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KT SAT가 위성 서비스 품질 향상과 고객 만족도 제고를 위해 빅데이터 기반 실시간 장애탐지 시스템(ISAS)을 자체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대한민국 위성 관제의 중심, 용인위성센터에서 그간 위성 통신과 차세대 기술을 접목하고자 진행한 다양한 연구의 결과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수집한 위성 신호를 빅데이터 분석으로 간섭원을 추적함으로써 고품질의 통신상태를 유지하는 데 활용된다. 기존에는 운용자가 일일이 데이터를 분석해 간섭원을 색출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간섭 발생시 인지 시점까지 시간차가 있으며, 분석 시간이 다소 길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시스템 도입 후에는 통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간섭을 유발하는 고객 단말을 자동으로 검출해 선제적인 장애 대응이 가능해졌다. 또한 해당 시스템은 빅데이터 기술을 통해 방대한 양의 신호 데이터 중 고객사의 통신 품질과 연관된 의미 있는 데이터만을 분석해 대쉬보드에 표출하기 때문에 운용자 입장에선 통신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게 가능해졌다. 시스템 개발 후 약 4개월이 지난 현재, 한 고객사에서는 “이번 시스템 도입으로 장애 처리 시간이 대폭 단축됐다”며 “특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삼성전자, 카이스트 등 37개 공동연구기관이 참여하는 '6G 핵심기술개발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미래 이동통신 기술 선점을 위해 국내 통신 분야 전문가들이 힘을 모은 것이다. 우리나라가 차세대 통신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을 선도하고자 실질적인 첫걸음을 내딛는 셈이다. 연구진은 6G 연구사업을 크게 5대 중점분야로 나눈 뒤, 분야별 총 8대 전략과제를 기관들이 나눠 진행한다. 먼저 초성능·초대역 분야는 6G 후보 대역인 테라헤르츠(THz)에서 테라바이트(Tbps)급 전송속도를 확보하기 위한 목표를 지니고 있다. 연구진은 해당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무선통신, 광통신, RF 부품, 안전성 평가 기술을 개발하면서 이전보다 빠른 전송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케 할 전망이다. 초공간 분야는 기존 세대에는 없는 기술 분야로서 이동통신 기술과 위성통신 기술을 융합, 활용하여 해상·오지·재난 상황에서도 기가(Gbps)급 서비스를 제공할 '3차원 공간 통신'기술을 개발한다. 현재 지상 중심(고도 120m 이하) 이동통신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