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다인 플리어의 한국지사인 플리어시스템코리아가 FLIR Cx 시리즈 및 FLIR ONE 시리즈의 할인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플리어 소형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하면 벽에 침투하는 습기나 송풍구 또는 마감이 불량한 문 등을 통해 밖으로 새어나가는 냉기를 확인할 수 있어 여름철 주택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큰 실외기도 사전에 점검할 수 있다. 플리어시스템코리아는 비가 자주 오고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FLIR ONE Edge Pro는 스마트 기기에 무선으로 연결해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기에 클립으로 고정해 사용하는 등 손이 닿지 않는 대상을 한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 스마트 기기용 열화상 카메라는 VividIR과 FLIR MSX(Multi-Spectral Dynamic Imaging)를 결합해 어느 각도에서나 선명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해준다. FLIR ONE 시리즈는 구글플레이 및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는 ‘FLIR ONE’ 앱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앱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열화상 전문 기업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는 다나와가 2021년 1월부터 11월까지 자사 사이트에서 조회 및 판매된 열화상 카메라 브랜드의 점유율을 분석한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다나와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온라인 가격 비교 사이트 다나와에서 가장 많이 조회되고 가장 많이 판매된 열화상 카메라 브랜드는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간 중 플리어 열화상 카메라의 단순 클릭 점유율은 평균 40.67%로, 2위(8.35%)와 3위(4.18%)보다 크게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량 점유율에서도 플리어는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플리어의 월별 평균 판매량 점유율은 56.85%로서 이는 2위 브랜드의 11.11%는 물론, 조사 대상 브랜드들의 점유율을 모두 합한 것보다도 높다. 월별 판매량 점유율을 살펴보면, 1위인 플리어의 비중이 매월 최저 40%대에서 최대 72%대까지로 다른 경쟁 브랜드들을 크게 웃돌았다. 판매량 점유율이 가장 높았던 달은 10월(72.09%)과 7월(71.88%)이었다. 통상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는 전열 기기 사용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텔레다인 테크놀로지스(Teledyne Technologies)의 자회사 텔레다인 플리어(Teledyne FLIR)가 11월 10일(수)부터 12일(금)까지 개최되는 ‘빛가람 국제전력기술 엑스포(BIXPO 2021, 이하 빅스포 2021)’에 참가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서 텔레다인 플리어는 전력 발전 설비 유지 보수, 송전 및 배전 네트워크 가동 유지, 주택 및 상업 시설 전기 관련 문제 해결 등 여러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들을 위해 잠재적 문제가 막대한 손실을 일으키는 실제 문제로 번지지 않게 도움을 주는 첨단 열화상 기기를 선보일 예정이다. 텔레다인 플리어가 이번 빅스포 2021에서 전시할 제품은 고해상도로 정밀하게 배전 설비 측정에 최적화한 모델인 △T800 Series △T500 Series △T1K Series 열화상 카메라와, 한손으로 측정할 수 있는 변전 설비 측정에 최적화한 모델인 Exx Series 및 Ex Series 열화상 카메라가 있다. 또 △뛰어난 휴대성으로 가까운 거리의 간단한 발열 부위를 체크하는 Cx Series 열화상 카메라 △먼 거리에서 전기 설비의 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플루크와 플루크네트웍스가 매뉴팩처링티비에서 제1회 ‘FlukeDay 온라인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본 컨퍼런스는 오는 9월 28일 오후 1시부터 5시 30분까지 진행된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플루크와 플루크네트웍스는 다양한 측정, 테스트, 유지보수 솔루션을 소개한다. 플루크는 휴대용 클램프, 멀티미터뿐만 아니라 자동 압력 교정기와 음향(초음파)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을 산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자동화 기술은, 비용을 절감하고 상호 연결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이더넷 Layer 1 (물리 계층)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산업용 이더넷은 열악한 환경과 일반 IT 환경과 다른 독특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케이블 지식과 계측기를 사용해야만 한다. 플루크네트웍스는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산업용 이더넷 케이블의 지식과 Copper Cable 및 Fiber Cable의 기본 지식과 올바른 테스트 방법을 소개해, 산업용 이더넷 시장의 다운 타임 최소화 구현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플루크네트웍스의 문건호 한국 총괄 매니저, 한국플루크 남궁봉수 상무, 김귀희 부장, 위대용 부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초성전자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열화상 카메라,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초성전자의 열화상 카메라는 빠른 처리속도의 고해상도 VGA급 결과물을 제공하며, 소형카메라로 자동화 공정, OEM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또한 다양한 도형의 측정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측정 영역별 온도 그래프, 여러 가지 색상 팔레트를 제공한다. 주요 제품은 PI640, PI450, PI1M/05M/08M, 마이크로스코프 옵틱스 등이다. 특히 PI1M/05M/08M 시리즈는 금속 산업용 초소형 카메라로, 450~1800℃의 넓은 온도 측정이 1Khz의 빠른 속도로 가능하다. 초성전자의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계는 –50~2400℃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레이저로 측정 거리에 따른 정확한 측정부 조준을 할 수 있다. 실시간 온도 데이터를 녹화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를 통한 센서의 각종 설정값 조절이 가능하다. 주요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텔레다인 플리어(한국지사장 이해동)가 C5, Ex 시리즈 등 다수 제품에 대하여 사은품 증정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건물의 에너지 손실, 구조적 결함부터 전기·기계의 고온 조사에 특화되어 있는 콤팩트형 열화상 카메라 FLIR C5, Ex-시리즈 및 차량진단용 열화상 카메라 TG275를 구매하면 메모패드와 마스크를 무료 증정하는 이번 프로모션은 9월 30일까지 진행된다. 프로모션에 포함된 FLIR C5 열화상 카메라는 포켓사이즈의 휴대형 열화상 카메라로, 건물의 에너지 손실, 구조적인 결함, 배관 및 배수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을 신속,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FLIR Ex-시리즈 열화상 카메라는 차단기, 퓨즈, 접속부의 이상 고온 조사 및 건물의 구조물 문제점, 에너지 손실, 습기 침투, HVAC 냉난방 시스템 등을 조사하기 위한 전문 열화상 솔루션이다. 또, FLIR TG275 열화상 카메라는 차량 관련 문제를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차량 유지보수 및 정비 전문가를 위해 개발됐다. 텔레다인 플리어는 프리미엄 열화상 카메라 FLIR E96와 FLIR T56을 구매하는 고객에게도 사은품을 무료 증정하는 프로모션을 오는 10월 31일까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성우스마트랩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성우스마트랩(대표 이문용)은 SF+AW 2021에서 산업용 2D 라이다 센서 및 자동차용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선보인다. 산업용 2D 레이저스캐너(LiDAR)은 회전 미러를 이용한 레이저 송수신 장애물 감지 스캐너다. 로봇, AGV(LGV) 및 전동 지게차등에 설치하여 장비의 작업영역내 장애물 감지 안전, 보안 및 물류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고해상도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사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열에너지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 빛이 전혀 없는 야간이나 기상악조건에서도 사물 및 주변인식 가능한 센서로 살아있는 생명체 감지에 우수하다. 산업안전센서, 스마트시티, 의료기기, 자동차 나이트비전/자율주행용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성우스마트랩은 글로벌 자동차 부품회사 성우하이텍의 출자로 설립된 벤처 기업이다. 향후 자율주행 시대 및 4차 산업혁명인 스마트팩토리 시대에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트리비젼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트리비젼(대표 이상호)은 SF+AW 2021에서 고해상도 CXP 카메라_하이크로버트 카메라, 프레임 그래버와 열화상 카메라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트리비젼이 선보일 고해상도 CXP 카메라인 ‘하이크로버트 카메라’는 151메가 머신비전 카메라로, 에어리어 스캔 카메라다. 주요 특징으로 ▲SONY IMX411 Sensor(CMOS) ▲151M(14, 208 x 10, 640 pixels) ▲Cell Size : 3.76um x 3.76um/ frame rate : 6.2fps ▲M72 Mount, optical back focal length 19.55mm(0.8") ▲CoaXPress with DIN Interface ▲MV-CH1510-11XM : 120(W) x 120(H) x 84.6(D)mm ▲MV-CH1510-10XM/C : 100(W) x 100(H) x 74.3(D)mm 등을 들 수 있다. 이와함께 선보일 프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텔레다인이 콤팩트형 저전력 카메라 플랫폼인 MicroCalibir를 출시했다. 이 최신 비냉각 열화상 카메라 플랫폼은 업계 최소형 VGA IR 코어 모듈이 특징이며, MicroCalibir는 OEM 드론, 휴대형 장치, 헬멧 장착 및 차량 통합형 제품에 적합하다.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MicroCalibir는 텔레다인 달사가 자체 개발한 12μm 마이크로볼로미터 픽셀 기술을 deep-ADC ROIC 회로와 통합하여 달성한 최신 기술의 산물이다. 신형 ROIC 설계는 1000°C의 화면 내 온도 범위에서 50mK 미만의 NETD를 제공한다. 21×21mm의 크기로 매우 높은 동적 범위가 달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유형의 LWIR 이미징 장치에 대한 SWaP(Size Weight and Power) 최적화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선택이 가능한 고급 노이즈 필터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매우 낮은 30mK 미만의 NETD 수준에 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MicroCalibir 플랫폼은 정확한 하이엔드 열 성능을 제공하며 해상도, 시야 및 프레임 속도를 기반으로 UAV, 보안 및 감시, 야외 레크리에이션/개인용 비전 시스템, 소방 및 기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테스토(Testo)의 한국지사 테스토코리아(Testo Korea)는 오늘, 최고의 화질과 40mK 미만의 열감도(NETD)를 지원하는 열화상카메라 신제품 ‘testo 883’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신제품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테스토코리아는 제품 구매 이력이 없는 신규 고객이 8월 31일까지 testo 883 구매 시, 자사의 무선 온습도 측정기를 무료로 제공한다. 건축 분야에서 열화상 측정 시, 무선 온습도 측정기를 testo 883에 연결해 습도 모드 기능을 사용하면 건물 단열 성능에 대한 점검이 더욱 원활해질 뿐만 아니라,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결로가 있는 부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고객에게는 11월 30일까지 testo 883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자세한 사항은 테스토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지난 5월에 출시한 testo 883는 320x240 픽셀의 적외선 해상도를 지원하며, 카메라에 내장된 ‘SuperResolution’ 기술을 통해 이 해상도를 640x480 픽셀까지 확대할 수 있는 신개념 열화상카메라다. 테스토의 SuperResolution은 한번 측정 시 여러
[헬로티] DIY를 즐기는 일반 소비자부터 전문 기술자 및 산업 기술자에 이르기까지 열화상 카메라를 구비해두면,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사물이나 현상까지 확인할 수 있는 역량이 생긴다. 열은 숨어 있는 수/습손, 해결이 까다로운 HVAC 시스템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의사 결정을 한결 빠르게 내릴 수 있게 도와준다. 열화상 카메라를 처음 이용하는 유저는 대부분 사용하기 쉬운 FLIR ONE을 먼저 살펴본다. 휴대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FLIR ONE은 단 몇 초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며, 가끔 간단한 검사를 할 때에만 열화상 카메라가 필요한 경우, FLIR ONE Pro 또는 FLIR ONE Pro LT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하루에 여러 번, 또는 일주일에 여러 차례 정기적으로 설비 등을 열화상 기술로 검사해야 하는 경우, 전용 열화상 카메라를 투입하면 생산성 향상에 필요한 부가적인 효율성과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매하고자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결정하려면, 우선 작업에 적합한 기능을 선택해야 한다. 장시간의 배터리 수명이 가능한 ‘FLIR C3-X’ 수시로 카메라를 이용해야
[헬로티] 화재 진압 현장에서 활약하는 열화상 카메라의 모습. 이제는 결코 생소한 광경이 아니다. 열화상 카메라가 SCBA 장비의 가격을 웃돌던 때도 있을 만큼 기술의 보급이 미흡한 시절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경제적인 가격에 편의성(피스톨 그립 형태의 간편한 사용법)과 강력한 성능으로 무장한 열화상 카메라가 많이 활용되는 추세다. 자욱한 연기를 뚫고 사물을 식별하고, 신속하게 피해자를 수색하고 핫 스팟을 정확히 찾아낼 수 있는 역량 등을 제공하는 열화상 카메라는 능동적인 화재 진압 작전과 수동적인 소방 작전 모두에 필수적인 역할을 해내고 있다. 열화상 카메라는 성능과 기능이 천차만별이다. 상황 인식용 열화상 카메라를 선택할지, 전술용 열화상 카메라를 선택할지는 사람의 생사를 좌우할 수 있는 결정이기 때문에, 반드시 자신의 용도에 알맞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황 인식용 열화상 카메라 공격조 소속으로 탐색, 수색 및 구조 작전에 투입되어, 화재 진압 시에 실제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서 활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황 인식용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해야 한다. 이는 가시성이 좋지 않고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생명선을 놓치
[헬로티] ▲지능형 열화상엔진모듈 퀀텀레드 (출처 :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이 열화상 카메라 관련 글로벌 민수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지능형 열화상 엔진 모듈 ‘퀀텀레드(QUANTUM RED)’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퀀텀레드는 열화상 카메라의 핵심 구성품으로 광학계·검출기·신호처리 모듈로 구성된 지능형 열화상 엔진 모듈이다. 한화시스템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에 적외선 영상신호 처리 기술을 탑재하는 데 성공했다. 시스템온칩(SoC)란 여러 가지 반도체 부품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기술을 말한다. 이를 통해 퀀텀레드는 기존의 열화상 엔진 모듈보다 소형·경량화되면서 고화질 열화상 신호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변경 없이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화질·온도 측정 범위 등 카메라 세부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어 감시용·온도 측정용·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의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타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TRSM(Temperature Reference Source Module)기술을 2020
[헬로티] 플리어시스템(FLIR Systems)은 첨단 열화상 카메라 시리즈인 Exx-시리즈에 새로운 카메라 4종(E96, E86, E76, E54)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출처 : 플리어시스템 플리어시스템은 Exx-시리즈에 새롭게 추가되는 카메라 4종은 기존 제품들에 비해 생생하고 읽기 쉬운 이미지를 제공하고 현장 검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층 향상된 열화상 해상도와 카메라 라우팅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새로운 Exx-시리즈 카메라는 건축물에 발생한 각종 문제의 초기 징후를 감지하고, 핫 스팟 식별, 전기 및 기계 시스템 문제 해결 등을 통해 막대한 비용과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결함이 발생하기 전에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640x480에 달하는 해상도와 8배 디지털 줌을 갖춰 시중 Exx- 시리즈 열화상 카메라 중 최신 기술을 갖추고 있다. 또한, 목표 대상을 상당히 먼 거리에서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성능이 향상돼, 온도가 최대 섭씨 1500도까지 상승하는 제철소나 용광로와 같은 열악한 산업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기적 결함을 안전하게 진단하거나 숨겨진 이상 현상을 찾아냄으로써 작업장을 원활하게 운영할
[헬로티] 열화상 카메라 소개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 대역의 열에너지를 측정하여 온도 데이터로 변환하고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시화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개념의 카메라보다는 열에너지를 계측하는 계측 장비에 가까운 장비이다. 열에너지를 측정하는 파장 대역에 따라 장파(7.5μm~14μm), 중파(3μm ~5μm), 단파(0.7μm ~2.0μm) 카메라로 구분하며, 사용하는 파장 대역에 따라 투과 및 방사율의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열화상 카메라 기술 열화상 카메라는 복사열 물리학을 기반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복사 에너지의 교환 형태는 방사(ε), 흡수(α), 반사(ρ), 투과(τ)로 이루어지며 열에너지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입사 복사, 방출 복사로 구분을 할 수 있다. 입사 복사는 열원의 관점이며, 방출 복사는 타깃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즉 열화상 카메라의 관점으로 간주한다. 그림 1. 열에너지를 측정하는 파장 대역 (출처: Infrared Training Center) 열화상 카메라는 바라보는 관점인 방출 복사의 원리에 영향을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