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오라클과 인사 연구 및 자문 회사인 워크플레이스 인텔리전스가 최신 연구를 통해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 근로자들의 외로움과 단절감이 크게 늘어났으며, 경력개발을 위한 인공지능(AI) 활용 의지가 높아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한국을 포함 전 세계 주요 13개 국가에서 1만4600명 이상의 인사담당자 및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 ’업무환경과 AI(AI@WORK)’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 사람들이 개인의 삶과 경력이 정체돼 있다고 느끼면서도, 다시 삶의 주도권을 되찾아 미래를 준비할 자세가 돼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한국 근로자의 경우 이번 조사에서 팬데믹 이후 삶의 주도권을 완전히 잃어버렸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증가 비율이 높지는 않았으나, 지난 한 해 개인의 삶이 정체돼 답답함을 느낀다고 응답한 경우는 81%로 매우 높았다. 또한, 향후 미래를 결정하는 데 있어 기술의 도움을 받기를 원하는 비율과 경력개발에 사람 보다 AI를 활용하겠다는 응답도 글로벌 평균을 웃돌며 기술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다. 동시에, 향후 기업 내에서 직원의 경력개발에 대한 지원이 더 많아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다수의 응
[헬로티] 틸론은 혁신 전략 및 신제품 개발 전략을 발표하는 'DAVID Day 2021'을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출처 : 틸론 이번 행사는 '디지털 뉴딜과 클라우드 대전환, DaaS 기반 스마트 업무환경 구현 전략'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틸론은 국내 최초의 VDI 솔루션인 'Dstation'의 차세대 버전인 'Dstation 9.0'과 국내 최초의 DaaS 플랫폼, 'Dcanvas 2.0' 그리고 국내 두 번째 개방형 구름OS인 ‘K구름 1.0’을 최초 공개했다. 특히, 틸론은 이번 행사를 통해 공공 클라우드 센터 및 행정망 디지털 전환의 핵심요소인 '제로 어플라이언스'를 발표함과 동시에 단말기 제조사, OS 개발사와 틸론 VDI를 조합한 '삼위일체'를 전시 부스로 구성해 고객에게 제안했다. 전시부스에는 LG전자 등 9개 단말기 제조사 및 한글과컴퓨터, 티맥스OS 등 개방형 OS 개발사가 참여했다. 이번 행사에서 틸론은 VDI/DaaS 클라이언트인 '링커(Linker)'의 차기 버전도 공개했다. 새롭게 공개된 링커는 사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해 체계화된 메뉴 구성으로 시각적으로도 깔끔해진 것이 특징이다. 윤주열 틸론 연구소장은
[헬로티] 미래 혁신 기업 모델로서의 ‘인텔리전트 엔터프라이즈’ 및 이를 실현할 아키텍처 제시 티맥스가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대응해 미래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실현하는 최적의 전략과 솔루션을 제시했다. ▲미래 기업 모델인 ‘인텔리전트 엔터프라이즈’와 이를 위해 티맥스가 제시하는 아키텍처 티맥스 3사(티맥스소프트, 티맥스데이터, 티맥스A&C)는 9일인 오늘 개최된 '티맥스데이 2020'에서 ‘상상이 현실이 되다 : A&C(AI&Collaboration) SaaS’라는 슬로건으로 AI와 인간이 협업하는 혁신 업무 환경을 위한 AI∙콜라보레이션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및 제품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티맥스데이 2020은 12월 9일, 10일 양일에 걸쳐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총 만 명 이상의 신청자가 사전 등록했다. 첫 날인 9일에는 AI∙콜라보레이션 혁신을 위한 방법론 및 플랫폼을 다뤘다. 이어 10일에는 해당 전략이 실제로 구현된 AI와 협업 기반 SaaS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날 티맥스는 진정한 클라우드 서비스 파트너로서 미래 기업이 나아가야 할 모델
[헬로티] 슈나이더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김경록) 한국지사가 서울 강서구 마곡동으로 이전하며 본격적인 스마트 오피스 시대를 열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미래의 사무실 (Workplace of the Future)’ 개념을 도입하고, 새로운 일터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개인 사무실과 지정 좌석을 없애고 사무실 전체에 모바일 데스크를 도입했다. ▲ 슈나이더일렉트릭 코라아가 마곡으로 사무실을 이전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 제공) 앞으로 슈나이더일렉트릭 코리아 임직원들은 소속이나 직책 구분 없이 출근하는 순서대로 원하는 자리에서 근무하게 된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유형별로 5개의 업무공간을 구분해 유연하고 생산성 높은 업무환경을 제공한다. ▲다수의 직원이 테이블을 공유하는 공용 업무 공간 (Workstations) ▲독립 업무 공간 (Separated Working) ▲혼자 집중을 요하는 업무에 필요한 환경이 조성된 집중 업무 공간 (Focus Booth) ▲휴식과 네트워킹을 위한 복합 기능 공간인 카페테리아 공간(Grand Cafeteria Area) ▲화상 컨퍼런스 시스템과 무선 프로젝터 등을 설치한 다양한 형태의 회의실 (Meeting Room
[첨단 헬로티]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스마트 워크를 선도하는 한국남부발전(주)(이하 ‘남부발전’)이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가상단말 환경 구축에 이어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을 통해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했다. 제4차 산업혁명의 기반 기술로 손꼽히는 ‘클라우드 기술’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시간·공간적 제약 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남부발전은 지난 2015년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도입으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여 자료유출을 막고, 정보 접근의 효율을 높여 스마트한 업무환경 조성에 앞장서 왔다. 올해는 행정안전부가 권고하는 ‘행정기관 클라우드 업무환경 도입가이드’에 따라 기술적용 범위를 모바일로 확대, 유연근무나 출장 시에도 단절 없는 업무수행으로 업무연속성과 생산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이번에 구축된 모바일 클라우드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의 편집과 더불어 전자결재, 메신저 등 기존 업무시스템 접속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대외 출장이 많거나, 육아 문제 등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