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25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운영·정비·건설·방사선·산업안전·안전문화 등 6개 분야의 외부전문가 12명을 ‘원전안전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고 원전 현안설명회 및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는 원전 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원전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위원장은 황주호 경희대 교수가 선출됐으며, 각 분야의 자문위원으로 ▲원전운영 분야 황주호 경희대 교수, 정동욱 중앙대 교수, ▲원전정비 분야 박양기 전 한수원 기술혁신본부장, 김국헌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수, ▲원전건설 분야 김무환 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광암 법무법인 로고스 변호사, ▲방사선 분야 김창락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교수, 김기현 서울대학교 교수, ▲산업안전 분야 원종일 동국대학교 교수, 최흥구 산업안전보건공단 센터장, ▲원자력 안전문화 분야 박윤원 기술단체 대전연합회장·비즈 대표, 송하중 경희대학교 교수가 위촉됐다. 자문위원은 각 분야별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관련 현안사항들이 적절한 조치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현장점검 수행 및 최고경영진에게 자문 역할을 하게 된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원전 안전운영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그래핀(Graphene), 맥신(MXene), 고분자수지(Ecoflex)를 조합한 복합소재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내방사선 압력-온도 복합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방사능에 견디는 플렉서블 복합소재 기반 센서를 개발했다. 본 소재는 원전 내부에서 압력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내방사선 센서로 제작되거나 납으로 된 무거운 보호복을 대체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라듐, 우라늄, 토륨, 폴로늄 등 원소들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이때 원소들을 다루는 과정에서 방사선이 나온다. 방사선은 투과력이 매우 높아 전자장치의 고장을 야기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고 인체에 노출되면 생체조직에 해를 끼치는 피폭이 일어나게 된다. 기존 원전 장비는 주로 반도체 소재로 센서를 만든 뒤, 방사선이 뚫지 못하는 납으로 차폐하여 보호한다. 관련 시설에 출입하는 인원이 입는 보호복도 대부분 납으로 만들어진다. 이로 인해 설비 무게와 부피가 커지고 보호복 역시 너무 무겁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ETRI는 높은 에너지를 지닌 방사선에 노출되어도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화가 없으면서도 압력과 온도를 모두 측정할
[헬로티] 중국 CTEC과 지진자동정지설비 공급 계약 체결 두산중공업이 중국 CTEC와 원전계측제어시스템(Man-Machine Interface System)의 주요 기자재인 지진자동정지설비(Industrial Anti Seismic Protection System)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지진자동정지설비는 원전의 두뇌와 신경망에 해당하는 원전계측제어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자재 중 하나로, 원전 가동 중 지진을 감지해 기준 값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원자로의 반응이 멈추도록 제어하는 안전 설비다. 두산중공업은 이번에 수주한 지진자동정지설비의 설계, 제작, 시험을 거쳐 중국 동북부 랴오닝성 연안에 위치한 쉬다보 원전 3·4호기에 오는 2024년까지 공급할 계획이며, 발주처와 추가 공급을 협의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 2011년 지진자동정지설비 개발을 완료하고 국내에 건설된 28기 모든 원전에 공급한 바 있다. 국내 공급 실적을 바탕으로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해 수주에 성공한 것이다. 사진. 두산중공업 나기용 부사장(왼쪽)과 중국 CTEC 장궈진 사장이 화상으로 계약을 체결한 뒤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나기용 두산중공업 부사장은
[헬로티] 한전원자력연료(사장 정상봉)가 올해 하반기부터 고객 맞춤형 교육 서비스 사업을 실시한다. 이번 사업은 국내외 원자력 산업계 종사자 및 원자력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회사가 지난 40여 년간 축적한 핵연료 설계, 제조 및 서비스 분야 기술과 노하우에 대한 교육이 12개 과정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 한전원자력연료 본사 전경사진 (한전원자력 연료) 과정별로 12~20여명 내외의 수강자들에게 수준 높은 이론·실습 교육을 제공하며, 다년간 실무 경험을 쌓은 강사와의 소통 기회도 충분히 주어진다. 한전원자력연료는 최근 수년간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기존 사업모델에 더하여 미래 먹거리 사업을 발굴·추진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신규성장사업 및 보유 기술사업 다수를 발굴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정상봉 사장은 “우수인력 양성이라는 새로운 사업을 통해, 우리 회사와 원자력산업계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함께 높여갈 것”이라며 “모쪼록 산업계·학계·연구기관 구성원들의 많은 참가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본부장 이종호)는 “19일 낮 12시 5분경 한울원전 6호기(가압경수로형, 100만kW급) PCS 카드 교체 중 오신호로 인하여 원자로 냉각재 펌프가 정지함에 따라 원자로가 자동정지됐다”고 밝혔다. 현재 원인은 분석 중으로, 이번 정지로 인한 외부 방사능 누출은 없으며, 발전소는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안전성평가, 방사선방호, 환경영향 평가 등 고리1호기 해체 과정에 대한 주민들의 궁금점을 해소하고자 최종해체계획서 초안 주민설명회를 시행하고 있다. 주민설명회는 한수원이 작성한 고리1호기 최종해체계획서 초안에 대해 지자체 주관으로 수행하고 있는 주민의견 수렴 기간(7.1~8.29, 60일간) 동안 부산(기장군, 해운대구, 금정구), 울산(울주군, 남구, 중구, 북구, 동구), 경상남도(양산시) 등에서 개최된다. ▲ 한수원이 고리1호기 해체 과정에 대한 주민들의 궁금점을 해소하기 위해 설명회를 시행하고 있다. (사진 : 한수원) 한수원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기준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에 따라 최종해체계획서를 작성했으며, 현재 진행중인 해외 원전의 해체계획서를 참조하고 해외 엔지니어링사의 자문도 거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했다. 한수원은 지자체에서 수행하는 주민의견 수렴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반영한 최종해체계획서를 작성해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향후 해체기간 중에도 원자력안전협의회, 민간환경감시기구 등 기존 소통채널을 활용, 주민들과
[첨단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원전에 적용, 원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23일 ‘원자력발전소 상태 판단 알고리즘 경진대회’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했다. 한수원 중앙연구원은 지난 1월 16일부터 2월 12일까지 원자력 발전소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데이터 경진대회를 개최해 총 963개 팀이 참가했다. 이는 국내에서 개최된 데이터 경진대회 중 역대 최대 규모다. 대회 1등은 발전소의 비정상 상태를 90%의 정확도로 예측한 팀에 돌아갔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경진대회 결과는 참가자들이 한데모여 집중 토론을 진행하는데, 이번 대회의 설명회는 사회적 거리두기 차원에서 실시간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진행됐다. 설명회에서는 수상작의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며, 최신 인공지능 기술의 원자력 발전소 적용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이번 경진대회 결과는 한수원 중앙연구원에서 정부 지원으로 수행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운전지원 기술 개발 연구에 적용할 예정이다. 해당 연구과제는 원자력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중소기업인 엠엔디와 함께 수행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첨단 헬로티]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국무회의에서 ‘원전해체 연구소’를 2021년 하반기에 착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보고했다. 정부는 지난 2017년 6월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계기로 원전해체 산업 육성과 해체기술 실증을 위한 인프라로 동남권에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방침을 발표했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산업부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방안 연구를 거쳐, 부지 선정 및 재원분담방안 협의 등을 진행해 왔다.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추진계획에 따라 경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본원은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 약 7만3000m² 규모로, 중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본원은 경주시 나아산업단지에 약 2만4000m²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3223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한수원 등 공공기관 출연 1934억원을 통해 법인을 설립하고, 정부, 지자체 1289억원을 투입해 연구개발 사업, 장비구축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450기 원전이 운영 중이며 이중 30년 이상된 원전은 305기(68%)로 2020년 중반 이후부터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이 본격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전 세계 원전 해체시
[첨단 헬로티] UAE 원전 주계약자인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은 발주자인 UAE원자력공사(ENEC)와 협력을 바탕으로 바라카(Barakah) 원전 1호기 가동을 위한 연료 장전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ENEC과 한전의 합작투자로 설립된 UAE 원전 운영회사 Nawah가 2월 17일 운영 허가를 취득한 이후 바라카 원전 1호기는 연료 장전을 완료하고 본격 가동 준비에 착수했다. ▲ 한전이 UAE 원전 1호기 연료 장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사진 : 한국전력) 이를 통해 한국의 원전 기술과 시공 능력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제2의 해외 원전 수주 기반을 확고히 다지게 되는 기틀을 마련했다. 또한 아랍국가 최초로 핵연료가 장전되고 원전이 가동됨에 따라 향후 UAE 자국 내 안정적인 전력수급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은 2009년 12월 ENEC과 계약을 체결한 이후 우리나라가 자체 개발한 한국 최초의 수출형 원전인 APR1400 4개 호기를 Team Korea 멤버와 함께 바라카에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 한전은 이번 1호기 연료 장전을 계기로 UAE 측과 협력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후속 호기인 2,
[첨단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이 2월 12일까지 4차산업 관련 기술을 활용,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원자력발전소 상태 판단 알고리즘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한수원은 정부 지원과제로 한국원자력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엠엔디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원자력발전소의 비정상 운전 상태를 자동으로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번 경진대회는 이러한 기술 개발 차원에서 원자력발전소 상태를 진단하는 데에 최적인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모하기 위해 진행된다. 대회는 온라인 경쟁방식으로 4주간 진행된다. 참가자가 한수원의 모의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인공지능 모델을 제안하면, 실시간으로 모델의 정확도를 비교해 순위가 정해진다. 총 1000만 원의 상금이 걸려있는 이번 대회에서 얻은 결과는 한수원에서 개발하고 있는 원전 운전지원 기술에 활용될 예정이다. 원전 운전지원 기술은 원자력 발전소에 고장 및 이상상태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비정상 운전 상태를 진단해 발전소 운전원에게 알려주는 기술이다. 대회에 대한 세부 내용은 한수원 홈페이지와 대회 운영대행사인 데이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수원은 앞으로도 원
[첨단 헬로티] 두산중공업이 美 원전 전문업체인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에 대한 지분투자를 마무리하고, 소형모듈원전 사업 진출을 가시화한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IBK투자증권 등 국내 투자업체들과 함께 지난 7월부터 이번 달까지 총 세 차례에 걸친 지분투자를 통해 뉴스케일파워에 대한 주식매매계약과 원자로 모듈 및 기타 기기 공급을 위한 사업협력계약을 마무리했다. ▲ 11월 25일, 미국 달라스에 위치한 플로어 (뉴스케일파워 모회사) 본사에서 열린 2차 지분투자 서명식에서 두산중공업, 뉴스케일파워 및 플로어 임직원이 서명을 마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헤르난데스(Carlos Hernandez) 플로어 CEO, 나기용 두산중공업 원자력 BG장, 존홉킨스(John Hopkins) 뉴스케일파워 CEO, 송용진 두산중공업 전략/혁신부문장) <사진 : 두산중공업> 총 투자금액은 4,400만 달러 수준이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에너지부(DOE)의 지원을 받아 소형모듈원전을 개발 중이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7월 뉴스케일파워와 원자로 모듈 일부 및 기타 기기 등을 공급하는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첨단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지난 6일 울산 울주군 새울원자력본부에서 UAE 수출원전의 참조발전소이자, 신형원전 APR1400 최초 발전소인 신고리3,4호기의 준공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는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및 국회의원, 울산지역 주요인사, 국내.외 관련 기업의 CEO, UAE 원전 관련사 및 주요 원전 도입국 대사, 원자력 마이스터고 학생과 울주군 지역주민 등 역대 최대 규모인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휘호석 제막 및 유공자 포상, 기념식수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신고리3호기는 지난 2016년 12월, 제3세대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로는 세계 최초로 상업운전을 시작했으며, 신고리4호기도 지난 2019년 2월 운영허가를 취득하고 연료장전 이후, 국내 원전 최초로 단 한 번의 고장정지 없이 시운전 시험을 완벽하게 마치고, 8월 29일 상업운전에 착수했다. 신고리3,4호기는 기존 100만kW급 원전에 비해 안전성.경제성.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발전용량은 140만kW급으로 기존 100만kW 대비 40% 증가했고, 설계수명은 60년으로 기존 40년 대비 50% 높아졌다. 특히 ▲디지털제어설비(MMIS) 전면 적용
[첨단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5일(현지시간) 폴란드 인터컨티넨털 바르샤바 호텔에서 ‘APR Conference 2019’를 개최했다. APR Conference 2019는 한수원과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KNA), 코트라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주폴란드 한국대사관이 후원하는 한국형원전 홍보행사다. ▲ 한수원은 ‘APR Conference 2019’를 개최하며 폴란드 신규원전사업에 대한 참여의지를 표명했다. <사진 : 한수원> 행사에는 한수원을 비롯해 주폴란드 한국대사관, 폴란드 에너지부 및 외교부, 폴란드전력공사(PGE), 폴란드 원자력연구소(NCBJ), 한전기술, 두산중공업, 한전원자력연료, 대우건설 등 국내 및 폴란드 기업 30여개 업체 100여명이 참석해 한국형 원전, 한국 원전산업계 및 국산화 경험을 소개하고, 원전사업 파이낸싱 방안, 원자력 인력양성 등 폴란드의 최초 원전도입 현안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한수원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원전산업계의 역량과 한국형원전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폴란드 신규원전사업에 대한 참여의지를 표명했다. 폴란드 신규원
[첨단 헬로티]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28일 울산에 위치한 인재개발원 대강당에서 50명의 시민참관단이 참석한 가운데 신고리5,6호기 건설 제2기 시민참관단 해단식을 개최했다. 시민참관단은 신고리5,6호기 공론화의 후속 조치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시행했다. 시민참관단은 일반 시민들이 신고리5,6호기의 건설 과정을 직접 참관하고 의견 제시와 정책제언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원전안전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고자 시작됐다. 참관단은 약 12개월 동안 철근 배근 작업에 대한 현장점검, 핵심 기기 내진 실증시험, 원전 기자재 제작공정 참관에 이어 신고리 5호기 원자로 설치 참관으로 활동을 마쳤다. 현재까지 총 51건의 정책제언과 질의를 통해 주요 작업장 등 현장 안전포스터 부착 및 발전소 조경 개선 필요 등 현장의 안전과 환경개선에 도움을 줬다. 한편, 참관단 대다수는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관리되는 건설현장이 인상적이었다는 소감과 함께 원전 관련 지식 향상은 물론, 수출 필요성과 한수원의 정보 공개 노력에 만족한다고 밝혔다. 원재연 한수원 건설처장은 “이번 시민참관단 운영을 통해 유익한 조언을 들었고, 국민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대표이사 사장 김종갑)이 2019년 3분기 영업이익 1조 2,392(잠정)억 원, 누적 이익 3,107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19년 3분기 결산 결과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작년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고, 3분기 누적 기준으로도 영업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전년동기 대비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다. 3분기에 영업실적이 흑자로 전환된 주요 원인은 타 계절에 비해 3분기에 상대적으로 판매단가가 상승하고 판매량이 증가했으며, 국제유가 하락 등에 따른 발전용 LNG가격 하락 등으로 발전자회사의 연료비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3분기 영업실적에 대한 주요 항목별 세부 분석내용은 ▲국제연료가격 하락 및 LNG 세제 개편(91원에서 23원/kg, 2019년 5월) 효과 등에 따른 발전용 LNG가격 하락 등으로 발전자회사의 연료비는 전년동기대비 0.5조원 감소 ▲전기판매수익은 전년동기대비 0.3조원 감소하였는데 이는 작년 하계 대비 폭염일수 감소 등의 영향(전년동기 대비 판매량 증가율: 2018년 3분기 4.8%에서 2019년 3분기 2.5% 증가) ▲원전이용률 하락은 계획예방점검 주기가 도래한 원전이 늘어났고, 과거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