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에이펄스테크놀로지는 스마트공장에서 적용되는 ICT·사물인터넷의 핵심 분야 RFID 전자기술 토탈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Q. RFID는 바코드와 자주 비교되는 시스템이다. RFID가 바코드보다 어떤 점이 좋은가? A. 개념 자체는 바코드, RFID 둘다 사물인터넷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인식자’로 비슷하다. 그러나 특성이 다르다. 예를 들어, 집에 무선공유기 한 대로 모든 스마트 기기를 연결해 사용하듯이, RFID는 사물에 붙어있는 모든 RFID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코드와 비교했을 때 인식속도·양에 대해서는 월등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한가지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RFID는 이런 특수성을 가지면서도 본질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흔히들 RFID만 도입하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RFID를 사용한다는 것은, RFID를 사용하기 위한 약간의 환경적 요소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RFID 도입을 통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영위하기 위해서는 장비에 맞는 환경이 준비되어야 한다. Q. 인더스트리 4.0, 스마트제조, 스마트공장 분야에서 RFID는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머신비전/RFID 활용 전략 세미나’가 26일 오후 1시 창원 CECO 6층 세미나룸 600호에서 개최된다. 본 행사는 2021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기술제조전(SMATOF)의 부대행사로 열린다. 인더스트리4.0 시대를 맞아 스마트제조 분야에서는 머신비전/RFID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혁신기술과 융합된 머신비전이 육안으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업무와 생산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외에도 RFID는 자산관리, 재고관리 등 이력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주최사인 첨단은 머신비전/RFID에 대한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의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머신비전/RFID 활용 전략 세미나’를 준비했다. 첫 발표로는 아시아나IDT 한주철 팀장이 나서 ‘제조업의 RFID 적용사례를 통해 살펴본 RFID 활용법’이라는 주제로 RFID를 활용하기 위한 팁을 공유한다. 다음으로 LMI테크놀로지 소한별 지사장은 ‘쉽게 접근하는 3D와 적용 사례’ 발표를 통해 3D 센서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발표한다. 뉴로클 이홍석 대표는 ‘Auto Deep Learning 비전 검사와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헥사곤이 SaaS 기반 자산관리 솔루션인 Infor EAM을 인수한다. 이를 통해 자산을 추적하고 유지보수 작업을 디지털화함으로써 고객이 최적의 운영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헥사곤(Hexagon)이 인포(Infor)의 글로벌 EAM(Enterprise Asset Managemen) 사업부를 27.5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EAM 솔루션은 자산 집약적 산업에서 디지털 혁신의 기반을 제공한다. 특히, 디지털 리얼리티 또는 디지털 운영 트윈이 점점 더 많이 활용되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단일 소스와 완전한 가시성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자본 및 공정 장비(기계, 트럭, 밸브, 터빈 및 펌프)에서 주요 기반 시설(도로, 철도, 파이프라인 및 통신 네트워크), 전체 건물 및 시설에 이르기까지 고정 자산의 상태와 성능이 포함된다. Infor EAM 솔루션은 대중 교통, 식음료, 시설 관리 등과 같은 특정 분야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확장성이 뛰어나고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제조, 전력 및 에너지, 설비, 운송 등의 고객은 Infor EAM을 활용하여 자산에서 최대의 가치를 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