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BMF는 고정밀, 고해상도 3D프린팅 기술인 PμSL(Projection Micro-Stereolithography)을 적용한 장비를 세계 최초로 공개한 회사다. 고해상도 사출 몰딩이나 CNC에서 구현 가능한 수준의 정밀도와 기존 공법으로 불가능했던 높은 수준의 형상자유도를 실현하는 산업용 마이크로 3D프린팅 장비 제조업체다. 빌드 사이즈와 정밀도·해상도는 일반적으로 반비례 성향을 가지는 것이 통념이었으나, BMF의 PμSL기술은 이에 구속되지 않고 사이즈와 정밀도, 가공속도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PμSL 기술은 UV light에 노출된 광경화성수지를 데이터와 동일한 형상으로 고체화시키는 방식으로, DMD로 생성되는 Digital Mask와 Projection Lens를 통해 층 단위로 경화되어 구현된다. Slice 단위의 모델링 데이터가 프린팅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Digital Mask를 생성하고, Mask에 투사된 UV light가 Projection Lens를 통과, 기존 설계된 형상 내 마이크로 단위의 작고 섬세한 부분까지 layer단위로 고체화시켜 3차원 형상을 구현하는 원리다. BMF의 P
헬로티 김진희 기자 | EnvisionTEC 총판으로 국내 시장에서 장비 판매, 마케팅, M/A 등 다양한 비즈니스를 수행해온 자이브솔루션즈가 글로벌 시장에서 급격한 성장세로 주목받는 금속 3D 프린터 제조사 ‘Desktop Metal’과 국내 판권 계약을 체결해 국내 금속 3D 프린팅 시장 공략에 나선다. 2002년에 창립된 EnvisionTEC은 광경화 수지 기반의 DLP(Digital Light Processing) 3D 프린팅 기술을 세계 최초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독일 기업으로 140개 이상 기술 특허를 갖고 있고 190개 이상의 소재를 개발한 가진 하이엔드 DLP 업계의 강자로 시장에 알려져 있다. Desktop Metal는 바인더 젯(Binder Jet) 기반의 금속 3D 프린터 제조기업으로 Google Ventures, BMW, Ford와 같은 글로벌 기업의 투자를 바탕으로 4억3800만달러를 모금해 15억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로 평가받는 유니콘 기업이다. 기존 PBF(Powder Bed Fusion) 방식의 금속 3D 프린터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수준의 높은 생산성과 재료 호환성, 합리적인 가격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영향력을 확
[첨단 헬로티]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RIZE는 산업용·교육용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한 획기적인 FDM 3D프린터 RIZE One과 XRIZE를 미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론칭했다. RIZE One과 XRIZE는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 0%로 미국 FDA Medical grade 인증, 기존 S사 ABS 소재 대비 약 2배 수준의 고강도, 간편한 서포트 분리로 인한 후처리 용이성 등의 획기적인 장점을 미국시장에서 먼저 인정받았다. 지난 CES 전시회 혁신상 수상 이후 미국의 NASA, 국방성, 글로벌 완성차 업계 등 선도기업에 빠른 속도로 도입됐으나 마케팅의 부재로 한국시장의 유저에게는 생소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파생 키워드로 경량화, DfAM(적층 가공 특화설계) 등이 화두에 오르면서 적층 가공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3D프린터에 대한 관심은 급격히 증가했으나, 시장에서는 희비와 명암이 엇갈렸다. 성공적인 장비 도입으로 공정효율성을 극대화 해 ROI를 창출하는 기업도 있는 반면, 장비에 대한 충분한 검증절차 없이 도입해 많은 부작용을 낳은 사례 역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고자, 한국 3D
[첨단 헬로티] 메탈 3D프린터 출력물의 가장 효과적인 비파괴검사법 공개 3D프린팅솔루션을 공급하는 자이브솔루션즈와 니콘이 공동으로 6월 20일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가든파이브 Tool동 10층 대회의실에서 '제1회 차세대 금속적층 심화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PBF(Powder Bed Fusion), DED(Directed Energy Deposition) 등 금속 3D프린팅 방식은 기본적으로 열을 수반하며, 열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면 이로 인한 내부 pore·void·crack 발생 확률이 매우 높다. ▲자이브솔루션즈와 니콘이 공동으로 6월 20일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가든파이브 Tool동 10층 대회의실에서 '제1회 차세대 금속적층 심화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효과적인 검사공정이 보편화 되지 않았으나, 독일, 일본 등 제조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에서는 이미 수 년 전부터 이러한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자이브솔루션즈와 니콘은 국내·외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자유롭게 질의응답 할 수 있는 세션을 마련해 국내 금속 적층가공 3D프린터 유저들이 가지고 있
[첨단 헬로티] Kickstarter 크라우드펀딩에서 목표액 1100%를 초과 달성하며 파란을 몰고 온 미국의 3D 프린터 전문기업 UNIZ가 5가지 SLA 3D 프린터와 UDP(Uni-Directional Peel) 기술을 공개했다. 데스크톱 3D 프린터 모델인 SLASH PLUS, SLASH OL, SLASH PRO, 산업용 3D 프린터 zSLTV15, zSLTV23이 공개되었으며 UNIZ의 모든 모델은 UDP 기능이 탑재돼있다. ▲(왼쪽부터)산업용 3D프린터 zSLTV와 데스크톱 3D프린터 SLASH PRO UNIZ는 SLASH시리즈로 339ppi 해상도로 시간당 1000cc의 프린팅 속도가 가능하다고 밝혔으며 XY해상도 150microns 기준 시간당 8300cc 출력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시장에 유통된 동급 장비대비 1000 USD 이상 저렴한 가격경쟁력까지 더해져 유저들의 관심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SLASH PRO모델의 경우 Z축 기준 400mm까지 출력 지원이 가능하다. 345 x 194 x 400mm의 중대형 빌드 볼륨을 지원하는 zSLTV15 모델도 인상적이다. 86microns의 XY해상도, 30microns 수준의 최대 정밀도를 갖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