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뉴랜드(Newland) AIDC는 뉴랜드(Newland) 그룹의 일원으로서 AIDC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Top5에 속하는 회사다. Newland Korea는 2016년 8월 한국에 설립되었으며 한국시장의 수많은 고객들에게 가성비 뛰어난 솔루션을 공급하는 명실상부한 선도적 AIDC회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Q. 2021년을 돌아봤을 때 주요 성과와 아쉬웠던 점을 꼽는다면 무엇이 있나? A. 이미 2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의 엄혹한 상황 가운데서도 뉴랜드와 파트너사들은 합심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전년대비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 내고 있다. 다만, 세계적인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과 가격상승으로 인해 제품 인도기간의 불안정이 있었지만, 치밀한 원자재 수급계획과 신속한 대체 원자재 발굴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러한 각고의 노력으로 특히 무선 스캐너 제품의 수급에 있어 여타 경쟁사에 비해 훨씬 안정적인 제품 수급을 가능하게 하였다. Q. 뉴랜드는 인더스트리 4.0, 스마트제조의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나? A. 4차 산업시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산업지식인은 실무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자세하게 답변해주는 코너입니다. 산업지식인에는 MTV 웨비나에서 발표자와 질문자가 주고받았던 질의응답을 한 데 모아봤습니다. 크레아폼은 지난해 7월 광학식 레이저 3D스캐너 제품군인 MetraSCAN 3D의 최신 버전인 MetraSCAN BLACK을 출시한 바 있는데요. MetraSCAN BLACK은 빠른 스캔 속도와 높은 정확도를 앞세워 산업군과 사용자로부터 높은 호응을 받았습니다. 이에 '새로운 MetraSCAN BLACK과 C-Track의 특징 및 정확한 사용 방법'이라는 주제로 개최된 웨비나에서는 MetraSCAN BLACK 및 C-Track의 특징과 사용법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다뤘습니다. Q : 스캔 데이터에 대한 활용 범위가 궁금하다. A : 기본적인 스캔 결과물은 메쉬 파일(*.stl)이기에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형식이다. 이 파일을 측정 소프트웨어에서 불러와서 치수 측정 시 사용하거나, 메쉬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3D프린팅을 위해 편집할 수 있다. CAD소프트웨어에서 이 메쉬파일을 불러오면 형상을 볼 수는 있지만 편집에 제한이 있다. 이 메쉬파일을 역설계 소프트웨어로 불러와 역설계 작업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엔셀(대표 임용일)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엔셀은 SF+AW 2021에서 아톰뉴런스, ScQMS, 엔셀 MES 제품 등을 전시한다. 아톰뉴런스 AI에 탑재된 OCR기능은 자사의 딥러닝 기술로 개발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인쇄체, 필기체, 문서의 종류에 관계없이 문자를 추출, 고객의 요청에 맞게 수집, 가공 및 저장이 가능하다. 스캐너, 바코드 리더기 등 고객사가 보유중인 기존 시스템과 데이터를 함께 결합해 확장이 가능하다. 수작업에 의한 오류방지, 투명성, 안정성, 신속성, 정확성을 높여 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제공한다. AtomNeurons AI Vision은 이미지 촬영부터 Defect 검출, 불량판별 등 자동화가 가능한 AI 머신비전 솔루션으로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Segmentation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Wafer, PCB의 패턴검사를 바탕으로 개발된 AtomNeurons AI Vision은 적용 범위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는 산업용 센서 솔루션 업체 시크(SICK)와 협력해 자사의 소프트웨어 설정 가능 디지털 입출력 제품으로 microScan3 Core I/O 라이다 기반 안전 레이저 스캐너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맥심 제품을 기반으로 업계 최소형 디자인을 구현하게 된 시크는 고성능을 필요로 하지만 장착 공간이 협소한 기계 및 차량에 새로운 nanoScan3 안전 레이저 스캐너의 활용도를 높였다. 양사는 MAX14914 소프트웨어 설정 가능 디지털 입출력 제품과 MAX22191 기생전원 공급 디지털 입력을 결합하고, 다른 맥심 IC의 조합으로 여러 개별 부품을 교체해 새로운 스캐너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됐다. MAX14914로 시스템 설계자는 6개의 개별 구성 요소와 주변 장치를 하나의 IC로 통합할 수 있으며 MAX22191로 크기를 줄였다. 이로써 새로운 nanoScan3는 기존 microScan3 Core I/O 대비 크기를 두 배 줄일 수 있게 된다. 양사는 nanoScan3의 전체 높이가 8cm에 불과함을 감안하면 혁신적인 발전이라고 전했다. 이런 맥심의 디지털 입출력과 전력 솔루션 기술의
[헬로티] 바올테크는 25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되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 참가해 물류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바올테크 전경 (출처 : 함수미 기자) 바올테크는 2000년에 설립된 자동인식 전문업체다. 바올테크는 물류와 유통에 이르는 바코드 스캐너와 프린터, 머신비전, RFID 등을 이용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바올테크의 TRUE VD 솔루션은 머신 비전 분야에 활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 기술이다. 제조, 물류산업 현장에서 이미지 분석 및 검사에 적합하다. 적용 가능한 딥러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감독 모드 및 자율 모드의 반복 학습을 진행한다. TRUE MES/POP(생산화정보화시스템)는 생산 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생산 공정을 제어·감시하며 상위 시스템(ERP) 또는 상호 시스템과 연동해 제조·물류 라인의 생산성 향상 및 품질향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TRUE_BIVS (출처 : 함수미 기자) 바올테크가 이번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선보인 TRUE_BIVS 1.0은 물류의 체적 산출과 이미지 정보 취득을 동시에 구현하는 체적 및 이미지 관리 시스템이다. 컨베이어에서 이송 중인 제품의 바
[헬로티] 데이터로직은 2MP 센서를 갖춘 이미지 기반 바코드 스캐너 Matrix™ 320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타이어 이력관리 솔루션, STS320™ 제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출처 : 데이터로직 이번 솔루션에는 ▲우수한 판독 성능 ▲설치 및 유지보수 편의성 ▲실시간 모니터링 ▲산업용으로 설계된 제품 견고성 기능 등이 있다고 전했다. 데이터로직에 따르면 STS320은 99.9% 이상의 우수한 판독 성능을 가지고, 큰 사이즈의 컨베이어(최대 1250mm/49’’) 위에 고해상도(10mils)의 바코드 판독이 가능한 FoV(Field of View) 및 DoF(Depth of Field) 기능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1.5m/s의 고속으로 움직이는 컨베이어에 작업자가 타이어를 로드(load)할 때, 데이터로직의 특허 PackTrack™ 소프트웨어를 통해 타이어들 사이의 최소 이격거리(100mm)만으로 판독이 가능하므로, 타이어 제조사인 고객들은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TS320은 사전 조립 및 구성을 완료해 출고되므로, 현장에서 T-Bolt 하나만 조이면 간단하게 설치 및 사용이
[헬로티] ISRA의 독보적인 3D 기술, 싸이로드가 지원 완벽하고 높은 정확도, 따라올 수 없는 빠른 속도, 최상의 유연성 제공 새로운 컴팩트 X-GAGE3D는 빠르고 정밀한 3D 측정과 부품 디지털화를 위한 올인원 센서이다. 거치식 및 로봇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부문 모두에 적합하다. X-GAGE3D는 고해상도 카메라와 고정밀 광학 시스템, 임베디드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가장 어려운 애플리케이션 분야인 광택이 나는 물체에서도 100% 대상품 모니터링을 위한 이상적인 솔루션으로 구현한다. 빠른 CAD 비교 또는 종합적인 분석 ISO 적합성을 사용해 결함있는 부품을 신로할 수 있게 객관적으로 식별하여 제거한다. 다수의 스캔 결과를 결합하여 하나의 완벽한 CAD 모델로 만들고 대형 물체를 디지털화할 수 있다. ISRA의 Touch&Automate 기술 컨셉의 일부로써 시스템은 전문지식 없이도 빠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다. X-GAGE3D, 차세대 멀티 스테레오 3D 스캐너 새로운 컴팩트한 X-GAGE3D는 빠른 3D 측정이 필요한 많은 응용분야를 위한 올인원 스캐너이다.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높은 수준의 까다로운 작업을 위해 개발되었다. 단 하나의 센서
[헬로티] 데이터로직은 산업용 이미지 기반 스캐너 AV900을 출시하면서 3PL, CEP, 전자상거래 등 물류 이력관리를 위한 솔루션 제공 강자의 위치를 더욱 굳건히 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기반 스캐너 AV900(출처 : 데이터로직) 데이터로직은 크게 4가지 산업 분야(제조, 유통, 물류, 헬스케어)를 축으로 산업용/유통 바코드 스캐너, 모바일 컴퓨터, 비전, 레이저 마킹, 그리고 센서를 생산 및 설계한다. AV900은 ▲확장된 FoV(Field of View)로 시스템 효율성 향상 및 비용 절감 효과 ▲데이터로직의 특허인 PackTrack™ 기능으로 물류 처리량 증대 ▲강화된 알고리즘을 통한 높은 인식률 ▲3가지 포커스 모드로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적합한 모드 설정 등의 기능이 탑재됐다. 데이터로직에 따르면 AV900은 업계 유일한 9MP 고해상도 CMOS 센서가 탑재된 이미지 기반 산업용 바코드 스캐너이며, 5MP AV500과 비교해볼 때 약 33% 더 확장된 FoV를 커버하기에 비용 절감과 유지 보수 측면에서 쉽다고 밝혔다. ▲PackTrack™(출처 : 데이터로직) 또한 PackTrack™소프트웨어 솔루션은 작
[첨단 헬로티] 코로나19의 심각성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국내외 기업은 병원, 창고, 매장, 이동 경로 등지에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현장 직원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해법 찾기에 나섰다. ▲지브라는 디바이스 현장 설치 후 효과적인 청결 관리 및 소독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고객과 파트너에게 제공하고 있다. 엔터프라이즈 엣지 혁신기업 지브라는 교대 근무 과정에서 여러 작업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의 청결을 1순위로 고려해 제품을 설계하고 현장 설치 후 가장 효과적인 청결 관리 및 소독 방법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고객과 파트너에게 제공하고 있다. 지브라는 제품의 청결 관리 방법을 고지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디바이스의 청소 방법과 청소 시 사용하는 물품에 대한 지침이 각 디바이스마다 다르며, 모든 디바이스에 통용되는 지침이 없다는 점을 명시했다. 이에 지브라는 의료용 지브라 스캐너, 프린터 및 모바일 컴퓨터의 소독 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지침을 자사 홈페이지에 안내 링크로 게재했다. 지브라 비의료 모델 제품의 경우, 웹사이트의 지원 섹션에서 사용 중인 정확한 모델의 사용자 안내서를 찾아 해당 안내서의 청소 지침 섹션으로
[첨단 헬로티] 필요한 기능만 탑재한 합리적인 1D 바코드 스캐너...33g 초경량 디자인, 자유로운 양손 작업 구현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솔루션 전문 기업 어드밴텍케이알(대표이사 정준교)은 국내 물류 및 제조 생산 관리에 특화된 웨어러블 무선 바코드 링 스캐너 ‘LEO-W’를 출시했다고 9일 발표했다. 어드밴텍케이알에 따르면, 무게 33g의 초경량 디자인을 자랑하는 LEO-W는 링 형태의 벨트에 검지 손가락을 걸고 엄지 손가락으로 물리적 스캔 버튼을 누르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품 무게에 대한 피로도나 크기에 대한 부담 없이 완벽하게 양손이 자유로운 바코드 스캐닝 작업이 가능해진다. 해당 바코드 스캐너는 사용자 편의를 최대화 한 것이 장점이다. 바코드 스캔 모듈은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오른손과 왼손 사용 모두를 지원한다. 또한 별도의 전용 충전기 없이 마그네틱 USB 케이블로 언제 어디서나 어댑터 또는 호스트 PC를 통해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배터리 사용 시간은 최대 8시간(6,000회 스캔 기준)으로 일반적인 교대 근무에 적합하다.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 기술로 LEO-W는 다양한 장치와 손쉽게 연결되어
[첨단 헬로티]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연례 보고서 ‘제 12회 글로벌 쇼핑객 비전 연구’ 발표 엔터프라이즈 엣지 혁신기업 지브라 테크놀로지스(Zebra Technologies)가 제 12회 연례 ‘2020년 아태지역 쇼핑객 연구(2020 APAC Shopper Study)’ 보고서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쇼핑객, 유통 업체 관계자, 유통 업계 경영진들의 태도 및 행동을 분석했다. 또한, 유통업계 유일의 시장 동향 보고서로, 유통 및 기술 트렌드가 쇼핑객의 구매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했다. 해당 조사에 참여한 밀레니얼 세대 쇼핑객의 86%와 X세대 쇼핑객의 절반 이상(56%)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쇼핑을 하지만 정작 구매는 온라인에서 한다고 답한 반면, 베이비붐 세대는 25%에 그쳤다. 쇼핑객들이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품절인 것으로 나타났다. 쇼핑은 고객이 매장에 들어가기 전부터 시작된다. 고객은 온라인에서 확인한 상품의 재고가 오프라인 매장에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전자상거래가 제공하지 못하는 ‘즉각적인 만족감’을 얻기를 바란다. 그러나, 오프라인 매장에
[첨단 헬로티] 글로벌 머신비전 카메라 시장이 오는 2025년까지 매년 9%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기관인 리서치앤마켓(researchandmarkets)의 발표에 따르면, 모든 산업은 보다 효율적인 운영 및 프로세스를 위해 고급 기술을 채택하여 자동화로 이동하고 있다. 제조 산업은 품질 보증을 위해 수십 년 동안 카메라를 사용해 왔지만 AI와 함께 발전함에 따라 검사, 측정 및 현미경으로 응용 범위가 넓어졌다. 산업 전반에 걸쳐 첨단 기술의 구현이 증가함에 따라 머신비전 카메라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머신비전 기술은 이미지 내 객체에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화, 로봇 공학, 농업용 드론 및 3D 모델링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왜곡없이 더 자세하고 정확한 객체 그림을 제공한다. 이러한 머신비전 및 이미지 인식을 통해 실시간 교통량 체크는 물론, 큰 관심을 기울여 제어실 작업 자동화 및 상황에 대한 예방 개입이 가능해졌다. 최근 이러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머신비전 카메라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크게 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머신비전 시스템 공급업체인 코그넥스(Cognex)의 매출은 8억 9000
[첨단 헬로티] IDS글로벌과 유앤아이씨와 함께 한걸음씩 시장 개척해 나갈 것 ▲ 한국하니웰 박지훈 이사 한국하니웰이 새로운 신제품을 무기로 국내 AIDC 시장에서의 입지 변화를 꾀하고 있다. 최근 선보이고 있는 신제품들은 경쟁사들의 제품과 비교해 가성비와 확실한 성능 차별화에 방점을 찍고 있다. 한국하니웰 박지훈 이사는 이를 기반으로 IDS글로벌과 지난해 합류한 유앤아이씨와 함께 한걸음씩 시장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초 출시된 HF 800 산업용 스캐너 한국하니웰이 고정식 2D 산업용 리더인 'HF800'을 출시하고 본격적으로 이 시장 공략에 나선다. 하니웰의 경쟁 제품은 데이터로직의 Matrix 210, 코그넥스의 DM150과 같은 엔트리급 제품들이다. HF800 이후 업그레이드된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 예정에 있다. HF800은 뛰어난 바코드 읽기 성능을 갖추고 있다. HF800은 라벨에 인쇄된 바코드와 가장 읽기 어려운 직접마킹(DPM) 코드를 포함한 1차원 바코드와 2차원 바코드를 해독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한국하니웰 박지훈 이사에 따르면, HF800의 특징은 크게 5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우선, 강력한 DPM 해독능력이다. 50만화
[첨단 헬로티] 한국하니웰이 고정식 2D 산업용 리더인 'HF800'을 출시하고 본격적으로 이 시장 공략에 나선다. 하니웰의 경쟁 제품은 데이터로직의 Matrix 210, 코그넥스의 DM150과 같은 엔트리급 제품들이다. HF800 이후 업그레이드된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 예정에 있다. HF800은 뛰어난 바코드 읽기 성능을 갖추고 있다. HF800은 라벨에 인쇄된 바코드와 가장 읽기 어려운 직접마킹(DPM) 코드를 포함한 1차원 바코드와 2차원 바코드를 해독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한국하니웰 박지훈 이사에 따르면, HF800의 특징은 크게 5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우선, 강력한 DPM 해독능력이다. 50만화소의 해상도, 초당 60fps의 이미지 센서, 적색 LED 광원 내장, 직접마킹에 대해 강력한 해독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열악하고 복잡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컴팩트한 사이즈로 좁은 산업환경에 적용할수 있으며, IP65 보호등급으로 다양한 산업환경에 대응할 수 있다. 간편하고 빠른 설정방식 또한 장점이다. 설정 소프트웨어인 DataMax를 구비하고 설비와 소프트웨어에서 강력한 AutoLearn 자기학습 기능이 있다. 원버튼으로 이미지 설
[첨단 헬로티] 제로페이 사업 수주로 뉴랜드 브랜드 제고에 큰 힘 국내외 공급업체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국내 AIDC 시장에 뉴랜드코리아가 본격적으로 뛰어든지도 4년이 되어간다. 여러 편견 속에서도 성능과 가성비를 통해 꿋꿋하게 이 시장에서 포지셔닝을 해오고 있다. 작년 제로페이 단말기 사업의 수주는 가장 커다란 성과였다. 좋은 파트너의 경쟁력과 함께 가성비 좋은 제품을 통한 성과라고 볼 수 있다. 국내 시장에서 자리잡아가고 있는 뉴랜드코리아를 이끌고 있는 성태호 지사장을 만나 작년을 리뷰해보고, 올해 어떤 전략을 갖고 있는지 들어봤다. ▲ 뉴랜드코리아 성태호 지사장 Q. 국내 AIDC 시장도 다사다난했던 2019년도를 보냈습니다. 뉴랜드코리아의 2019년을 정리해주신다면 A. 2019년도의 국내 경제상황은 어느때 보다도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뉴랜드는 어려운 경제환경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여 왔습니다. 특히, 두드러진 것은 총판사인 유니정보를 통해 제로페이 단말기 사업이 뉴랜드 제품(HR21)으로 낙찰되었다는 것입니다. 공공부문 프로젝트에 당당히 입문함으로써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뉴랜드가 본격적으로 시장의 신뢰를 받기 시작하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