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유통업체 월마트(Walmart)는 최근 2022년 9월 2일까지 일부 공급업체들이 매장에 납품하는 모든 제품에 RFID 태그를 포함하도록 하는 등 RFID 기술 적용 의무화를 발표했다. RFID 적용 의무화 대상에는 가정용품 제조업체 뿐만 아니라 일부 하드웨어 및 자동차 제품과 엔터테인먼트 및 장난감 제조업체가 포함돼 있다. 외신에 따르면, 월마트가 이렇게 RFID 적용을 의무화한 것은 의류용품 매장에서의 RFID 사용의 확대에 따른 것이다. 2020년, 월마트는 의류 상품이 입고, 진열, 판매되는 것을 추적하기 위해 UHF RFID 기술을 상점에 배치하기 시작했다. 수동 UHF RFID 라벨은 RFID 휴대형 또는 고정형 리더를 통해 캡처할 수 있는 고유한 ID를 만들기 위해 각 의류에 부착돼 있다. 이를 통해 소매업체는 각 매장에서 적절한 재고 수준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제때 보충할 수 있게 됐다. 월마트의 수석 MD인 셀리 맥더걸(Shely McDougal)은 “이 RFID 기술을 도입한 이후 고객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능력에서 상당한 결과를 얻어 온라인 주문 이행 및 고객 만족도를 개선했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성공의 결과로 월
[첨단 헬로티] 자라(Zara)와 유니클로를 비롯, 다양한 글로벌 패션브랜드의 RFID 시스템 도입으로 다양한 효과를 얻고 있다. 재고정확성 및 가시성 확보, 결품률 감소, 고객서비스 증대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매출 향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RFID 효과가 알려지고, 경쟁업체와의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국내 패션업계도 RFID 도입에 나서고 있다. 그렇지만 모두 바라는 효과를 거두는 것은 아니다. RFID 시스템 도입 전에 자가 진단 후 RFID 기술에 대한 충분한 학습을 거치고, RFID 도입 계획을 세우는 경우는 성공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담당자가 업계 분위기에 휩쓸려 RFID에 대한 지식없는 상태로 RFID 업체에만 의존하게 되면 실패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 결국 비용과 시간만 허비하게 되며 RFID 기술에 대한 반감만 생기게 된다. 따라서 RFID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패션기업 담당자의 RFID 학습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그리고 전사적인 RFID 도입 보다는 부분적인 도입을 거쳐 확산하는 방식으로 시행착오를 덜 겪으면서 보다 안정된 RFID 도입이 가능한 방법들을 고민해야 한다. 첨단이 준비한 이번 세미나는 RFID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