 자동차 시장이 약 180만대이고, 이중 수입차 점유율이 18.1%이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 국산차는 현재의 150만대에서 2030년에는 전기차 40만대 포함 140만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KAMA)는 ‘하이브리드차 보급 필요성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전기동력차 전환과정에서의 산업충격 우려, 2050 탄소중립정책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 대안인 점 등을 고려해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지속·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정부지원은 지난 2017년 총 383만원에서 2021년 183만원까지 매년 50만원씩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보조금 축소에도 하이브리드차는 최근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는 하이브리드차의 높은 연비로 인해 운행할수록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세제지원이 없는 경우 소비자에게 하이브리드차가 가지는 매력이 상당부분 반감될 수밖에 없다”며 “하이브리드차가 탄소중립정책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인 대안”임을 강조했다. LCA(Life Cycle Assessment, 전주기적평가) 관점에서 하이브리드차는 27.5t CO2-eq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이는 반면, 80kWh급 전기차는 배터리 제조 및 재활용 방법에 따
[헬로티]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기저 효과와 자동차 수요 회복으로 V자로 회복 중이나 반도체 수급난이 장기화하며 공급이 받쳐주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수급 동향이 자동차 시장의 상승세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2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협회)가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4월 글로벌 자동차 판매는 작년 동기 대비 32.4% 증가하며 V자로 회복 중이다. 중국에서 판매량이 작년 대비 52.3% 증가했고, 미국과 유럽에서는 각각 29.1%, 23.1% 증가했다. 중국 시장은 이미 작년 4월부터 자동차 판매가 증가로 전환했고, 작년 반도체 수입액이 전년 대비 15% 증가할 정도로 반도체 재고도 선제적으로 확보해 올해 글로벌 반도체 수급난의 장기화에도 팬데믹 이전을 웃도는 자동차 판매 회복세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 시장은 연초 코로나19 재확산, 한파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자동차 판매가 감소했으나 이후 재정부양책 발표,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소비 회복으로 자동차 재고가 부족할 정도로 수요가 증가하며 팬데믹(세계적 대유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