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비앤피이노베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스마트 안전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 가스 센서, 실내 위험 감지 Tag 등 산업 안전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비앤피이노베이션은 비대면 스마트 작업/안전관리/원격지원 솔루션인 ‘SmartSee Safety Cloud’를 개발 판매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형태로 스마트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안전모, 스마트글래스 등 다양한 단말과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스마트 안전조끼는 스마트 안전모의 무게 문제, 스마트 글래스의 안경 착용 문제 그리고 웨어러블 카메라의 케이블 처리 및 본체 고정불가 문제 등의 기존 웨어러블 카메라 솔루션의 착용의 문제점을 안전조끼에 분산 모듈을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작업자가 장시간 착용 및 활동성에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스마트 안전 장비들이 단순 영상녹화 및 실시간 영상 전송 기능만을 제공하는데 스마트 안전조끼 솔루션은 각종 IoT 센서를 통하여 사고 예방 기능 강화 및 안전 모니터링 그리고 실시간 사고 발생 알림 기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비앤피이노베이션의 SmartSee Cloud 솔루션은 강력한 산업 재해 예방, 실시간 모니터링 및 사고 알림과 현장 영상 공유 및 그룹 통화를 통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고의 정확한 원인과 안전 관리의 법적인 증거 자료를 제공한다. 현재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형태로 스마트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안전모, 스마트글래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서비스가 제공된다. ‘2021년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 전시회를 앞두고 비앤피이노베이션 이승준 대표에게 전시회 출전의 의미와 앞으로 계획을 들어봤다. Q. 주력사업은. A. 비앤피이노베이션은 비대면 스마트 작업·안전관리·원격지원 솔루션인 ‘SmartSee Safety Cloud’를 개발, 판매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형태로 스마트조끼, 스마트워치, 스마트안전모, 스마트글래스,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VoIP Core 미디어엔진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조끼는 기존 웨어러블 제품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제
[첨단 헬로티] IDTechEx의 해당 주제에 대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웨어러블 기술 제품의 가치는 500억 달러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웨어러블 기술 제품의 전체 시장 규모는 2014년 이후 두 배로 증가했으며, 지난 5년간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가장 꾸준히 성공한 시장 중 하나다.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그러나 2019년에는 헤드라인 빈도가 감소하고, 투자는 더욱 집중되는 한편, 웨어러블 제품에 대한 과대광고는 사라졌다. IDTechEx의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종합 연구는 지난 수년간 이 부문의 발전 성과 및 향후 10년간의 상황 변화를 예측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 5년간 스마트 워치, 지속적 포도당 모니터링 장치(CGM), 보청기, 헤드폰 및 AR, VR 및 MR을 포함한 여러 주요 제품 유형의 성장 과정을 설명한다. 이 보고서는 이들 각 부문을 면밀히 살펴보고, 모든 주요 업체, 기술 및 각 제품 영역의 현재 테마에 대한 평가 및 시장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 스킨 패치에서부터 전자 섬유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의류, 신발, 반지, 헤드밴드 등의 새로운 형태의 기타 폼팩터에 이르는 다양한 신형 웨
[첨단 헬로티] 소형 광학 센서, 손목밴드, 스마트워치, 기타 모바일 액세서리에서 24시간/7일 내내 심박, 혈압 및 ECG 측정 가능 고성능 센서 솔루션 선도기업인 ams는 의료장비 수준1의 정확도로 혈압 측정 기능을 수행하는 연속적인 심혈관 헬스 모니터링용 광학 센서 신제품 AS7026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ams의 비바비타(VivaVita™) 액세서리 설계에 될 경우 이 센서는 빠른 출시일정이 요구되는 고객들에게 턴키 솔루션을 제공하며, iOS 및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체제(OS) 모두에 풍부한 기능의 모바일 앱과 함께 공급된다. ▲ams는 의료장비 수준1의 정확도로 혈압 측정 기능을 수행하는 AS7026을 출시한다. AS7026은 피트니스 모니터링 손목밴드나 스마트 워치 같은 컨수머 기기에 내장돼 연속적인 심박수(heart rate measurement, HRM), 심박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혈압, ECG(electrocardiography) 측정 기능을 수행한다. AS7026은 첨단 광학 반도체 기술과 정교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조합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 폼팩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측정 정확도를
[첨단 헬로티] 세계적인 LED 에피택셜 웨이퍼 및 칩 제조업체인 Sanan Optoelectronics는 TV, 디지털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증강/가상 현실(AR/VR) 고글, 게임용 노트북 제조사 등 여러 패널 제조사가 CES 2019에서 자사의 최신 미니 LED 및 첨단 마이크로 LED 칩을 사용한 신제품을 공개했다고 발표했다. 2017년 CES에서 이 기술을 선보인 이래로 Sanan은 RGB 미니 LED를 대규모 양산하며 업계를 선도해왔고, 마이크로 LED의 R&D 발전 및 생산 용량 확보에 적극 투자함으로써 자사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해왔다. 미니 LED 기술의 성숙도를 고려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들은 극장 화면은 물론, 자동차용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소비자 애플리케이션 제품 등 각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100~200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컴팩트한 장점을 지닌 미니 LED는 로컬 디밍 기능의 고밀도 백라이트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노치 및 곡선 폼 팩터와 같은 맞춤형 기능을 탑재한 초박형의 초소형 제품 설계를 가능케 한다. 이 디스플레이 기술은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비해 초 고휘도
[첨단 헬로티] 스마트워치, 2019년 전체 웨어러블 디바이스 출하량 중 가장 큰 비중 차지 할 것 … 기업 간 경쟁으로 전반적인 평균판매단가 하락 예상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가 2019년 웨어러블 디바이스 판매량 전망을 발표했다. 가트너에 따르면, 2019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출하량은 2018년보다 25.8% 증가한 2억 2,500만 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가트너는 2019년 최종 사용자들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지출 금액이 4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으며, 그 중 162억 달러는 스마트워치에 지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트너의 선임 디렉터인 알란 안틴(Alan Antin)은 “현재 스마트워치 시장은 애플워치의 비교적 안정적이고 높은 평균판매단가(ASP)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치의 전반적인 평균판매단가는 2018년 221.99달러에서 2022년에는 210달러로 서서히 감소할 것"이라며, "애플과 전통적인 시계 브랜드 등 강력한 브랜드들은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하지만, 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경쟁 업체들이 등장하고 대량 생산을 통해 제조 및 부품 비용을 낮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첨단 헬로티] 애플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이 가능한 신형 스마트워치를 선보일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아이폰 없이 스마트워치 자체적으로 많은 일들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블룸버그통신이 내부사정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애플이 제공하는 스마트워치 제품인 애플워치는 무선에 연결되려면 아이폰과 연결되어야 한다. 올해말 선보일 것으로 보이는 신형 애플워치는 LTE 칩을 탑재, 아이폰없이도 앱을 사용하고 음악을 내려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새 애플워치에 쓰일 LTE 모뎀은 인텔이 공급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몇년간 애플 모바일 기기에 부품을 공급하려고 애써온 인텔 입장에선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애플이 판매하는 모바일 기기의 핵심 모뎀 공급 업체는 퀄컴이다. 그러나 양사는 최근들어 법적 분쟁에 휩싸이는 등 사이가 예전에 비해 악화됐다.
[첨단 헬로티] 디스플레이 산업의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자리 잡은 중소형 OLED 시장이 2017년 연간 출하량 5억 개 시대를 맞이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은 오는 7월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사파이어홀에서 '중.소형 OLED를 위한 제조공정 및 부품/재료 개발 기술 세미나'를 개최 한다고 밝혔다. 중소형 OLED는 뛰어난 색재현력과 우수한 소비전력,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들로 인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써 가장 각광 받고 있다. 최근 애플이 아이폰 차기 모델에 OLED를 적용하기로 결정하면서 OLED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국내업체들 뿐만 아니라 중국 업체들의 OLED 증설이 가속화 되어 장비 및 재료업체들의 호황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어지고 있다. 이는 중소형 OLED 시장이 기존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모바일 제품을 중심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유지하는 동시에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차량용 모니터 등 새로운 시장까지 제품 영역을 넓히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한 결과로써,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은 중소형 OLED 시장 규모가 최근 5년 동안 연
몽블랑(Montblanc)이 안드로이드 웨어 2.0(Android Wear™ 2.0)을 탑재한 스마트워치, 몽블랑 서밋 컬렉션(Montblanc Summit Collection)을 17일 공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몽블랑 서밋에 탑재된 안드로이드 웨어 2.0은 구글 스마트워치 OS로 아이폰, 아이패드 등 iOS 기기 사용자도 알림과 같은 연동 기능을 넘어 안드로이드 웨어용 앱을 따로 내려받아 독자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몽블랑 서밋 안드로이드 웨어 2.0 환경에서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있는 수천 개의 앱에 접근할 수 있으며, 내장된 구글 인공지능 서비스 ‘구글 어시스턴트’에 탑재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해 다양한 정보 검색 및 번역, 음성 명령을 통한 이메일 회신까지도 가능하다. 몽블랑 서밋은 퀄컴 스냅드래곤 웨어 2100 (Qualcomm® Snapdragon™ Wear 2100)프로세서가 탑재됐다. 심박수 및 활동량 측정이 가능한 센서도 장착돼 다양한 피트니스와 건강 관련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운동량 측정 앱인 런타스틱(Runtastic) 프리미엄 서비스를 3개월간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이 외에도 나
[사진=LG전자] [헬로티] LG전자가 안드로이드 웨어 2.0을 탑재한 차세대 스마트워치 ‘LG 워치 스포츠(LG Watch Sport LTE)’와 ‘LG 워치 스타일(LG Watch Style)’을 11일 국내 출시한다. ‘LG 워치 스포츠’는 자체 LTE 통신으로 음성통화, 메시지 송수신, 앱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다. 1.38인치 원형 디스플레이와 스냅드래곤 웨어 2100을 탑재했고 IP68 등급 방수방진과 심박센서, GPS, 강화유리 등 레저 활동을 위한 기능도 갖췄다. ‘LG 워치 스타일’은 ‘LG 워치 스포츠’보다 패션 아이템으로써 활용도를 높인 제품으로 1.2인치 디스플레이와 IP67 등급 방수방진 기능,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를 지원한다. 그 외 모든 사양은 ‘LG 워치 스포츠’와 동일하다. LG 스마트워치는 이동통신 3사를 통해 출시되며 ‘LG 워치 스포츠’는 출고가 451000원에 티탄 색상으로 출시되고, ‘LG 워치 스타일’은 티탄 색상 319000원, 로즈골드 색상 339
[사진=LG전자] [헬로티] LG전자가 안드로이드 웨어 2.0을 탑재한 LG 워치 스포츠와 LG 워치 스타일을 공개했다. LG 워치 스포츠와 LG 워치 스타일은 안드로이드 2.0을 탑재해 스마트폰 없이도 단독 사용이 가능하고 iOS도 연동된다. 구글 인공지능 가상 비서 ‘구글 어시스턴트’와 피트니스 관련 플랫폼 ‘구글 피트’는 기본 탑재돼 있다. 회전식 사이드 버튼이 있어 터치 없이 앱을 실행할 수 있고, 손글씨를 문자로 자동 전환해 주는 입력기능도 갖춰 편리성을 높였다. 고급 강화유리와 IP68 등급 방수방진 기능도 갖춰 내구성도 높였다. 그 외에도 퀼컴 웨어러블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웨어 2.0을 탑재해 GPS, 심박센서,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기능도 제공된다. LG전자는 미국을 시작으로 영국, 아랍에미리트, 대만, 러시아, 캐나다 등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한국에는 3월 중 출시된다. LG전자 MC사업본부장 조준호 사장은 “이번 스마트워치 2종은 안드로이드 웨어 2.0 시대를 여는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다”라며,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면서 소비자 니즈를
▲ 가민 멀티스포츠 스마트워치 포러너 735XT [사진=가민] [헬로티] 스마트기기 및 GPS 전문업체 가민(Garmin)이 멀티스포츠용 스마트워치 포러너 735XT를 출시했다. 포러너 735XT는 다양한 활동 모니터링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심박 수, 스트레스 지수, 지면 접촉 시간, 밸런스, 보폭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러닝 다이나믹 기능도 지원한다. 무게는 40.2g에 불과하고 배터리는 충전 없이 최대 11일간 사용이 가능해 야외활동에 적합하다. 또한, 페달 기반 파워미터 시스템 벡터와 사이클링 액세서리인 바리아 등과 호환돼 사이클링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50미터 방수 기능과 함께 수영 모니터링 기능도 갖추고 있어 철인3종경기에 적합한 제품이다. 가민 커넥트 스토어에서 다양한 앱, 위젯, 시계 화면 및 데이터 필드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전화, 문자 메시지, 이메일 등 다양한 알림을 시계 화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커넥트 IQ와 호환 가능한 포러너 735XT는 Strava Live Suffer Score 앱이 내장됐다. Strava Premium에 등록된 유저는 Strava 앱을 통해 운동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다른 사람들과 비교할 수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의 기술이 적용된 바로 사용이 가능한(ready-to-use) 결제 솔루션이 출시되어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제품에서의 모바일 결제가 더욱 보편화될 전망이다. ST, G&D, 핏페이, 3사는 ST의 보안칩을 적용해 디바이스 제조사가 마스터카드나 비자의 토큰식 결제를 통합할 수 있도록 사전 승인을 받은 보안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서 카드 결제를 구현하는 데 따르는 기존 문제들을 해결하여 웨어러블 제품 제조사들이 제품 개발에만 주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솔루션으로 사용자들은 웨어러블 제품의 다양한 결제 네트워크와 다양한 은행의 결제 카드를 쓸 수 있어 비접촉 방식의 결제를 손쉽게 하고 최종 제품의 운영 시스템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게 됐다. 보안 OS(G&D), 결제 애플리케이션 관리 소프트웨어(핏페이),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 지원에 필요한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이 ST의 ST54E 보안칩(내장형 보안 요소, eSE)에 완벽하게 집적화되어 있으며, ST의 보안칩은 암호화 처리와 위변조 방지를 제어한다. ST는 결제 디바이스의 기능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헬로티] 구글이 스마트워치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웨어 2.0(Android Wear 2.0)을 다음 달 출시할 예정이다. 해외 IT전문매체 안드로이드폴리스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이메일을 통해 개발자들에게 안드로이드 웨어 2.0이 2월 출시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개발자에게 필요한 사항도 정리해 이메일로 공지했다. 당초 작년 말에 출시가 예정됐던 안드로이드 웨어 2.0은 개발자 프리뷰를 통해 피드백 사항을 전달받았고 추가 업데이트가 진행됐다. 안드로이드 웨어 2.0에는 스마트폰 연동 없이 스마트워치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독자적인 앱과 스마트워치 자체 플레이스토어가 마련됐다. 안드로이드 페이와 구글 어시스턴트도 지원될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이번 안드로이드 웨어 2.0 업데이트와 함께 새로운 스마트 워치 2종을 공개할 전망이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
▲ 카시오 스마트워치 WSD-F20 [사진=카시오] [헬로티] 카시오는 4일(현지시각) 안드로이드웨어 2.0을 탑재한 스마트워치 WSD-F20을 공개했다. 안드로이드 웨어 2.0은 지난달 구글이 발표한 스마트워치 운영체제다. WSD-F20에는 구글맵스와 연동되는 GPS기능이 추가돼 하이킹이나 라이딩할 때 자신이 지나온 경로를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GPS를 보면서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스마트워치와 달리 스마트폰과 독립적으로 쓸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카시오 신제품은 아웃도어를 겨냥해 출시된 만큼 튼튼한 내구성과 저전력 기능을 갖췄다. WSD-F20은 4월 21일부터 500달러에 판매될 예정이다. 김지환 기자 (ueghqwe@hellot.net)