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오드컨셉이 17일 국내외 출원 및 등록 특허와 상표 등 자사 지식재산이 국내를 포함한 11개국에서 106건을 넘었다고 밝혔다. 2021년 7월 기준으로 국내와 해외에 등록된 특허는 총 35건, 출원한 특허는 52건(PCT 및 각국 진입단계 등)이다. AI 기업 오드컨셉은 앞서 지난해 12월 지식재산 확보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인정받아 특허청으로부터 ‘2020 ICT특허경영대상’ 표창장을 수상한 바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지난해 발간한 ‘2020년 초연결 지능화 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관련 기업 180곳의 등록된 특허 평균은 11.9건이고, 인공지능 관련 기업 60곳으로 대상을 좁히면 등록된 특허의 평균은 16.9건이다. 오드컨셉이 보유한 지식재산의 규모와 출원 및 등록 국가 수는 커머스 AI 업계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오드컨셉은 자사의 지식재산이 사업의 고속 성장으로 직접 연결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지 내 오브젝트 검출’, ‘오브젝트 특징 정보의 추상화’, ‘양자화 및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고속/대용량 검색’ 등 지식재산이 서비스를 개선
[헬로티] ▲발란(BALAAN)이 오드컨셉 PXL을 활용해 구현한 AI 상품 추천 서비스. (출처 : 오드컨셉) 오드컨셉이 지난해 말부터 개인화 기능을 더 고도화한 픽셀(PXL)을 패션 이커머스에 본격 서비스한다고 31일 밝혔다. 현재 패션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오드컨셉의 픽셀은 상품 콘텐츠 자체를 AI로 분석해 소비자 개인이 찾는 스타일의 상품을 맞춤 추천하는 서비스다. 오드컨셉은 고도화된 서비스가 소비자 개개인이 원하는 상품을 인공지능(AI)이 대신 찾아오고, 소비자는 구매 결정만 하면 되는 ‘온라인 쇼핑시간 제로시대’를 한발 더 가까이 당겨왔다고 자평했다. 최근 커머스 시장에서는 개인화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오드컨셉은 이중 대부분이 집단 고객 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상품을 추천하거나, 집단 고객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구매를 유도하는 수준이라며, 고객별로 미세하게 다른 기호를 분석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오드컨셉의 픽셀은 2017년 출시 당시부터 개인화에 초점이 맞춰진 서비스로, 비전 AI 기술을 사용해 소비자 기호에 맞는 상품과 코디를 분석하고 추천하는 서비스를 시도했다. 오드컨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